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大般若波羅蜜多經
제12권
-대반야바라밀다경 제12권 목차-
◘初分教誡教授品第七之二
◆불응관인연 약상 약무상(不應觀因緣 若常 若無常)
◆불응관인연 약낙 약고(不應觀因緣 若樂 若苦)
◆불응관인연 약아 약무아(不應觀因緣 若我 若無我)
◆불응관인연 약정 약부정(不應觀因緣 若淨 若不淨)
◆불응관인연 약공 약불공(不應觀因緣 若空 若不空)
◆불응관인연 약유상 약무상(不應觀因緣 若有相 若無相)
◆불응관인연 약유원 약무원(不應觀因緣 若有願 若無願)
◆불응관인연 약적정 약불적정(不應觀因緣 若寂靜 若不寂靜)
◆불응관인연 약원리 약불원리(不應觀因緣 若遠離 若不遠離)
◆불응관인연 약유위 약무위(不應觀因緣 若有爲 若無爲)
◆불응관인연 약유루 약무루(不應觀因緣 若有漏 若無漏)
◆불응관인연 약생 약멸(不應觀因緣 若生 若滅)
◆불응관인연 약선 약비선(不應觀因緣 若善 若非善)
◆불응관인연 약유죄 약무죄(不應觀因緣 若有罪 若無罪)
◆불응관인연 약유번뇌 약무번뇌(不應觀因緣 若有煩惱 若無煩惱)
◆불응관인연 약세간 약출세간(不應觀因緣 若世閒 若出世閒)
◆불응관인연 약잡염 약청정(不應觀因緣 若雜染 若淸淨)
◆불응관인연 약속생사 약속열반(不應觀因緣 若屬生死 若屬涅槃)
◆불응관인연 약재내 약재외 약재양간(不應觀因緣 若在內 若在外 若在兩閒)
◆불응관인연 약가득 약불가득(不應觀因緣 若可得 若不可得)
◆불응관종연생법(不應觀從緣生法)
◆불응관무명 약상 약무상(不應觀無明 若常 若無常)
◆불응관무명 약낙 약고(不應觀無明 若樂 若苦)
◆불응관무명 약아 약무아(不應觀無明 若我 若無我)
◆불응관무명 약정 약부정(不應觀無明 若淨 若不淨)
◆불응관무명 약공 약불공(不應觀無明 若空 若不空)
◆불응관무명 약유상 약무상(不應觀無明 若有相 若無相)
◆불응관무명 약유원 약무원(不應觀無明 若有願 若無願)
◆불응관무명 약적정 약불적정(不應觀無明 若寂靜 若不寂靜)
◆불응관무명 약원리 약불원리(不應觀無明 若遠離 若不遠離)
◆불응관무명 약유위 약무위(不應觀無明 若有爲 若無爲)
◆불응관무명 약유루 약무루(不應觀無明 若有漏 若無漏)
◆불응관무명 약생 약멸(不應觀無明 若生 若滅)
◆불응관무명 약선 약비선(不應觀無明 若善 若非善)
◆불응관무명 약유죄 약무죄(不應觀無明 若有罪 若無罪)
◆불응관무명 약유번뇌 약무번뇌(不應觀無明 若有煩惱 若無煩惱)
◆불응관무명 약세간 약출세간(不應觀無明 若世閒 若出世閒)
◆불응관무명 약잡염 약청정(不應觀無明 若雜染 若淸淨)
◆불응관무명 약속생사 약속열반(不應觀無明 若屬生死 若屬涅槃)
◆불응관무명 약재내 약재외 약재양간(不應觀無明 若在內 若在外 若在兩閒)
◆불응관무명 약가득 약불가득(不應觀無明 若可得 若不可得)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상 약무상(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常 若無常)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낙 약고(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樂 若苦)
◆불응관보시바라밀다 (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我 若無我)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정 약부정(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淨 若不淨)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공 약불공(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空 若不空)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유상 약무상(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有相 若無相)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유원 약무원(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有願 若無願)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적정 약불적정(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寂靜 若不寂靜)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원리 약불원리(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遠離 若不遠離)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유위 약무위(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有爲 若無爲)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유루 약무루(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有漏 若無漏)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생 약멸(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生 若滅)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선 약비선(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善 若非善)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유죄 약무죄(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有罪 若無罪)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유번뇌 약무번뇌(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有煩惱 若無煩惱)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세간 약출세간(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世閒 若出世閒)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잡염 약청정(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雜染 若淸淨)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속생사 약속열반(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屬生死 若屬涅槃)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재내 약재외 약재양간(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在內 若在外 若在兩閒)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가득 약불가득(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可得 若不可得)
◆불응관내공 약상 약무상(不應觀內空 若常 若無常)
◆불응관내공 약낙 약고(不應觀內空 若樂 若苦)
◆불응관내공 약아 약무아(不應觀內空 若我 若無我)
◆불응관내공 약정 약부정(不應觀內空 若淨 若不淨)
◆불응관내공 약공 약불공(不應觀內空 若空 若不空)
◆불응관내공 약유상 약무상(不應觀內空 若有相 若無相)
◆불응관내공 약유원 약무원(不應觀內空 若有願 若無願)
◆불응관내공 약적정 약불적정(不應觀內空 若寂靜 若不寂靜)
◆불응관내공 약원리 약불원리(不應觀內空 若遠離 若不遠離)
◆불응관내공 약유위 약무위(不應觀內空 若有爲 若無爲)
◆불응관내공 약유루 약무루(不應觀內空 若有漏 若無漏)
◆불응관내공 약은 약현(不應觀內空 若隱 若顯)
◆불응관내공 약선 약비선(不應觀內空 若善 若非善)
◆불응관내공 약유죄 약무죄(不應觀內空 若有罪 若無罪)
◆불응관내공 약유번뇌 약무번뇌(不應觀內空 若有煩惱 若無煩惱)
◆불응관내공 약세간 약출세간(不應觀內空 若世閒 若出世閒)
◆불응관내공 약잡여 약청정(不應觀內空 若雜染 若淸淨)
◆불응관내공 약속생사 약속열반(不應觀內空 若屬生死 若屬涅槃)
◆불응관내공 약재내 약재외 약재양간(不應觀內空 若在內 若在外 若在兩間)
◆불응관내공 약가득 약불가득(不應觀內空 若可得 若不可得)
◆불응관진여 약상 약무상(不應觀眞如 若常 若無常)
◆불응관진여 약낙 약고(不應觀眞如 若樂 若苦)
◆불응관진여 약아 약무아(不應觀眞如 若我 若無我)
◆불응관진여 약정 약부정(不應觀眞如 若淨 若不淨)
◆불응관진여 약공 약불공(不應觀眞如 若空 若不空)
◆불응관진여 약유상 약무상(不應觀眞如 若有相 若無相)
◆불응관진여 약유원 약무원(不應觀眞如 若有願 若無願)
◆불응관진여 약적정 약불적정(不應觀眞如 若寂靜 若不寂靜)
◆불응관진여 약원리 약불원리(不應觀眞如 若遠離 若不遠離)
◆불응관진여 약유위 약무위(不應觀眞如 若有爲 若無爲)
◆불응관진여 약유루 약무루(不應觀眞如 若有漏 若無漏)
◆불응관진여 약은 약현(不應觀眞如 若隱 若顯)
◆불응관진여 약선 약비선(不應觀眞如 若善 若非善)
◆불응관진여 약유죄 약무죄(不應觀眞如 若有罪 若無罪)
◆불응관진여 약유번뇌 약무번뇌(不應觀眞如 若有煩惱 若無煩惱)
◆불응관진여 약세간 약출세간(不應觀眞如 若世間 若出世間)
◆불응관진여 약잡염 약청정(不應觀眞如 若雜染 若淸淨)
◆불응관진여 약속생사 약속열반(不應觀眞如 若屬生死 若屬涅槃)
◆불응관진여 약재내 약재외 약재양간(不應觀眞如 若在內 若在外 若在兩間)
◆불응관진여 약가득 약불가득(不應觀眞如 若可得 若不可得)
◆불응관사념주 약상 약무상(不應觀四念住 若常 若無常)
◆불응관사념주 약낙 약고(不應觀四念住 若樂 若苦)
◆불응관사념주 약아 약무아(不應觀四念住 若我 若無我)
◆불응관사념주 약정 약부정(不應觀四念住 若淨 若不淨)
◆불응관사념주 (不應觀四念住 若空 若不空)
◆불응관사념주 약유정 약무상(不應觀四念住 若有相 若無相)
◆불응관사념주 약유원 약무원(不應觀四念住 若有願 若無願)
◆불응관사념주 약적정 약불적정(不應觀四念住 若寂靜 若不寂靜)
◆불응관사념주 약원리 약불원리(不應觀四念住 若遠離 若不遠離)
◆불응관사념주 약유위 약무위(不應觀四念住 若有爲 若無爲)
◆불응관사념주 약유루 약무루(不應觀四念住 若有漏 若無漏)
◆불응관사념주 약생 약멸(不應觀四念住 若生 若滅)
◆불응관사념주 약선 약멸(不應觀四念住 若善 若非善)
◆불응관사념주 약유죄 약무죄(不應觀四念住 若有罪 若無罪)
◆불응관사념주 약유번뇌 약무번뇌(不應觀四念住 若有煩惱 若無煩惱)
◆불응관사념주 약세간 약출세간(不應觀四念住 若世間 若出世間)
◆불응관사념주 약잡염 약청정(不應觀四念住 若雜染 若淸淨)
◆불응관사념주 약속생사 약속열반(不應觀四念住 若屬生死 若屬涅槃)
◆불응관사념주 약재내 약재외 약재양간(不應觀四念住 若在內 若在外 若在兩間)
◆불응관사념주 약가득 약불가득(不應觀四念住 若可得 若不可得)
◆불응관고성제 약상 약무상(不應觀苦聖諦 若常 若無常)
◆불응관고성제 약낙 약고(不應觀苦聖諦 若樂 若苦)
◆불응관고성제 약아 약무아(不應觀苦聖諦 若我 若無我)
◆불응관고성제 약정 약부정(不應觀苦聖諦 若淨 若不淨)
◆불응관고성제 약공 약불공(不應觀苦聖諦 若空 若不空)
◆불응관고성제 약유상 약무상(不應觀苦聖諦 若有相 若無相)
◆불응관고성제 약유원 약무원(不應觀苦聖諦 若有願 若無願)
◆불응관고성제 약적정 약불적정(不應觀苦聖諦 若寂靜 若不寂靜)
◆불응관고성제 약원리 약불원리(不應觀苦聖諦 若遠離 若不遠離)
◆불응관고성제 약유위 약무위(不應觀苦聖諦 若有爲 若無爲)
◆불응관고성제 약유루 약무루(不應觀苦聖諦 若有漏 若無漏)
◆불응관고성제 약생 약멸(不應觀苦聖諦 若生 若滅)
◆불응관고성제 약선 약비선(不應觀苦聖諦 若善 若非善)
◆불응관고성제 약유죄 약무죄(不應觀苦聖諦 若有罪 若無罪)
◆불응관고성제 약유번뇌 약무번뇌(不應觀苦聖諦 若有煩惱 若無煩惱)
◆불응관고성제 약세간 약출세간(不應觀苦聖諦 若世間 若出世間)
◆불응관고성제 약잡염 약청정(不應觀苦聖諦 若雜染 若淸淨)
◆불응관고성제 약속생사 약속열반(不應觀苦聖諦 若屬生死 若屬涅槃)
◆불응관고성제 약재내 약재외 약재양간(不應觀苦聖諦 若在內 若在外 若在兩間)
◆불응관고성제 약가득 약불가득(不應觀苦聖諦 若可得 若不可得)
◆불응관사정려 약상 약무상(不應觀四靜慮 若常 若無常)
◆불응관사정려 약낙 약고(不應觀四靜慮 若樂 若苦)
◆불응관사정려 약아 약무아(不應觀四靜慮 若我 若無我)
◆불응관사정려 약정 약부정(不應觀四靜慮 若淨 若不淨)
◆불응관사정려 약공 약불공(不應觀四靜慮 若空 若不空)
◆불응관사정려 약유상 약무상(不應觀四靜慮 若有相 若無相)
◆불응관사정려 약유원 약무원(不應觀四靜慮 若有願 若無願)
◆불응관사정려 약적정 약불적정(不應觀四靜慮 若寂靜 若不寂靜)
◆불응관사정려 약원리 약불원리(不應觀四靜慮 若遠離 若不遠離)
◆불응관사정려 약유위 약무위(不應觀四靜慮 若有爲 若無爲)
◆불응관사정려 약유루 약무루(不應觀四靜慮 若有漏 若無漏)
◆불응관사정려 약생 약멸(不應觀四靜慮 若生 若滅)
◆불응관사정려 약선 약비선(不應觀四靜慮 若善 若非善)
◆불응관사정려 약유죄 약무죄(不應觀四靜慮 若有罪 若無罪)
◆불응관사정려 약유번뇌 약무번뇌(不應觀四靜慮 若有煩惱 若無煩惱)
◆불응관사정려 약세간 약출세간(不應觀四靜慮 若世間 若出世間)
◆불응관사정려 약잡염 약청정(不應觀四靜慮 若雜染 若淸淨)
◆불응관사정려 약속생사 약속열반(不應觀四靜慮 若屬生死 若屬涅槃)
◆불응관사정려 약재내 약재외 약재양간(不應觀四靜慮 若在內 若在外 若在兩間)
◆불응관사정려 약가득 약불가득(不應觀四靜慮 若可得 若不可得)
◆불응관팔해탈 약상 약무상(不應觀八解脫 若常 若無常)
◆불응관팔해탈 약낙 약고(不應觀八解脫 若樂 若苦)
◆불응관팔해탈 약아 약무아(不應觀八解脫 若我 若無我)
◆불응관팔해탈 (不應觀八解脫 若淨 若不淨)
◆불응관팔해탈 약공 약불공(不應觀八解脫 若空 若不空)
◆불응관팔해탈 약유상 약무상(不應觀八解脫 若有相 若無相)
◆불응관팔해탈 약유원 약무원(不應觀八解脫 若有願 若無願)
◆불응관팔해탈 약적정 약불적정(不應觀八解脫 若寂靜 若不寂靜)
◆불응관팔해탈 약원리 약불원리(不應觀八解脫 若遠離 若不遠離)
◆불응관팔해탈 약유위 약무위(不應觀八解脫 若有爲 若無爲)
◆불응관팔해탈 약유루 약무루(不應觀八解脫 若有漏 若無漏)
◆불응관팔해탈 약생 약멸(不應觀八解脫 若生 若滅)
◆불응관팔해탈 약선 약비선(不應觀八解脫 若善 若非善)
◆불응관팔해탈 약유죄 약무죄(不應觀八解脫 若有罪 若無罪)
◆불응관팔해탈 약유번뇌 약무번뇌(不應觀八解脫 若有煩惱 若無煩惱)
◆불응관팔해탈 약세간 약출세간(不應觀八解脫 若世間 若出世間)
◆불응관팔해탈 약잡염 약청정(不應觀八解脫 若雜染 若淸淨)
◆불응관팔해탈 약속생사 약속해탈(不應觀八解脫 若屬生死 若屬涅槃)
◆불응관팔해탈 약재내 약재외 약재양간(不應觀八解脫 若在內 若在外 若在兩間)
◆불응관팔해탈 약가득 약불가득(不應觀八解脫 若可得 若不可得)
◆불응관공해탈문 약상 약무상(不應觀空解脫門 若常 若無常)
◆불응관공해탈문 약낙 약고(不應觀空解脫門 若樂 若苦)
◆불응관공해탈문 약아 약무아(不應觀空解脫門 若我 若無我)
◆불응관공해탈문 약정 약부정(不應觀空解脫門 若淨 若不淨)
◆불응관공해탈문 약공 약불공(不應觀空解脫門 若空 若不空)
◆불응관공해탈문 약유상 약무상(不應觀空解脫門 若有相 若無相)
◆불응관공해탈문 약유원 약무원(不應觀空解脫門 若有願 若無願)
◆불응관공해탈문 약적멸 약불적멸(不應觀空解脫門 若寂靜 若不寂靜)
◆불응관공해탈문 약원리 약불원리(不應觀空解脫門 若遠離 若不遠離)
◆불응관공해탈문 약유위 약무위(不應觀空解脫門 若有爲 若無爲)
◆불응관공해탈문 약유루 약무루(不應觀空解脫門 若有漏 若無漏)
◆불응관공해탈문 약생 약멸(不應觀空解脫門 若生 若滅)
◆불응관공해탈문 약선 약비선(不應觀空解脫門 若善 若非善)
◆불응관공해탈문 약유죄 약무죄(不應觀空解脫門 若有罪 若無罪)
◆불응관공해탈문 약유번뇌 약무번뇌(不應觀空解脫門 若有煩惱 若無煩惱)
◆불응관공해탈문 약세간 약출세간(不應觀空解脫門 若世間 若出世間)
◆불응관공해탈문 약잡염 약청정(不應觀空解脫門 若雜染 若淸淨)
◆불응관공해탈문 약속생사 약속열반(不應觀空解脫門 若屬生死 若屬涅槃)
◆불응관공해탈문 약재내 약재외 약재양간(不應觀空解脫門 若在內 若在外 若在兩間)
◆불응관공해탈문 약가득 약불가득(不應觀空解脫門 若可得 若不可得)
◆불응관다라니문 약상 약무상(不應觀陁羅尼門 若常 若無常)
◆불응관다라니문 약낙 약고(不應觀陁羅尼門 若樂 若苦)
◆불응관다라니문 약아 약무아(不應觀陁羅尼門 若我 若無我)
◆불응관다라니문 약정 약부정(不應觀陁羅尼門 若淨 若不淨)
◆불응관다라니문 약공 약불공(不應觀陁羅尼門 若空 若不空)
◆불응관다라니문 약유상 약무상(不應觀陁羅尼門 若有相 若無相)
◆불응관다라니문 약유원 약무원(不應觀陁羅尼門 若有願 若無願)
◆불응관다라니문 약적정 약불적정(不應觀陁羅尼門 若寂靜 若不寂靜)
◆불응관다라니문 약원리 약불원리(不應觀陁羅尼門 若遠離 若不遠離)
◆불응관다라니문 약유위 약무위(不應觀陁羅尼門 若有爲 若無爲)
◆불응관다라니문 약유루 약무루(不應觀陁羅尼門 若有漏 若無漏)
◆불응관다라니문 약생 약멸(不應觀陁羅尼門 若生 若滅)
◆불응관다라니문 약선 약비선(不應觀陁羅尼門 若善 若非善)
◆불응관다라니문 약유죄 약무죄(不應觀陁羅尼門 若有罪 若無罪)
◆불응관다라니문 약유번뇌 약무번뇌(不應觀陁羅尼門 若有煩惱 若無煩惱)
◆불응관다라니문 약세간 약출세간(不應觀陁羅尼門 若世間 若出世間)
◆불응관다라니문 약잡염 약청정(不應觀陁羅尼門 若雜染 若淸淨)
◆불응관다라니문 약속생사 약속열반(不應觀陁羅尼門 若屬生死 若屬涅槃)
◆불응관다라니문 약재내 약재외 약재양간(不應觀陁羅尼門 若在內 若在外 若在兩間)
◆불응관다라니문 약가득 약불가득(不應觀陁羅尼門 若可得 若不可得)
◆불응관희구지 약상 약무상(不應觀極喜地 若常 若無常)
◆불응관희구지 약낙 약고(不應觀極喜地 若樂 若苦)
◆불응관희구지 약아 약무아(不應觀極喜地 若我 若無我)
◆불응관희구지 약정 약부정(不應觀極喜地 若淨 若不淨)
◆불응관희구지 약공 약불공(不應觀極喜地 若空 若不空)
◆불응관희구지 약유상 약무상(不應觀極喜地 若有相 若無相)
◆불응관희구지 약유원 약무원(不應觀極喜地 若有願 若無願)
◆불응관희구지 약적정 약불적정(不應觀極喜地 若寂靜 若不寂靜)
◆불응관희구지 약원리 약불원리(不應觀極喜地 若遠離 若不遠離)
◆불응관희구지 약유위 약무위(不應觀極喜地 若有爲 若無爲)
◆불응관희구지 약유루 약무루(不應觀極喜地 若有漏 若無漏)
◆불응관희구지 약유루 약무루(不應觀極喜地 若有漏 若無漏)
◆불응관희구지 약선 약비선(不應觀極喜地 若善 若非善)
◆불응관희구지 약유죄 약무죄(不應觀極喜地 若有罪 若無罪)
◆불응관희구지 약유번뇌 약무번뇌(不應觀極喜地 若有煩惱 若無煩惱)
◆불응관희구지 약세간 약출세간(不應觀極喜地 若世間 若出世間)
◆불응관희구지 약잡염 약청정(不應觀極喜地 若雜染 若淸淨)
◆불응관희구지 약속생사 약속열반(不應觀極喜地 若屬生死 若屬涅槃)
◆불응관희구지 약재내 약재외 약재양간(不應觀極喜地 若在內 若在外 若在兩間)
◆불응관희구지 약가득 야불가득(不應觀極喜地 若可得 若不可得)
◆불응관오안 약상 약무상(不應觀五眼 若常 若無常)
◆불응관오안 약낙 약고(不應觀五眼 若樂 若苦)
◆불응관오안 약아 약무아(不應觀五眼 若我 若無我)
◆불응관오안 약정 약부정(不應觀五眼 若淨 若不淨)
◆불응관오안 약공 약불공(不應觀五眼 若空 若不空)
◆불응관오안 약유상 약무상(不應觀五眼 若有相 若無相)
◆불응관오안 약유원 약무원(不應觀五眼 若有願 若無願)
◆불응관오안 약적정 약불적정(不應觀五眼 若寂靜 若不寂靜)
◆불응관오안 약원리 약불원리(不應觀五眼 若遠離 若不遠離)
◆불응관오안 약유위 약무위(不應觀五眼 若有爲 若無爲)
◆불응관오안 약유루 약무루(不應觀五眼 若有漏 若無漏)
◆불응관오안 약생 약멸(不應觀五眼 若生 若滅)
◆불응관오안 약선 약비선(不應觀五眼 若善 若非善)
◆불응관오안 약유죄 약무죄(不應觀五眼 若有罪 若無罪)
◆불응관오안 약유번뇌 약무번뇌(不應觀五眼 若有煩惱 若無煩惱)
◆불응관오안 약세간 약출세간(不應觀五眼 若世閒 若出世閒)
◆불응관오안 약잡염 약청정(不應觀五眼 若雜染 若淸淨)
◆불응관오안 약속생사 약속열반(不應觀五眼 若屬生死 若屬涅槃)
◆불응관오안 약재내 약재외 약재양간(不應觀五眼 若在內 若在外 若在兩閒)
◆불응관오안 약가득 약불가득(不應觀五眼 若可得 若不可得)
初分教誡教授品第七之二
초분교계교수품제7의2
◆불응관인연 약상 약무상(不應觀因緣 若常 若無常)
◙復次에善現아諸菩薩摩訶薩이修行般若波羅蜜多時에❮如是應觀❯하니라.
『또 다시 선현아!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할 때에, 이와 같이 관해야 한다.』
●不應觀-因緣이若常커나若無常이니라
『인연이 유상(有常)이라거나 무상(無常)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等無閒緣、所緣緣、增上緣이若常커나若無常이니라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이 유상(有常)이라거나 무상(無常)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인연 약낙 약고(不應觀因緣 若樂 若苦)
●不應觀-因緣이若樂커나若苦이니라
『인연이 즐겁다거나 괴롭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等無閒緣、所緣緣、增上緣이若樂커나若苦이니라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이 즐겁다거나 괴롭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인연 약아 약무아(不應觀因緣 若我 若無我)
●不應觀-因緣이若我커나若無我이니라
『인연이 ‘나’라거나 무아(無我)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等無閒緣、所緣緣、增上緣이若我커나若無我이니라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이 ‘나’라거나 무아(無我)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인연 약정 약부정(不應觀因緣 若淨 若不淨)
●不應觀-因緣이若淨커나若不淨이니라
『인연이 깨끗하다거나 부정(不淨)하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等無閒緣、所緣緣、增上緣이若淨커나若不淨이니라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이 깨끗하다거나 부정(不淨)하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인연 약공 약불공(不應觀因緣 若空 若不空)
●不應觀-因緣이若空커나若不空이니라
『인연이 공(空)이라거나 공이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等無閒緣、所緣緣、增上緣이若空커나若不空이니라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이 공(空)이라거나 공이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인연 약유상 약무상(不應觀因緣 若有相 若無相)
●不應觀-因緣이若有相커나若無相이니라
『인연이 유상(有相)이라거나 무상(無相)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等無閒緣、所緣緣、增上緣이若有相커나若無相이니라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이 유상(有相)이라거나 무상(無相)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인연 약유원 약무원(不應觀因緣 若有願 若無願)
●不應觀-因緣이若有願커나若無願이니라
『인연이 유원(有願)이라거나 무원(無願)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等無閒緣、所緣緣、增上緣이若有願커나若無願이니라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이 유원(有願)이라거나 무원(無願)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인연 약적정 약불적정(不應觀因緣 若寂靜 若不寂靜)
●不應觀-因緣이若寂靜커나若不寂靜이니라
『인연이 적정(寂靜)이라거나 적정이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等無閒緣、所緣緣、增上緣이若寂靜커나若不寂靜이니라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이 적정(寂靜)이라거나 적정이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인연 약원리 약불원리(不應觀因緣 若遠離 若不遠離)
●不應觀-因緣이若遠離커나若不遠離이니라
『인연이 원리(遠離)라거나 원리가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等無閒緣、所緣緣、增上緣이若遠離커나若不遠離이니라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이 원리(遠離)라거나 원리가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인연 약유위 약무위(不應觀因緣 若有爲 若無爲)
●不應觀-因緣이若有爲커나若無爲이니라
『인연이 유위(有爲)라거나 무위(無爲)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等無閒緣、所緣緣、增上緣이若有爲커나若無爲이니라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이 유위(有爲)라거나 무위(無爲)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인연 약유루 약무루(不應觀因緣 若有漏 若無漏)
●不應觀-因緣이若有漏커나若無漏이니라
『인연이 유루(有漏)라거나 무루(無漏)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等無閒緣、所緣緣、增上緣이若有漏커나若無漏이니라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이 유루(有漏)라거나 무루(無漏)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인연 약생 약멸(不應觀因緣 若生 若滅)
●不應觀-因緣이若生커나若滅이니라
『인연이 생(生)이라거나 멸(滅)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等無閒緣、所緣緣、增上緣이若生커나若滅이니라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이 생(生)이라거나 멸(滅)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인연 약선 약비선(不應觀因緣 若善 若非善)
●不應觀-因緣이若善커나若非善이니라
『인연이 선(善)이라거나 선이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等無閒緣、所緣緣、增上緣이若善커나若非善이니라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이 선(善)이라거나 선이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인연 약유죄 약무죄(不應觀因緣 若有罪 若無罪)
●不應觀-因緣이若有罪커나若無罪이니라
『인연이 죄가 있다거나 죄가 없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等無閒緣、所緣緣、增上緣이若有罪커나若無罪이니라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이 죄가 있다거나 죄가 없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인연 약유번뇌 약무번뇌(不應觀因緣 若有煩惱 若無煩惱)
●不應觀-因緣 若有煩惱커나若無煩惱이니라
『인연이 번뇌가 있다거나 번뇌가 없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等無閒緣、所緣緣、增上緣 若有煩惱커나若無煩惱이니라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이 번뇌가 있다거나 번뇌가 없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인연 약세간 약출세간(不應觀因緣 若世閒 若出世閒)
●不應觀-因緣이若世閒커나若出世閒이니라
『인연이 세간이라거나 출세간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等無閒緣、所緣緣、增上緣이若世閒커나若出世閒이니라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이 세간이라거나 출세간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인연 약잡염 약청정(不應觀因緣 若雜染 若淸淨)
●不應觀-因緣이若雜染커나若淸淨이니라
『인연이 잡염(雜染)이라거나 청정(淸淨)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等無閒緣、所緣緣、增上緣이若雜染커나若淸淨이니라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이 잡염(雜染)이라거나 청정(淸淨)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인연 약속생사 약속열반(不應觀因緣 若屬生死 若屬涅槃)
●不應觀-因緣이若屬生死커나若屬涅槃이니라
『인연이 생사에 속한다거나 열반에 속한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等無閒緣、所緣緣、增上緣이若屬生死커나若屬涅槃이니라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이 생사에 속한다거나 열반에 속한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인연 약재내 약재외 약재양간(不應觀因緣 若在內 若在外 若在兩閒)
●不應觀-因緣이若在內커나若在外커나若在兩閒이니라
『인연이 안에 존재한다거나 밖에 존재한다거나 양 사이에 존재한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等無閒緣、所緣緣、增上緣이若在內커나若在外커나若在兩閒이니라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이 안에 존재한다거나 밖에 존재한다거나 양 사이에 존재한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인연 약가득 약불가득(不應觀因緣 若可得 若不可得)
●不應觀-因緣을若可得커나若不可得이니라
『인연을 얻을 수 있다거나 얻지 못하는 것이라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等無閒緣、所緣緣、增上緣을若可得커나若不可得이니라
『등무간연과 소연연과 증상연을, 얻을 수 있다거나 얻지 못하는 것이라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종연생법(不應觀從緣生法)
◙復次에善現에諸菩薩摩訶薩이修行般若波羅蜜多時에❮如是應觀❯하니라.
『또 다시 선현아!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할 때에, 이와 같이 관해야 한다.』
●不應觀從緣生法이若常커나若無常이니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이 유상(有常)이라거나 무상(無常)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從緣生法이若樂커나若苦이니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이 즐겁다거나 괴롭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從緣生法이若我커나若無我이니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이 ‘나’라거나 무아(無我)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從緣生法이若淨커나若不淨이니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이 깨끗하다거나 부정(不淨)하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從緣生法이若若空커나若不空이니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이 공(空)이라거나 공이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從緣生法이若有相커나若無相이니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이 유상(有相)이라거나 무상(無相)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從緣生法이若有願커나若無願이니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이 유원(有願)이라거나 무원(無願)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從緣生法이若寂靜커나若不寂靜이니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이 적정(寂靜)이라거나 적정이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從緣生法이若遠離커나若不遠離이니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이 원리(遠離)라거나 원리가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從緣生法이若有爲커나若無爲이니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이 유위(有爲)라거나 무위(無爲)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從緣生法이若有漏커나若無漏이니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이 유루(有漏)라거나 무루(無漏)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從緣生法이若生커나若滅이니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이 생(生)이라거나 멸(滅)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從緣生法이若善커나若非善이니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이 선(善)이라거나 선이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從緣生法이若有罪커나若無罪이니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이 죄가 있다거나 죄가 없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從緣生法이若有煩惱커나若無煩惱이니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이 번뇌가 있다거나 번뇌가 없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從緣生法이若世閒커나若出世閒이니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이 세간(世間)이라거나 출세간(出世間)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從緣生法이若雜染커나若淸淨이니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이 잡염(雜染)이라거나 청정(淸淨)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從緣生法이若屬生死커나若屬涅槃이니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이 생사에 속한다거나 열반에 속한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從緣生法이若在內커나若在外커나若在兩閒이니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이 안에 존재한다거나 밖에 존재한다거나 양 사이에 존재한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從緣生法을若可得커나若不可得이니라
『인연에서 생겨난 법을 얻을 수 있다거나 얻지 못하는 것이라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무명 약상 약무상(不應觀無明 若常 若無常)
◙復次에善現아諸菩薩摩訶薩이修行般若波羅蜜多時에❮如是應觀❯하니라
『또 다시 선현아!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할 때에, 이와 같이 관해야 한다.』
●不應觀-無明이若常커나若無常이니라
『무명이 유상하다거나 무상하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行、識、名色、六處、觸、受、愛、取、有、生、老死와愁歎苦憂惱가若常커나若無常이니라
『행과 식과 명색과 육처와 촉과 수와 애와 취와 유와 생과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유상하다거나 무상하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무명 약낙 약고(不應觀無明 若樂 若苦)
●不應觀-無明이若樂커나若苦이니라
『무명이 즐겁다거나 괴롭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行乃至老死와愁歎苦憂惱가若樂 커나若苦이니라
『행에서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즐겁다거나 괴롭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무명 약아 약무아(不應觀無明 若我 若無我)
●不應觀-無明이若我커나若無我이니라
『무명이 ‘나’라거나 무아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行乃至老死와愁歎苦憂惱가若我커나若無我이니라
『행에서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나’라거나 무아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무명 약정 약부정(不應觀無明 若淨 若不淨)
●不應觀-無明이若淨커나若不淨이니라
『무명이 깨끗하다거나 부정하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行乃至老死와愁歎苦憂惱가若淨若커나不淨이니라
『행에서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깨끗하다거나 부정하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무명 약공 약불공(不應觀無明 若空 若不空)
●不應觀-無明이若空커나若不空이니라
『무명이 공이라거나 공이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行乃至老死와愁歎苦憂惱 若空커나若不空이니라
『행에서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공이라거나 공이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무명 약유상 약무상(不應觀無明 若有相 若無相)
●不應觀-無明 若有相커나若無相이니라
『무명이 유상(有相)이라거나 무상(無相)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行乃至老死와愁歎苦憂惱가若有相커나若無相이니라
『행에서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유상(有相)이라거나 무상(無相)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무명 약유원 약무원(不應觀無明 若有願 若無願)
●不應觀-無明이若有願커나若無願이니라
『무명이 유원이라거나 무원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行乃至老死와愁歎苦憂惱가若有願커나若無願이니라
『행에서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유원이라거나 무원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무명 약적정 약불적정(不應觀無明 若寂靜 若不寂靜)
●不應觀-無明이若寂靜커나若不寂靜이니라
『무명이 적정이라거나 적정이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行乃至老死와愁歎苦憂惱가若寂靜커나若不寂靜이니라
『행에서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적정이라거나 적정이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무명 약원리 약불원리(不應觀無明 若遠離 若不遠離)
●不應觀-無明이若遠離커나若不遠離이니라
『무명이 원리라거나 원리가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行乃至老死와愁歎苦憂惱가若遠離커나若不遠離이니라
『행에서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원리라거나 원리가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무명 약유위 약무위(不應觀無明 若有爲 若無爲)
●不應觀-無明이若有爲커나若無爲이니라
『무명이 유위라거나 무위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行乃至老死와愁歎苦憂惱가若有爲커나若無爲이니라
『행에서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유위라거나 무위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무명 약유루 약무루(不應觀無明 若有漏 若無漏)
●不應觀-無明이若有漏커나若無漏이니라
『무명이 유루라거나 무루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行乃至老死와愁歎苦憂惱가若有漏커나若無漏이니라
『행에서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유루라거나 무루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무명 약생 약멸(不應觀無明 若生 若滅)
●不應觀-無明이若生커나若滅이니라
『무명이 생(生)이라거나 멸(滅)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行乃至老死와愁歎苦憂惱가若生커나若滅이니라
『행에서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생(生)이라거나 멸(滅)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무명 약선 약비선(不應觀無明 若善 若非善)
●不應觀-無明이若善커나若非善이니라
『무명이 선이라거나 선이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行乃至老死와愁歎苦憂惱가若善커나若非善이니라
『행에서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선이라거나 선이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무명 약유죄 약무죄(不應觀無明 若有罪 若無罪)
●不應觀-無明이若有罪커나若無罪이니라
『무명이 죄가 있다거나 죄가 없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行乃至老死와愁歎苦憂惱가若有罪커나若無罪이니라
『행에서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죄가 있다거나 죄가 없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무명 약유번뇌 약무번뇌(不應觀無明 若有煩惱 若無煩惱)
●不應觀-無明이若有煩惱커나若無煩惱이니라
『무명이 번뇌가 있다거나 번뇌가 없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行乃至老死와愁歎苦憂惱가若有煩惱커나若無煩惱이니라
『행에서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번뇌가 있다거나 번뇌가 없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무명 약세간 약출세간(不應觀無明 若世閒 若出世閒)
●不應觀-無明이若世閒커나若出世閒이니라
『무명이 세간이라거나 출세간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行乃至老死와愁歎苦憂惱가若世閒커나若出世閒이니라
『행에서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세간이라거나 출세간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무명 약잡염 약청정(不應觀無明 若雜染 若淸淨)
●不應觀-無明이若雜染커나若淸淨이니라
『무명이 잡염이라거나 청정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行乃至老死와愁歎苦憂惱가若雜染커나若淸淨이니라
『행에서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잡염이라거나 청정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무명 약속생사 약속열반(不應觀無明 若屬生死 若屬涅槃)
●不應觀-無明이若屬生死커나若屬涅槃이니라
『무명이 생사에 속한다거나 열반에 속한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行乃至老死와愁歎苦憂惱가若屬生死커나若屬涅槃이니라
『행에서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생사에 속한다거나 열반에 속한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무명 약재내 약재외 약재양간(不應觀無明 若在內 若在外 若在兩閒)
●不應觀-無明이若在內커나若在外커나若在兩閒이니라
『무명이 안에 존재한다거나 밖에 존재한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行乃至老死와愁歎苦憂惱가若在內커나若在外커나若在兩閒이니라
『행에서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가 안에 존재한다거나 밖에 존재한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무명 약가득 약불가득(不應觀無明 若可得 若不可得)
●不應觀-無明을若可得커나若不可得이니라
『무명을 얻을 수 있다거나 얻지 못하는 것이라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行乃至老死와愁歎苦憂惱를若可得커나若不可得이니라
『행에서 노사와 수심과 한탄과 고통과 우환과 번뇌를 얻을 수 있다거나 얻지 못하는 것이라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상 약무상(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常 若無常)
◙復次에善現아諸菩薩摩訶薩이修行般若波羅蜜多時에❮如是應觀❯하니라
『또 다시 선현아!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할 때에, 이와 같이 관해야 한다.』
●不應觀-布施波羅蜜多가若常커나若無常이니라
『보시바라밀다가 유상하다거나 무상하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가若常커나若無常이니라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유상하다거나 무상하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낙 약고(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樂 若苦)
●不應觀-布施波羅蜜多가若樂커나若苦이니라
『보시바라밀다가 즐겁다거나 괴롭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가若樂커나若苦이니라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즐겁다거나 괴롭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보시바라밀다 (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我 若無我)
●不應觀-布施波羅蜜多가若我커나若無我이니라
『보시바라밀다가 ‘나’라거나 무아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가若我커나若無我이니라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나’라거나 무아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정 약부정(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淨 若不淨)
●不應觀-布施波羅蜜多가若淨커나若不淨이니라
『보시바라밀다가 깨끗하다거나 부정하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가若淨커나若不淨이니라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깨끗하다거나 부정하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공 약불공(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空 若不空)
●不應觀-布施波羅蜜多가若空커나若不空이니라
『보시바라밀다가 공이라거나 공이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가若空커나若不空이니라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공이라거나 공이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유상 약무상(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有相 若無相)
●不應觀-布施波羅蜜多가若有相커나若無相이니라
『보시바라밀다가 유상이라거나 무상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가若有相커나若無相이니라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유상이라거나 무상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유원 약무원(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有願 若無願)
●不應觀-布施波羅蜜多가若有願커나若無願이니라
『보시바라밀다가 유원이라거나 무원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가若有願커나若無願이니라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유원이라거나 무원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적정 약불적정(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寂靜 若不寂靜)
●不應觀-布施波羅蜜多가若寂靜커나若不寂靜이니라
『보시바라밀다가 적정이라거나 적정이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가若寂靜커나若不寂靜이니라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적정이라거나 적정이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원리 약불원리(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遠離 若不遠離)
●不應觀-布施波羅蜜多가若遠離커나若不遠離이니라
『보시바라밀다가 원리라거나 원리가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가若遠離커나若不遠離이니라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원리라거나 원리가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유위 약무위(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有爲 若無爲)
●不應觀-布施波羅蜜多가若有爲커나若無爲이니라
『보시바라밀다가 유위라거나 무위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가若有爲커나若無爲이니라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유위라거나 무위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유루 약무루(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有漏 若無漏)
●不應觀-布施波羅蜜多가若有漏커나若無漏이니라
『보시바라밀다가 유루라거나 무루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가若有漏커나若無漏이니라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유루라거나 무루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생 약멸(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生 若滅)
●不應觀-布施波羅蜜多가若生커나若滅이니라
『보시바라밀다가 생이라거나 멸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가若生커나若滅이니라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생이라거나 멸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선 약비선(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善 若非善)
●不應觀-布施波羅蜜多가若善커나若非善이니라
『보시바라밀다가 선이라거나 선이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가若善커나若非善이니라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선이라거나 선이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유죄 약무죄(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有罪 若無罪)
●不應觀-布施波羅蜜多가若有罪커나若無罪이니라
『보시바라밀다가 죄가 있다거나 죄가 없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가若有罪커나若無罪이니라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죄가 있다거나 죄가 없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유번뇌 약무번뇌(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有煩惱 若無煩惱)
●不應觀-布施波羅蜜多가若有煩惱커나若無煩惱이니라
『보시바라밀다가 번뇌가 있다거나 번뇌가 없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가若有煩惱커나若無煩惱이니라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번뇌가 있다거나 번뇌가 없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세간 약출세간(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世閒 若出世閒)
●不應觀-布施波羅蜜多가若世閒커나若出世閒이니라
『보시바라밀다가 세간이라거나 출세간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가若世閒커나若出世閒이니라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세간이라거나 출세간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잡염 약청정(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雜染 若淸淨)
●不應觀-布施波羅蜜多가若雜染커나若淸淨이니라
『보시바라밀다가 잡염이라거나 청정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가若雜染커나若淸淨이니라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잡염이라거나 청정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속생사 약속열반(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屬生死 若屬涅槃)
●不應觀-布施波羅蜜多가若屬生死커나若屬涅槃이니라
『보시바라밀다가 생사에 속한다거나 열반에 속한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가若屬生死커나若屬涅槃이니라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생사에 속한다거나 열반에 속한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재내 약재외 약재양간(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在內 若在外 若在兩閒)
●不應觀-布施波羅蜜多가若在內커나若在外커나若在兩閒이니라
『보시바라밀다가 안에 존재한다거나 밖에 존재한다거나 양 사이에 존재한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가若在內커나若在外커나若在兩閒이니라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안에 존재한다거나 밖에 존재한다거나 양 사이에 존재한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보시바라밀다 약가득 약불가득(不應觀布施波羅蜜多 若可得 若不可得)
●不應觀-布施波羅蜜多를若可得커나若不可得이니라
『보시바라밀다를 얻을 수 있다거나 얻지 못하는 것이라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淨戒、安忍、精進、靜慮、般若波羅蜜多를若可得커나若不可得이니라
『정계와 안인과 정진과 정려와 반야바라밀다가 얻을 수 있다거나 얻지 못하는 것이라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내공 약상 약무상(不應觀內空 若常 若無常)
◙復次에善現아諸菩薩摩訶薩이修行般若波羅蜜多時에❮如是應觀❯하니라.
『또 다시 선현아! 모든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다를 수행할 때에, 이와 같이 관해야 한다.』
●不應觀-內空이若常커나若無常이니라
『내공이 유상이라거나 무상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外空、內外空、空空、大空、勝義空、有爲空、無爲空、畢竟空、無際空、散空、無變異空、本性空、自相空、共相空、一切法空、不可得空、無性空、自性空、無性自性空이若常커나若無常이니라
『외공과 내외공과 공공과 대공과 승의공과 유위공과 무위공과 필경공과 무제공과 산공과 무변이공과 본성공과 자상공과 공상공과 일체법공과 불가득공과 무성공과 자성공과 무성자성공이, 유상이라거나 무상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내공 약낙 약고(不應觀內空 若樂 若苦)
●不應觀-內空이若樂커나若苦이니라
『내공이 즐겁다거나 괴롭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外空乃至無性自性空이若樂커나若苦이니라
『외공에서 무성자성공이 즐겁다거나 괴롭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내공 약아 약무아(不應觀內空 若我 若無我)
●不應觀-內空이若我커나若無我이니라
『내공이 ‘나’라거나 무아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外空乃至無性自性空이若我커나若無我이니라
『외공에서 무성자성공이 ‘나’라거나 무아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내공 약정 약부정(不應觀內空 若淨 若不淨)
●不應觀-內空이若淨커나若不淨이니라
『내공이 깨끗하다거나 부정하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外空乃至無性自性空이若淨커나若不淨이니라
『외공에서 무성자성공이 깨끗하다거나 부정하다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내공 약공 약불공(不應觀內空 若空 若不空)
●不應觀-內空이若空커나若不空이니라
『내공이 공이라거나 공이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外空乃至無性自性空이若空커나若不空이니라
『외공에서 무성자성공이 공이라거나 공이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내공 약유상 약무상(不應觀內空 若有相 若無相)
●不應觀-內空이若有相커나若無相이니라
『내공이 유상이라거나 무상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外空乃至無性自性空이若有相커나若無相이니라
『외공에서 무성자성공이 유상이라거나 무상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내공 약유원 약무원(不應觀內空 若有願 若無願)
●不應觀-內空이若有願커나若無願이니라
『내공이 유원이라거나 무원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外空 乃至無性自性空이若有願커나若無願이니라
『외공에서 무성자성공이 유원이라거나 무원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내공 약적정 약불적정(不應觀內空 若寂靜 若不寂靜)
●不應觀-內空이若寂靜커나若不寂靜이니라
『내공이 적정이라거나 적정이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外空 乃至無性自性空이若寂靜커나若不寂靜이니라
『외공에서 무성자성공이 적정이라거나 적정이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내공 약원리 약불원리(不應觀內空 若遠離 若不遠離)
●不應觀-內空이若遠離커나若不遠離이니라
『내공이 원리라거나 원리가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外空乃至無性自性空이若遠離커나若不遠離이니라
『외공에서 무성자성공이 원리라거나 원리가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내공 약유위 약무위(不應觀內空 若有爲 若無爲)
●不應觀-內空이若有爲커나若無爲이니라
『내공이 유위라거나 무위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外空乃至無性自性空이若有爲커나若無爲이니라
『외공에서 무성자성공이 유위라거나 무위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내공 약유루 약무루(不應觀內空 若有漏 若無漏)
●不應觀-內空이若有漏커나若無漏이니라
『내공이 유루라거나 무루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外空乃至無性自性空이若有漏커나若無漏이니라
『외공에서 무성자성공이 유루라거나 무루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내공 약은 약현(不應觀內空 若隱 若顯)
●不應觀-內空이若隱커나若顯이니라
『내공이 숨은 것이라거나 나타나는 것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外空乃至無性自性空이若隱커나若顯이니라
『외공에서 무성자성공이 숨은 것이라거나 나타나는 것이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불응관내공 약선 약비선(不應觀內空 若善 若非善)
●不應觀-內空이若善커나若非善이니라
『내공이 선이라거나 선이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不應觀-外空乃至無性自性空이若善 若非善이니라
『외공에서 무성자성공이 선이라거나 선이 아니라고 관하지 말지니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