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모처럼 회장님께서 저를 믿고 기회를 주셨는데(ㅎㅎ)
부족한 답변으로 우리 동아리 회원님들께서 아쉬움을 느끼시는 듯하여 몇 글자 남깁니다^^*
부족한 대로 일체화와 백워드의 관점에서 수업설계 예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수업의 갈급함을 느끼는 주일 아침입니다^^*
모두들 은혜로운 하루 보내세요^^*
(나눔글꼴을 설치하시면(무료) 폰트깨짐없이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 2016년에 제작된 교과 교육과정 자료집은 ‘이해중심 교육과정’에 초점을 두어 백워드 교육과정의 측면에 집중하여 자료가 개발되었다는 느낌이 많이 듭니다. 국어과의 경우에는 77쪽부터 일체화 사례를 백워드의 관점에서 기술하여 사례를 제시하였는데,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허걱;;; 용량초과네요;;;우선 그 부분만 잘라서 올리겠습니다.)
교수평기 일체화의 관점과 백워드 교육과정의 차이점에 대한 단상(0708).hwp
2015_국어과 교육과정 자료(2016년 제작 중 일부).hwp
첫댓글 역시!! 감사한 마음으로 잘 읽겠습니다~~
은정샘! 좋은 자료 올려주셔서 감사드려요. 이런 자료들이 우리 카페에 계속 올라오기를 바랄게요.
백위드로 교육과정을 읽는 것도 매우 좋은 방법입니다. 다만, 이미 평가중시가 심한 우리의 경우, 교육과정을 읽는 핵심변수인 학생과 목표를 왜곡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입니다. 고민스러운 것은 교단교사가 이 탬플릿을 설계하고 실천하는 것이 가능한가 하는 것입니다. 너무 어렵고, 지나치게 분석적이고, 이론적이지 않나 하는 생각. ㅠ
와우~^^ 정말 예상치도 못했는데...아침 선물같네요. 은정샘 멋져용~~^^ 잘 읽어볼게요.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이론과 실천 사이에서 오는 갈등은 항상 존재하죠..이를 어떻게 잘 조화를 이루어갈까도고민이고요.... 하지만 교사들은 항상 먼저 현장성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백워드도 좋지요. 하지만 이게 교조적으로 접근이 되면 곤랍합니다. 그 틀에 갇힐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늘 먼저 현장과 대상을 생각하며 디자인을 해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은정샘 덕분에 이런 저런 생각을 하게 되네요....감사합니다.
하아 백워드에 대한 이야기를 꼭 듣고 싶었는데 제가 일이 있어 일찍 나왔던게 너무 아쉽네요 ㅠㅠ 그래도 은정샘의 이야기로 아쉬움을 달래봅니다
감사합니다 ^^
와~ 대단하세요! 일단 새로운 용어가 나오면 일단 긴장부터 하게 되는데, 백워드 교육과정이 일체화와 어떤 점에서 다른지에 대해 조금 명확해진 것 같아요~ 언제나 평가에 매몰되지 않게 균형을 유지하는 것 역시 중요하겠죠? ^^;; 좋은 자료 진심으로 감사드려요!
논리적 사고력으로 똘똘 뭉치친 국어 선생님! 정리와 설계의 달인^^ 은정샘의 자료로 또 한번 배우고 공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