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장三十章
(이른바) 도(道; 自然·性·德·無爲·命)로써 임금을 보좌하는 신하는 (임금으로 하여금 일부러 일삼은) 군대로써 (일부러 일삼아) 천하에 군림하지 못하게 한다. (이른바, 일부러 일삼은 군대로써 일부러 일삼아 천하에 군림하는) 그(러한) 일은 (임금으로 하여금 일부러 일삼아 도道에서) 멀어지게 하기를 잘한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은 큰) 군대가 머문 자리에는 (반드시) 가시덤불이 (일부러 일삼아) 자라나게 된다. (일부러 일삼은) 큰 군대가 지나간 다음에는 반드시 흉년이 (일부러 일삼아 찾아)들게 된다. (따라서 도道로써 임금을 보좌하는 신하는 임금으로 하여금 일부러 일삼은 군대라는) 열매를 가지는 바가 있게 하기를 잘할 따름이지, 그것으로써 (일부러 일삼아 천하에) 군림하는 바를 얻지 못하게 한다. (이른바, 도道로써 임금을 보좌하는 신하는 임금으로 하여금 일부러 일삼은 군대라는) 열매(를 가지는 바)가 있게 하지만, (그것으로써 다른 나라 임금이나 백성을 일부러 일삼아) 불쌍하게 여기지 못하게 하고, (일부러 일삼은 군대라는) 열매(를 가지는 바)가 있게 하지만, (그것으로써 다른 나라 임금이나 백성을 일부러 일삼아) 치지 못하게 하며, (일부러 일삼은 군대라는) 열매(를 가지는 바)가 있게 하지만, (그것으로써 다른 나라 임금이나 백성을 일부러 일삼아) 속이지 못하게 하고, (일부러 일삼은 군대라는) 열매(를 가지는 바)가 있게 하지만, 부득이하게 (다른 나라 임금이나 백성을 불쌍하게 여기거나 치거나 속이게) 하며, (일부러 일삼은 군대라는) 열매(를 가지는 바)가 있게 하지만, (그것으로써 일부러 일삼아 다른 나라 임금이나 백성에게) 군림하지 못하게 한다. 이른바, (일부러 일삼은 군대로써 천하에 군림하는 임금이) 자리하게 되면, 반드시 군대를 (일부러) 일삼는 때가 (반드시) 찾아오게 되고, (따라서 천하에) 화禍가 (일부러 일삼아) 피어나는 바가 반드시 잘해지게 된다. 따라서 마땅히 이른바 (도道로써 임금은 보좌하는 신하는 임금으로 하여금 일부러 일삼은 군대라는 열매를 가지는 바가 있게 하지만, 그것으로써 다른 나라 임금이나 백성을 일부러 일삼아 불쌍하게 여기거나 치거나 속이지 못하게 하고, 부득이하게 다른 나라 임금이나 백성을 불쌍하게 여기거나 치거나 속이게 하며, 일부러 일삼아 다른 나라 임금이나 백성에게 군림하지 못하게 하는) 다섯 가지가 마음에 자리해야 한다. (이른바) 사물이 (일부러 일삼아) 자라나게 되면 (일부러 일삼아) 늙어지게 된다. 이것은 이른바 도道가 아니(기 때문이)다. 도道가 아니기 (때문)에 (일부러 일삼은 군대로써 일부러 일삼아 천하에 군림하는 임금은 일부러 일삼아) 일찍 끝나버리게 된다.
以道佐主者, 不以兵強天下. 其事, 好遠. 師之所處, 荊棘生焉. 大軍之後, 必有兇年. 善有果而已, 不以取強. 果而勿矜, 果而勿伐, 果而勿驕, 果而不得已, 果而勿強. 雖在, 必用兵之時, 禍發, 必克. 猶當以五者, 居心. 物壯, 則老. 是, 謂不道. 不道, 早已.
(이른바, 그 임금을 보좌하는 수준이) 가장 아래인 신하는 (자신이 보좌하는 임금으로 하여금, 일부러 일삼은) 군대를 (일부러) 일삼게 함으로써, (저절로 그러하게 살아가는 다른 나라 임금이나 백성을 일부러 일삼아) 죽이게 하는 신하이다. (이른바) 그 (임금을 보좌하는 수준이 가장) 위인 신하는 (자신이 보좌하는 임금으로 하여금, 부득이하게 일부러 일삼은) 군대를 (일부러) 일삼게 함으로써, (다른 나라 임금이나 백성을 저절로 그러하게) 살아가게 하는 신하이다. 이른바, (그 임금을 보좌하는 수준이 가장 위인 신하는 자신이 보좌하는 임금으로 하여금, 부득이하게 일부러 일삼은 군대를 일부러 일삼는 바를) 낳게 함으로써, (다른 나라 임금이나 백성을 저절로 그러하게) 살아가게 하는 신하는 따라서 (일부러 일삼은 군대를 일부러 일삼는 바를 쓸데없이 돋아난) 군살로 여긴다. 따라서 (그러한 신하가 보좌하는 임금이) 하물며 (일부러 일삼은 군대를 일부러 일삼음으로써, 다른 나라 임금이나 백성과 같이 저절로 그러하게) 살아가는 바를 (일부러 일삼아) 죽이겠는가?
最下, 用兵以殺. 其上, 用兵以生. 夫以生生者, 且贅. 而況殺生乎?
(이른바) 세상 사람들은 (저절로 그러하게) 살아가지 않는 사람이 일찍이 (한 사람도) 없었다. (따라서 도道로써 임금을 보좌하는 신하인) 내가 어찌 (임금으로 하여금, 일부러 일삼은 군대로써 다른 나라 임금이나 백성을 일부러 일삼아 불쌍하게 여기거나 치거나 속이거나 천하에 군림하도록) 권하겠는가? 이른바, 하물며, 아비가 (나라에) 공功이 있는 가문의 자식이고, (백성의) 해로움을 없애는 부서의 관리임에야! (이른바) 세상 사람들은 (저절로 그러하게) 살아가지 않는 사람이 일찍이 (한 사람도) 없었다. (따라서 도道로써 임금을 보좌하는 신하인 나는) 그(들이 저절로 그러하게) 살아야 한다는 것을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다. (이른바) 세상 사람들은 (저절로 그러하게) 죽지 않는 사람이 일찍이 (한 사람도) 없었다. (따라서 도道로써 임금을 보좌하는 신하인 나는) 그(들이 저절로 그러한) 죽어야 한다는 것을 믿지 않을 수 없다.
人, 未嘗不生. 而我, 何勸? 又況夫功之門, 為害之府也. 人, 未嘗不生. 不能聽其生. 物, 未嘗不殺, 不能恃其殺.
(그런데 임금이 무위無爲의 숨을) 멈추고 고르게 되면, (그러한) 임금은 (유위有爲의 숨을) 참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그러한 임금은 일부러 일삼은 군대로써, 다른 나라 임금이나 백성을) 일부러 일삼아 (불쌍하게 여기거나 치거나 속이도록) 명령하게 되며, (따라서 그러한 임금은 일부러 일삼아 다른 나라 임금이나 백성에게 군림하는 그러한) 열매를 맺게 된다. (따라서 그러한 임금이) 어찌 (다른 나라 임금이나 백성을) 업신여기지 않게 되겠는가?
須臾, 之, 不忍, 而自命為果, 不已誣乎?
따라서 (유위有爲가) 사나운 마음을 이겨내기를 잘하는 신하가 그 (유위有爲가 사나운 임금의 숨을) 녹여보지만, 그 (유위有爲가 사나운 임금의) 숨을 멈추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유위有爲가 사나운) 마음을 다스리기를 잘하는 신하가 그 (유위有爲가 사나운 임금의) 숨을 막아보지만, 그 (무위無爲가 사나운 임금의) 숨을 굳세게 하지 못하게 된다.
故善禁暴者, 俟其消, 不摧其息. 善治情者, 塞其息, 不強其消.
(따라서 저절로 그러하게) 살아가는 바를 귀하게 여기기를 잘하는 신하가 그 (임금의 유위가 사나운 바가) 녹은 (이른바 그 임금의 무위가 사나운) 숨의 때를 기다리지만, 그 (임금의 유위가 사나운 바가) 녹은 (이른바 그 임금의 유위가 사나운) 숨이 텅 비는 때를 (만나는 바를) 일으키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그러한 임금은) 환란을 가지는 바가 있게 된다. (이른바, 그러한 임금은 저절로 그러하게 오래 가는 바에) 이르지 못하게 된다. 이른바, (그러한 임금은 일부러 일삼아) 일찍 끝나버리게 될 따름이게 된다.
善貴生者, 持其消息之間, 不犯其消息之冲. 雖有患, 不至, 於早已.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