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요약 1
17. Esther [éstər 에스터] : 에스더
* sources : “Good News Translation English Bible Overview” (GNT영어성경 개요)
(Korean Translation : Lee Chang-bok)
1) Esther Introduction (GNT Bible) : 에스더 소개
The events of The book of Esther which take place at the winter residence of the Persian emperor, center around a Jewish heroine named Esther, who by her great courage and devotion to her people saved them from being exterminated by their enemies. The book explains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Jewish festival of Purim.
페르시아 황제의 겨울 저택을 배경으로 하는 에스더서의 사건은 에스더라는 유대인 여주인공을 중심으로 펼쳐집니다. 에스더는 큰 용기와 백성에 대한 헌신적인 사랑으로 백성들이 적들로부터 멸절되지 않도록 막아냈습니다. 이 책은 유대인 부림절 축제의 배경과 의미를 설명합니다.
2) Outline of Contents : 내용 개요
Esther becomes queen (1.1—2.23) : 에스더가 왕비가 됨 (1.1-2.23)
Haman's plots (3.1—5.14) : 하만의 음모 (3.1 ~ 5.14)
Haman is put to death (6.1—7.10) : 하만이 죽임을 당함 (6.1-7.10)
The Jews defeat their enemies (8.1—10.3) : 유대인들이 적을 물리침 (8.1-10.3)
*** 요약 2
Summary
Summary of the Book of Esther
This summary of the book of Esther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title, author(s), date of writing, chronology, theme, theology, outline, a brief overview, and the chapters of the Book of Esther.
요약
에스더서 요약
이 에스더서 요약은 에스더서의 제목, 저자, 작성 날짜, 연대기, 주제, 신학, 개요, 간략한 개요 및 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Author and Date
Although we do not know who wrote the book of Esther, from internal evidence it is possible to make some inferences about the author and the date of composition. It is clear that the author was a Jew, both from his emphasis on the origin of a Jewish festival and from the Jewish nationalism that permeates the story. The author's knowledge of Persian customs, the setting of the story in the city of Susa and the absence of any reference to conditions or circumstances in the land of Judah suggest that he was a resident of a Persian city.
저자 및 기록 연대
에스더서를 누가 썼는지는 알 수 없지만 내적 증거를 통해 저자와 저술 연대에 대해 어느 정도 추론할 수 있습니다. 저자가 유대인 축제의 기원을 강조한 점과 이야기 속에 유대 민족주의를 드러내 보인점을 통해 저자가 유대인이었음이 분명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페르시아 관습에 대한 저자의 지식, 수산성에 관한 이야기의 배경을 잘 아는 점으로 볼 때, 또 유대 땅에 관한 언급이 전혀 없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그는 페르시아의 한 도시에 거주했던 사람임에 틀림없습니다.
The earliest date for the book would be shortly after the events narrated, i.e., c. 460 b.c. (before Ezra's return to Jerusalem; see note on 8:12). Internal evidence also suggests that the festival of Purim had been observed for some time prior to the actual writing of the book (9:19) and that Xerxes had already died (see 10:2 and note). Several scholars have dated the book later than 330 b.c.; the absence of Greek words and the style of the author's Hebrew dialect, however, suggest that the book must have been written before the Persian empire fell to Greece in 331.
이 책의 가장 빠른 연대를 잡는다면 이 사건이 발생한 직후, 즉 주전 460년경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에스라가 예루살렘으로 돌아오기 전; 8:12 참조). 내적인 증거는 또한 부림절이 이 책이 기술되기 전 얼마 동안에도 지켜졌다고 하는 사실과(9:19) 아울러 크세르크세스가 이미 사망했다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습니다(10:2 참조). 몇몇 학자들은 이 책의 연대를 기원전 330년 이후로 추정했습니다. 그런데 헬라어 어휘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과 저자의 히브리어 방언 구사 스타일로 보아 이 책은 페르시아 제국이 그리이스에 의해 멸망당한 주전 331년 이전에 쓰여졌음이 분명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Purpose, Themes and Literary Features
The author's central purpose was to record the institution of the annual festival of Purim and to keep alive for later generations the memory of the great deliverance of the Jewish people during the reign of Xerxes. The book accounts for both the initiation of that observance and the obligation for its perpetual commemoration (see 3:7; 9:26-32; see also chart, pp. 234-235).
목적, 주제 및 문체
저자의 중요한 목적은 연례적인 부림축제가 조직된 기원을 밝히고 후대 세대들에게 크세르세스(Xerxes) 치하에서 유대인이 큰 구원을 경험할 것을 생생하게 전하는 것이었습니다. 이 책은 그 축제를 지키게 된 동기와 그것을 영구히 지켜야 할 이유를 설명하고 있습니다.(3:7;9:24;9:28-32)
Throughout much of the story the author calls to mind the ongoing conflict between Israel and the Amalekites (see notes on 2:5; 3:1-6; 9:5-10), a conflict that began during the exodus (Ex 17:8-16; Dt 25:17-19) and continued through Israel's history (1Sa 15; 1Ch 4:43; and, of course, Esther).
이 이야기 전체를 통하여 저자는 이스라엘과 아말렉 간에 계속되어 온 갈등을 상기시킵니다(2:5;3:1-6;9:5-10 참조). 이 갈등은 출애굽 시기에 시작되어(출 17:8-16; 신 25:17-19) 이스라엘 역사 전체에 걸쳐서 계속되어 온 것입니다.(삼상 15장; 대상 4:43; 에스더서 전체)
As the first to attack Israel after their deliverance from Egypt, the Amalekites were viewed -- and the author of Esther views them -- as the epitome of all the powers of the world arrayed against God's people (see Nu 24:20; 1Sa 15:2-3; 28:18). Now that Israel has been released from captivity, Haman's edict is the final major effort in the OT period to destroy them.
이스라엘을 향한 아말렉인들의 첫 번째 공격은 애굽으로부터 구속된 직후로 보고 에스더서의 저자는 아말렉인들을 하나님의 백성들을 반대하는 모든 세상의 권세들의 표상으로 보고있습니다(민 24:20; 삼상 15:1-3; 삼상 28:18). 애굽의 포로로부터 해방된 이스라엘의 입장에서 볼 때, 하만의 음모는 구약시대에 있어서 그들을 멸절시키려는 최종적이고 심각한 계획처럼 보였던 것입니다.
Closely associated with the conflict with the Amalekites is the rest that is promised to the people of God (see Dt 25:19). With Haman's defeat the Jews enjoy rest from their enemies (9:16,22).
아말렉인들과의 투쟁에 밀접하게 연관된 문제는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약속된 안식입니다(신 25:19 참조). 하만의 패배로 인해 그들의 원수들로부터 안식을 찾아 즐기는 것입니다.(9:16,22)
The author also draws upon "the remnant motif" that recurs throughout the Bible (natural disasters, disease, warfare or other calamities threaten God's people; those who survive constitute a remnant). Events in the Persian city of Susa threatened the continuity of God's purposes in redemptive history. The future existence of God's chosen people, and ultimately the appearance of the Redeemer-Messiah, were jeopardized by Haman's edict to destroy the Jews. The author of Esther patterned much of his material on the events of the Joseph story (see notes on 2:3-4,9,21-23; 3:4; 4:14; 6:1,8,14; 8:6), in which the remnant motif is also central to the narrative (see Ge 45:7 and note).
저자는 또한 성경 전체에 걸쳐서 거듭 나타나는 "남은 자 주제"(the remnant motif)를 그리고 있습니다(자연적인 재해, 질병, 전쟁 또는 여러 가지 재난들이 하나님의 백성들을 위협하는데 이 모든 것들로부터 살아남은 사람들이 남은 자이다). 페르시아 도시 수사에서 일어난 사건들은 구속사에 대한 하나님의 목적의 연속성을 위협했습니다. 하나님의 백성들의 미래의 존재와 구속주 -메시야(the Redeemer - Messiah)의 궁극적인 출현은 유대인을 멸절시키려는 하만의 음모에 의해서 위태롭게 되었습니다. 에스더서의 저자는 그의 이야기를 쓸 때 요셉사건 기사를 본보기로 삼았습니다(2:3,4; 2:9; 2:21-23; 3:4; 4:14; 6:1,8,14; 8:6). 요셉 기사에서도 남은 자 사상이 핵심적인 주제이다.(창 45:7)
The Historical Importance Of Susa Susa was once part of the historic kingdom of Elam between Babylon and ancient Persia as the lower Zagros Mountains of Persia descend into the Mesopotamian region. Susa is located around 160 miles east of the famous Tigris River and is between the Karkheh and Dez Rivers in what is today Iran. It is part of the greater region of what is often termed the "Cradle of Civilization." It appears in the very earliest Sumerian records and is one of the first recorded cities in human history. 수사의 역사적 중요성 페르시아의 자그로스 산맥이 메소포타미아 지역으로 내려가면서 수사는 한때 바빌론과 고대 페르시아 사이에 있는 역사적인 엘람 왕국의 일부였습니다. 수사는 유명한 티그리스 강에서 동쪽으로 약 160마일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오늘날 이란에 해당하는 카르케 강과 데즈 강 사이에 있습니다. 그것은 종종 "문명의 요람"이라고 불리는 더 큰 지역의 일부입니다. 가장 초기의 수메르 기록에 나타나며 인류 역사상 최초로 기록된 도시 중 하나입니다.
|
Feasting is another prominent theme in Esther, as shown in the outline below. Banquets provide the setting for important plot developments. There are ten banquets: (1) 1:3-4, (2) 1:5-8, (3) 1:9, (4) 2:18, (5) 3:15, (6) 5:5-6, (7) 7:1-10, (8) 8:17, (9) 9:17, (10) 9:18. The three pairs of banquets that mark the beginning, middle and end of the story are particularly prominent: the two banquets given by Xerxes, the two prepared by Esther and the double celebration of Purim.
축제는 에스더서에 나타나는 또 하나의 현저한 주제이다. 여러 개의 잔치들은 중요한 구성 전개를 위한 무대를 제공하고 있다. 에스더서에는 열 개의 잔치가 언급되어 있다. (1)1:3,4 (2)1:5-8 (3)1:9 (4)2:18 (5)3:15 (6)5:1-8 (7)7:1-10 (8)8:17 (9)9:17 (10)9:18-32, 이 이야기의 시작과 중간과 마지막을 장식하는 세 쌍의 잔치들이 특히 돋보인다. 처음 두 번의 잔치는 크세록세스에 의해 베풀어진 것이고 그 다음 두 개는 에스더가 준비한 것이고 그 다음 두 개는 부림축제와 관련된 잔치이다.
* What is Purim?: Purim is a festival when Jews remember Esther, who was the Queen of Persia more than 2,000 years ago.
She was Jewish but her husband, the King, didn't know this. The King's chief minister was Haman, a man who hated the Jews.
Esther's uncle would not bow down to Haman. It made him so angry that he plotted to have all the Jews killed, and he drew lots - a way of randomly picking something from many options - to decide on the date. The Persian word for lot was Purim.
Anyone who went to see the King without permission was put to death, but Esther was brave enough to tell her husband about her religion and she stood up for her people. The King forgave Esther, Haman was punished and the Jews were saved.
* 부림절이란?: 부림절은 유대인들이 2,000여 년 전 페르시아의 여왕이었던 에스더를 기념하는 축제입니다.
그녀는 유대인이었지만 그녀의 남편인 왕은 이것을 몰랐습니다. 왕의 총리는 유대인을 미워하는 사람인 하만이었습니다.
에스더의 삼촌은 하만에게 절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너무 화가 나서 모든 유대인을 죽일 계획을 세웠고, 날짜를 결정하기 위해 많은 옵션 중에서 무작위로 무언가를 선택하는 방법인 제비뽑기를 하였습니다. 제비뽑기에 해당하는 페르시아단어는 부림이었습니다. 허락 없이 왕을 만나러 가는 사람은 누구든지 사형을 당했지만, 에스더는 용감하게 남편에게 자신의 종교에 대해 이야기했고 민족을 위해 일어섰습니다. 왕은 에스더를 용서했고 하만은 벌을 받았고 유대인들은 구원받았습니다.
* How do Jewish people celebrate Purim?
The full story of Esther is read aloud at the synagogue - a house of prayer for Jewish people. Every time Haman's name is mentioned the children stamp their feet, boo, hiss and shake rattles in an attempt to drown out the sound of his name. After the service, some children dress up and act out the story but they also give gifts to their friends and to the poor. The most well known food eaten during Purim are pastries called Hamantaschen, which are filled with poppy seeds. They eat seeds because Esther only ate seeds while she lived in the King's palace. This festival is important to Jews as they are remembering God's power to save them and that good overcomes evil. They can apply this teaching to their own lives and actions.
* 유대인들은 부림절을 어떻게 기념합니까?
에스더의 전체 이야기는 유대 민족을 위한 기도의 집인 회당에서 큰 소리로 읽힙니다. 하만의 이름이 언급될 때마다 아이들은 발을 구르고 야유하고 쉭쉭거리며 딸랑이를 흔들어 그의 이름이 들리지 않게 합니다. 예배 후에 어떤 아이들은 분장을 하고 이야기를 연기하기도 하지만 친구들과 가난한 사람들에게 선물을 주기도 합니다. 부림절에 먹는 가장 잘 알려진 음식은 양귀비 씨로 속을 채운 하만타쉔(Hamantaschen)이라고 불리는 페이스트리입니다. 그들은 에스더가 왕궁에 있을 때 씨만 먹었기 때문에 씨를 먹습니다. 이 축제는 유대인들이 그들을 구원하는 하나님의 능력과 선이 악을 이긴다는 것을 기억하기 때문에 유대인들에게 중요합니다. 그들은 이 가르침을 자신의 삶과 행동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Recording duplications appears to be one of the favorite compositional techniques of the writer. In addition to the three groups of banquets that come in pairs there are two lists of the king's servants (1:10,14), two reports that Esther concealed her identity (2:10,20), two gatherings of women (2:8,19), two fasts (4:3,16), two consultations of Haman with his wife and friends (5:14; 6:13), two unscheduled appearances of Esther before the king (5:2; 8:3), two investitures for Mordecai (6:10-11; 8:15), two coverings of Haman's face (6:12; 7:8), two royal edicts (3:12-15; 8:1-14), two references to the subsiding of the king's anger (2:1; 7:10), two references to the irrevocability of the Persian laws (1:19; 8:8), two days for the Jews to take vengeance (9:5-12,13-15) and two letters instituting the commemoration of Purim (9:20-28,29-32).
중복표현(Recording duplications)은 저자가 좋아한 저술 기법들 중 하나로 등장합니다. 쌍을 이루는 세 잔치들의 그룹에 덧붙여 에스더서에는 중복된 많은 목록들이 등장합니다. 왕의 종들에 관한 두 가지 목록(1:10,14), 에스더가 그녀의 신분을 감추는 두 번의 기사(2:10,20), 부인들이 모이는 두 번의 모임(2:8,19), 두 번의 금식(4:3,16), 하만과 그의 부인과 친구들 사이의 두 번의 상의(5:14;6:13), 왕 앞에 모습을 보이는 에스더의 갑작스런 두 번의 알현(5:2;8:3), 모르드개가 두번에 걸쳐 상 받은 일(6:10-11;8:15), 두 번에 걸쳐 하만의 얼굴을 가리운 일(6:12;7:8), 두 가지 왕의 칙령(3:12-15; 8:1-14), 왕의 진노가 가라앉은 것에 대한 두 가지 언급(2:1; 7:10), 페르시아 법의 취소 불가능성에 대한 두 가지 언급(1:19; 8:8), 유대인들이 복수를 할 수 있는 날 이틀(9:5-15), 부림절을 기념하는 두 개의 편지(9:20-32).
An outstanding feature of this book -- one that has given rise to considerable discussion -- is the complete absence of any explicit reference to God, worship, prayer, or sacrifice. This "secularity" has produced many detractors who have judged the book to be of little religious value. However, it appears that the author has deliberately refrained from mentioning God or any religious activity as a literary device to heighten the fact that it is God who controls and directs all the seemingly insignificant coincidences (see, e.g., note on 6:1) that make up the plot and issue in deliverance for the Jews. God's sovereign rule is assumed at every point (see note on 4:12-16), an assumption made all the more effective by the total absence of reference to him. It becomes clear to the careful reader that Israel's Great King exercises his providential and sovereign control over all the vicissitudes of his beleaguered covenant people.
상당한 토론을 불러일으킨 이 책의 두드러진 특징은 하나님, 예배, 기도 또는 희생제사에 대한 명시적 언급이 전혀 없다는 점입니다. 이 "세속성"은 이 책이 종교적 가치가 거의 없다고 판단하는 비방자들을 많이 배출했습니다. 그러나 저자는 하찮아 보이는 모든 우연의 일치(6:1 참조)를 통제하고 지시하시는 분은 하나님이시라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해 고도의 문장 수법으로 하나님이나 종교 활동을 언급하는 것을 의도적으로 자제한 것으로 보입니다. 본문에서 사소한 듯하지만 때에 적절한 사건들은 사실 유대인들을 구원하는 일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나님의 절대적인 통치가 구석구석에 전제되어 있습니다(4:12-16 참조). 그리고 하나님에 관한 언급이 전혀 없다는 사실이 실제에 있어서는 하나님이 주권적으로 통치하신다는 사실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암시해 주고 있는 것입니다. 신중한 독자라면 이스라엘의 위대한 왕이 괴로운 입장에 처해있는 그의 언약 백성의 모든 역경逆境과 부침浮沈 성쇠盛衰에 대해 섭리적이고 주권적인 통제를 하신다는 사실을 분명히 알게 될 것입니다.
Outline
개요
크세르크세스의 잔치(1:1;2:18)
폐위된 와스디(1장)
에스더가 왕비가 됨 (2:1-18)
에스더의 잔치(2:19;7:10)
모르드개가 음모를 밝히다 (2:19-23)
하만의 음모(3장)
모르드개가 에스더를 설득하여 돕게 하다(4장)
에스더가 왕에게 청함: 그녀의 첫 연회(5:1-8)
잠 못 이루는 밤 (5:9;6:14)
교수형에 처한 하만: 에스더의 두 번째 연회(7장)
부림절(8-10장)
유대인을 위한 왕의 칙령(8장)
부림절 제도(9장)
모르드개의 승진(10장)
From the NIV Study Bible, Introductions to the Books of the Bible, Esther
Copyright 2002 © Zondervan. All rights reserved. Used with permiss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