|
6. 氣血
氣란 一身의 主掌者이다. 안으로 七情이 傷하지 않고 밖으로는 寒暑의 邪氣에 침범되지 아니하면 氣가 全身을 周流함으로써 百骸가 舒暢하니 어찌 氣病이 일어나겠는가? 사람은 오직 內傷으로 七情이 損傷되거나, 밖에서 寒暑의 邪氣를 받게 되면 氣가 變亂하여 여러가지 疾病이 叢生하게 된다. 經에 이르기를 “喜하면 氣緩하고, 勞하면 氣耗하고, 怒하면 氣上하고, 驚하면 氣亂하고, 思하면 氣結하고, 悲하면 氣消하고, 寒하면 氣收하고, 熱하면 氣泄한다”라고 하였다. 九氣가 각각 다르므로 病도 역시 다르게 나타나지만, 總括하면 虛와 實의 두 글자에 지나지 아니한다. 實이란 邪氣實이고, 虛란 正氣의 虛이다.
血이란 보통 血液이 가지고 있는 濡養作用과 그 物質的 基礎를 말하는 것인데, 血液의 意味로도 循環의 意味로도 사용되는 일이 있다. 血은 脾胃의 運化에 의하여 生成된 營養物이 폐에서 吸入된 淸氣와 脈管內에서 合하여 營氣의 작용을 받아서 生成되고, 心의 推動에 의하여 流量의 調節을 받고, 脾의 統攝에 의하여 脈管內에서 溢出하지 않고 全身의 구석구석을 돌면서 全身의 組織機關에 營養을 주고 있다.
氣와 血은 서로 密接하게 관련하고 있어서 개념상으로는 구별이 되나 不可分한 것이다. 그러므로 “氣는 血의 師, 血은 氣의 母”라 하고도, “氣行하면 血行하고, 氣滯면 血止”라 하였다.
1) 氣病
經에 이르기를 “氣는 溫照를 主管하고 血은 濡養을 主管한다”고 하였다. 氣病으로 不照하면 血은 凝濇하여 不濡하므로, 氣病을 다스리는 약품 중에는 반드시 理血하는 藥材를 兼用하여야 한다. 예컨대 當歸 赤芍 紅花 牛膝 같은 藥材를 加해야 한다.
氣實者는 平胃散을 加減하여 쓴다(卷末參照)
氣虛者는 精神短少 倦怠 嗜臥 飮食減少 自汗 泄瀉한다.
四君子湯(上64): 補眞氣虛弱 治氣短氣少 (인삼 백출 백복 감초 1.25)
補中益氣湯(上22): 治勞役太甚 或飮食失節 身熱自汗 (황기 1.5 인삼 백출 감초 1 당귀 진피 0.5 승마 시호 0.3)
忿怒氣上
加味逍遙散(增27): 治肝經鬱火 胸脇脹痛 或作寒熱甚 至生風 眩暈振搖 咬牙發痙 目斜 手搐 又或怒動 肝氣不和 木鬱達之 是也 (시호 감초 백복 백출 당귀 백작 목단 치자 1 박하 0.5)
思慮氣結
加味歸脾湯(上98): 治肝脾怒鬱 月經不通 (당귀 원육 조인 원지 인삼 황기 백출 복신 1 목향 0.5 감초 0.3 강오 대조 2매 산치 시호 1)
憂愁忿怒하여 心腹이 絞痛하면
七氣湯(中81): 治七情鬱結 心腹絞痛 (반하 3 인삼 관계 감초 0.7 생강 3편)
氣滯로 濁氣가 降下하지 못하여 胸痺 膹鬱하고 痰喘 咳嗽하면
下氣湯(增133): 治肺氣積聚 心胸痞滿 (반하 백복 행인 3 감초 패모 백작 귤피 2 오미 1)
橘皮一物湯(中86): 治氣結 新水煎服 (귤피 10)
肝氣積聚가 臍腹과 左脇에 凝結하였으면
達鬱湯(增121): 治肝鬱 (계지 별갑 백복 3 감초 2 사인 1)
三和散(中88): 治諸氣鬱滯 或脹 或痛 (천궁 1 침향 소엽 대복 강활 모과 0.5 목향 백출 빈랑 진피 감초 0.3)
交感丹(中89): 治諸氣鬱滯 能水火升降 (향부 160 복신 40)
橘皮一物湯(中86): 治氣結 新水煎服 (귤피 10)
氣壅 氣痛이 攻刺하고 流注不定하면
沈香降氣散(增157): 治氣滯心痛 (향부 50 현호 천련 10 사인 7 감초 5 침향 3)
梅核氣로 後重 梗物이 나오지 않고 삼켜도 내려가지 않는 데는
四七湯(中82): 治七氣凝結 狀如破絮 或如梅核 喀不出 嚥不下 胸痞 (반하 2 적복 1.6 후박 1.2 소엽 0.8 강칠 대조 2매)
① 七氣: 사람에게는 七情이 있는 도잇에 七氣가 있다. 칠기는 기쁨(喜) 노함(怒) 근심(憂) 생각(思) 슬픔(悲) 놀람(驚) 두려움(恐)인데, 어떤이는 추움(寒) 더움(熱) 원망(恚) 노함(怒) 기쁨(喜) 근심(憂) 수심(愁)이라고도 한다. 칠기가 서로 범하고 변조되어 탈이 생겼을 때 調氣해야 할 경우는,
七氣湯(中81): 治七情鬱結 心腹絞痛 (반하 3 인삼 관계 감초 0.7 생강 3편)
分心氣飮(中83): 治七情痞滯 通利大小便 淸而疎快 (소엽 1.2 감초 0.7 반하 지각 0.6 청피 진피 목통 대복 상백 목향 적복 빈랑 봉출 맥문 길경 계피 향부 곽향 0.5 생강 3편 대조 2매 등심)
四七湯(中82): 治七氣凝結 狀如破絮 或如梅核 喀不出 嚥不下 胸痞 (반하 2 적복 1.6 후박 1.2 소엽 0.8 강칠 대조 2매)
四磨湯(下104): 治氣滯便秘 (빈랑 침향 목향 오약 等分)
② 九氣: 九氣의 一은 膈氣ㅡ 二는 風氣, 三은 寒氣, 四는 熱氣, 五는 憂氣, 六은 喜氣, 七은 驚氣, 八은 怒氣, 九는 山嵐瘴氣인데, 이 구기가 서로 범하거나 변조되어 탈이 생겼을 경우는,
正氣天香湯(中84): 治九氣作痛 亦治婦人氣痛 (향부 3 오약 진피 소엽 1 건강 감초 0.5)
③ 中氣: 중기가 상해서 허한 사람이 남과 다투다가 갑자기 몹시 분노하여 昏倒했을 경우는,
八味順氣散(中85): 治中氣而虛 (인삼 백출 백복 청피 백지 진피 오약 0.7 감초 0.3)
星香正氣散(中4): 卒中風 人事稍醒 貫節活動後 用此理氣 (곽향 1.5 소엽 1 백지 대복 백복 후박 백출 진피 반하 길경 감초 0.5 생강 3편 대조 2매 남성 목향 1)
④ 上氣逆氣: 기가 상충하여 숨이 가쁘고 기침이 나며, 기가 치밀어 올라 가슴이 답답하고 뻑적지근 하며, 목이 마르고 손발이 차가와지는 경우는,
滋陰降火湯(中42): 治陰虛火動 盜汗 午熱 咳嗽 痰盛 喀血 肉瘦 (백작 1.3 당귀 1.2 숙지 맥문 백출 1 생지 0.8 진피 0.7 지모 황백 감초 0.5 생강 3편 대조 2매)
八物湯(上32): 治氣血兩虛 (인삼 백출 백복 감초 숙지 백작 천궁 당귀 1.2)
蘇子降氣湯(中87): 治上氣喘促 (반하 소자 1 관계 진피 0.75 당귀 전호 후박 감초 0.5 蘇오 생강 3편 대조 2매)
⑤ 短氣: 단기란, 기가 짧아 서로 접속이 안 되는 증상이다. 호흡이 잦아지고 담음이 생기고 심장부와 복부가 脹滿하며 소변이 利하고 권태롭고 무력한 경우는,
腎氣丸(上40): 滋肺之源 以生腎水 (숙지 80 산약 산수 40 백복 목단 택사 30 오미 4)
人蔘養榮湯(上35): 治虛損 氣血不足 氣短 少食 寒熱 自汗 (백작 2 당귀 인삼 백출 황기 육계 진피 감초 1 숙지 오미 방풍 0.75 원지 0.5 생강 3편 대조 2매)
⑥ 少氣: 기가 적어서 말을 힘차게 하지 못하는 경우
四君子湯(上64): 補眞氣虛弱 治氣短氣少 (인삼 백출 백복 감초 1.25)
貞元飮(上49): 治氣短以喘 呼吸促急垂危 婦人血海常虧者 最多此證 (숙지 7-20 감초 1-3 당귀 2-3)
擧元煎(上65): 治氣虛下陷 血崩 血脫 有不利於歸熟 (인삼 황기 3-5 감초 백출 1-2 승마 0.5-0.7)
生脈散(上12): 暑月常服 代熟水飮之 (맥문 2 인삼 오미 1)
補中益氣湯(上22): 治勞役太甚 或飮食失節 身熱自汗 (황기 1.5 인삼 백출 감초 1 당귀 진피 0.5 승마 시호 0.3)
益胃升陽湯(上23): 治內傷諸證 血脫 益氣 古聖人之法 先理胃氣 以助生發之氣 (백출 1.5 황기 1 인삼 신곡 0.7 당귀 진피 감초 0.5 승마 시호 0.3 황금 0.2)
⑦ 氣痛: 기가 鬱滯하여 통증이 생겼을 경우, 상초에서는 심장과 흉부가 아프고, 중초에서는 배와 갈비가 찌르듯이 아프며, 하초에서는 허리가 아프고, 외부에서는 전신이 쑤시며 부종이 생기기도 한다.
神保元(下54): 治諸氣注痛 又治心膈痛 腹脇痛 腎氣痛 (전갈 7枚 파두 10枚 목향 호초 2.5 주사 1)
三和散(中88): 治諸氣鬱滯 或脹 或痛 (천궁 1 침향 소엽 대복 강활 모과 0.5 목향 백출 빈랑 진피 감초 0.3)
桔梗湯(中153): 治肺癰 (길경 패모 1.2 과루 의이 당귀 1 상백 지각 황기 방풍 0.7 행인 백합 감초 0.5 강오)
蟠葱散(下136): 治脾胃虛冷 心腹攻刺 連胸脇膀胱 小腸 腎氣作痛 (창출 감초 1 삼릉 봉출 백복 청피 0.7 사인 정향피 빈랑 0.5 현호 관계 건강 0.3 총일)
婦人氣痛
正氣天香湯(中84): 治九氣作痛 亦治婦人氣痛 (향부 3 오약 진피 소엽 1 건강 감초 0.5)
⑧ 氣鬱: 기가 울결하여 흉협이 痞滿하거나 동통하며, 혹은 부종과 脹滿을 겸하는 경우는
交感丹(中89): 治諸氣鬱滯 能水火升降 (향부 160 복신 40)
二陳湯(中99): 通治痰飮 (반하 2 귤피 적복 1 감초 0.5 생강 3편)
⑨ 通治: 모든 기증세의 통치약은
蘇合香元(中90) 治一切氣疾 (백출 목향 침향 사향 정향 안식 백단 주사 서각 가자 향부 필발 20 소합 유향 용뇌 10)
2) 血病
吐血 咳血 唾血 喀血에 대하여서는 虛勞에서 詳述하였다. 鼻衄은 熱氣가 乘肺한 것이다.
犀角地黃湯(下60): 治衄血不止 及上焦有瘀血 便黑 (생지 3 적작 2 서각 목단 1)
莎芎散(下59): 治衄血 (향부 40 천궁 20)
仙露湯(增618): 治衄血 (맥문 반하 측백 백작 행인 3 패모 2 감초 1)
薄荷煎元(下126): 消風熱 化痰涎 利咽膈 淸頭目 治鼻衄 大小便血 (박하 160 길경 50 감초 40 방풍 천궁 30 사인 5)
七生湯(下61): 治血出口鼻如泉 諸藥不效 (생지 生하엽 生藕節 生韭菜 生모근 10 생강 5)
目出血은 肝經의 積熱이다.
龍膽瀉肝湯(下137) 治肝臟濕氣 男子陰挺 女人陰痒瘡 (용담 시호 택사 1 목통 차전 적복 생지 당귀 산치 황금 감초 0.5)
虛火上炎
六味地黃元(上40): 治腎水不足 (숙지 80 산약 산수 40 백복 목단 택사 30)
耳出血은 腎經의 虛火이다.
六味地黃元(上40): 治腎水不足 (숙지 80 산약 산수 40 백복 목단 택사 30)
齒縫出血은 胃熱이다.
淸胃散(下120): 治胃熱 上下齒痛不可忍 滿面發熱 (승마 2 목단 1.5 당귀 황련 생지 1)
舌出血은 心熱이다.
牛黃膏(下162): 治産後熱入血室 (주사 울금 3 우황 2.5 목단 2 감초 1 용뇌 0.5)
毛孔出血은 氣脫이다.
黃芪建中湯(上45): 治虛損 裏急 腹痛 夢遺 咽乾 自汗 (백작 5 계지 3 감초 1 강오 조사 황기)
失血眩暈
全生活血湯(中156): 治崩漏過多 昏冒不省 此補血養血 生血 益陽以補手足厥陰 (백작 승마 1 방풍 강활 독활 시호 당귀신 건갈 감초 0.7 고본 천궁 0.5 생지 숙지 0.4 만형 세신 0.3 홍화 0.1)
芎歸湯(上112): 治山前後諸疾 及血暈 不省橫 逆 死胎不下 血崩不止 臨月服之 縮胎易産 産後服之 惡血自下 (천궁 당귀 5)
大量出血(成升斗者)에는 何部 寒熱 虛實을 막론하고
獨蔘湯(增26): 治氣虛 血脫 (인삼 10-60)
交接出血은 남자의 作意에 따라 盡情浪戰하여 陰精을 大泄하였거나, 莖强하여 不倒하거나, 泄精 後에도 무리하게 계속하여 引血한 것이다.
引陰奪命湯(增688): 治交接出血 (숙지 20 사삼 10 인삼 3 오미 1 육계 0.5)
女子가 思慮過度하여 交接出血하는 때에는
歸脾湯(上66): 治憂思 勞傷心脾 健忘 怔忡 又治 每觸遺精 (당귀 원육 조인 원지 인삼 황기 백출 복신 1 목향 0.5 감초 0.3 강오 대조 2매)
積熱吐血: 열이 심장을 손상시켜 피를 토할 경우
小調中湯(下68): 治一切痰火 及百般怪病 善調脾胃 (감초 황련 반하 과루 等分 생강 3편)
蘇子降氣湯(中87): 治上氣喘促 (반하 소자 1 관계 진피 0.75 당귀 전호 후박 감초 0.5 蘇오 생강 3편 대조 2매)
陽虛吐血: 陽氣가 허해서 토혈하는 경우
理中湯(上6): 治太陰腹痛 自利不渴 (인삼 백출 건강 2 감초 1)
陰虛吐血: 陰氣가 허해져서 토혈하는 경우
參苓白朮散(上25): 大病後 調助脾胃 (인삼 백출 백복 산약 감초 3 의이 연육 길경 사인 편두 1.5)
四君子湯(上64): 補眞氣虛弱 治氣短氣少 (인삼 백출 백복 감초 1.25)
鎭陰煎(上67): 治陰虛格陽 眞陽失守 血隨而溢 以致大吐大衄 脈細 肢冷 (숙지 10-20 부자 0.5-3 우슬 2 택사 1.5 육계 1-2 감초 1)
勞傷吐血: 過勞로 심폐와 비가 상하여 토혈할 경우
茯苓補心湯(中93): 治勞心吐血 (백작 2 숙지 1.5 당귀 1.3 천궁 백복 인삼 반하 전호 0.7 진피 지각 길경 건갈 소엽 감초 0.5 강오 대조 2매)
歸脾湯(上66): 治憂思 勞傷心脾 健忘 怔忡 又治 每觸遺精 (당귀 원육 조인 원지 인삼 황기 백출 복신 1 목향 0.5 감초 0.3 강오 대조 2매)
咳唾喀血: ① 咳血은 기침이 심할 때 출혈할 경우. ② 唾血은 선혈이 가래를 따라 나오는 경우, ③ 喀血은 칵하면서 血層을 토하고, 혹은 뱉아도 나오지 않고, 심하면 가는 血絲를 띠고 나오는 경우.
滋陰降火湯(中42): 治陰虛火動 盜汗 午熱 咳嗽 痰盛 喀血 肉瘦 (백작 1.3 당귀 1.2 숙지 맥문 백출 1 생지 0.8 진피 0.7 지모 황백 감초 0.5 생강 3편 대조 2매)
八物湯(上32): 治氣血兩虛 (인삼 백출 백복 감초 숙지 백작 천궁 당귀 1.2)
六君子湯(上64): (四君子湯: 補眞氣虛弱 治氣短氣少)
加味逍遙散(下62): 治痰中見血 (목단 백출 1.5 당귀 적작 도인 패모 1 산치 황금 0.8 길경 0.7 청피 0.5 감초 0.3)
積血吐血: 속에 축적된 어혈을 통하는 경우.
七生湯(下61): 治血出口鼻如泉 諸藥不效 (생지 生하엽 生藕節 生韭菜 生모근 10 생강 5)
桃仁承氣湯(下13): 治血結膀胱 小腹結急 便黑 譫語 (대황 3 계심 망초 2 감초 1 도인 10枚)
齦舌衄: ① 齒衄은 잇몸에서 피가 나오는 경우. ② 舌衄은 혀에서 피가 나오는 경우
綠袍散(下66): 治齒縫出血不止 (황백 박하 망초 청대 等分 용뇌 少許)
牛黃膏(下162): 治産後熱入血室 (주사 울금 3 우황 2.5 목단 2 감초 1 용뇌 0.5)
調胃承氣湯(下8): 傷寒裏證 便硬 尿赤 譫 潮 (대황 4 망초 2 감초 1)
八味元(上40): 治命門陽虛 (숙지 80 산약 산수 40 백복 목단 택사 30 육계 부자 10)
九竅出血: 갑자기 몹시 놀라서 구규에서 동시에 출혈하는 경우(九竅는 耳目口鼻의 七竅와 前陰 後陰의 二竅
十全大補湯(上33): 治氣血兩虛 (인삼 백출 백복 감초 숙지 백작 천궁 당귀 1.2 황기 육계 1 생강 3편 대조 2매)
모든 血病은 四物湯 六味地黃元을 加減 應用한다(卷末 加減法 參照).
便血 溺血은 大小便條 參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