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심 뜻.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 의미.
보리심(菩提心, Bodhicitta)의 뜻을 알아보자.
보리(菩提)란 깨달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보리심(菩提心)이란 <깨달음을 얻겠다라는 마음>이다.
깨달음에는 크게 세 종류가 있다.
첫째, 아라한의 깨달음
둘째, 벽지불/연각/독각의 깨달음
셋째, 부처님의 깨달음
보리심(菩提心)에서의 깨달음이란
바로 세번째인 부처님의 깨달음을 말한다.
이 부처님의 깨달음이 바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이다.
아뇩다라삼먁삼보리란 무상정등정각을 말하며, 더 이상이 없는 최상의 깨달음을 말한다.
아라한의 깨달음이나 벽지불(독각/연각)의 깨달음으로는 중생들을 완전히 제도할 수 없고, 오로지 부처님의 완전한 깨달음만이 중생들을 오류없이 제도할 수 있기에 바로 이 부처님의 깨달음을 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보리심(菩提心)이란,
내가 바로 이 최상의 깨달음인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겠다라는 마음을 말한다.
그래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의 준말이 <보리심>이다.
쉽게 말하면
내가 부처님이 되겠다...즉 성불하겠다...라는 마음이 바로 보리심이다.
이런 마음을 일으킨 것을 <발보리심(發菩提心) >이라고 부른다.
줄여서 <발심(發心) >이라고 한다.
근데 잘 알아야 하는 것이 뭔가 하면,
왜 이런 보리심을 일으키는가의 그 이유.....바로 이것이다.
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가장 완전한 깨달음을 얻으려고 하는가?
그 <목적>을 잘 알아야 한다.
최상의 깨달음을 얻으려는 목적은, 일체 모든 중생을 제도하기 위함이다.
온 우주의 수많은 생명체들을 모두 다 고통에서 건져 주는게 목적이다.
이런 완전한 깨달음이 있어야,
오류없이 완전하게 중생을 제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부처님이 되는, 즉 성불의 목적이 바로 이것이다.
깨달음 자체가 목적이 아니요, 중생제도가 목적인 것이다.
중생제도라는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깨달음을 얻는 것이다.
온 우주의 모든 생명체들을 단 하나도 빼놓지 않고 모조리 다 고통에서 건져주겠다.....그러기 위해서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는 최상의 깨달음이 필요하니, 나는 그 깨달음을 얻으리라.....라는 이 마음이 바로 보리심이다.
이 마음이 선한 마음 중에서 가장 선한 마음이다.
보리심이야말로 최상, 최고의 선한 마음이다.
이런 최상의 선한 마음을 일으키신 분들이 바로 보리살타, 즉 보살이다.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일으킨 분들만이 대승이다.
보리심 뜻.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 의미.
단 하나의 중생이라도 빼놓지 않고, 모조리 다 내가 고통에서 건져주겠다라는 마음이 바로 <보리심>이다.
선한 중생이건, 악한 중생이건, 귀신이건, 악마건, 신들이건, 인간이건 상관없이 그 모든 중생들을 단 하나도 예외없이....지옥의 그 모든 중생들조차도 모두 다....내가 모든 고통에서 건져 최상의 행복을 얻게 해주겠다라는 마음이 바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이다.
나를 욕하던, 나를 때리던, 나를 죽이던 상관없이 그 누구도 예외없이 다 내가 일체의 그 모든 고통에서 다 해탈시켜주겠다라는 이런 가장 선한 마음이 바로 보리심이다.
이런 위대한 마음을 일으키신 분들이 바로 보살들이시다.
불교의 인사법에 <성불하십시요>라는 것이 있다.
이 인사의 의미는,
<고귀한 당신께서 최상의 깨달음을 얻으셔서 일체 모든 중생들을 다 고통에서 건져주시는 위대한 일을 하소서>...라는 뜻이다.
[출처] 보리심 뜻.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 의미.|작성자 마하보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