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풍기인삼 원문보기 글쓴이: 심메마니
제사와 다양한 종교, 가정마다 틀릴지도 모릅니다만. 가장 일반적인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개인적 생각일뿐 절대란 것은 없기에 너무 맹목적으로 다가서지 않았으면 합니다.
1. 제사는 왜 지내는가,
생각해 보라, 임신하고 10개월간 그 고생을 하시고, 생사를 넘나드는 산고(産苦)를 겪으시고 낳으신 후 감기만 걸려도 밤새도록 뜬 눈으로 보살펴 주시고, 대여섯살되면 유치원에 보내 놓고 집에 돌아올 때까지 마음을 놓지 못하시고,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보내주시고, 고3 때는 기도로서 나날을 보내시고, 대학교에 입학하는 기쁨도 잠깐, 그 많은 등록금 마련에 허리가 굽으시고, 군대에 보내면서 가슴이 찢어지고, 제대하면 결혼시키고 집 마련해 주시느라 뼛골이 다 빠지시고, 그 후에도 돌봐주시느라 머리가 허옇게 세시고, 그렇다고 얼마 살지도 못하시고 돌아가신 그 분의 크나큰 은혜를 어찌 잊을 수 있겠는가.
그래서 그분께서 돌아가신 날, 그분께서 생전에 좋아하셨던 음식을 차려놓고 절을 하는 정도의 예의는 있어야 자식 된 도리가 아니겠으며 후손들에 대한 효(孝)교육이 아니겠는가, 라는 것이다.
2. 제사지내는 법
즉 1. 다 준비해 놓고 2. 어서 오십시오. 인사하고 3. 술부터 대접하고 4. 식사를 대접하고 5. 물을 올리고 6. 안녕히 가십시오. 인사를 하면 되는 것이다. 이하 손님접대와 제사순서를 대조해가며 설명하겠다.
1.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손님을 대접할 때, 맨 처음에 할일이 무엇인가, 준비가 아니겠는가,
제사도 마찬가지다. 준비인 것이다. 첫 번째인 분향강신(焚香降神)이 “향을 피우고 신께서 내려오시기를 기다린다는” 는 뜻이니, 다 준비해놓고 모두가 방에 들어와 기립하고 있는 것이다.
2. 우리나라에서는 옛날부터 어떤 행사를 할 때, 먼저 천지신명께 기원하는 풍습이 있다. 묘에 가서 제를 지낼 때에도 먼저 천지신명께 제를 올리고 술을 산에 뿌리는 풍습이 그런 것이다.
제사에서도 이 참신(參神)은 그런 의식인 것이다. 즉 참신이라는 것은 조상님께서 참석하셨다는 뜻이니, 조상님에게 먼저 "어서오십시오" 속 인사를 한 후, 천지신명께 “조상님께서도 참석하셨으니 저의 조상님 제를 올리고자 합니다. 굽어 살피소서”라며 술을 잔에 조금씩 따라 향을 쏘인
후(향을 쏘이는 것이 올리는 것임) 퇴주그릇에 붓고 절을 하는 것이다.
3. 손님을 대접할 때 처음에 할 일은 무엇인가, “어서 오십시오. 그동안 어떻게 지내셨습니까,
차린 것은 없으나 많이 드십시오.” 라는 식의 인사가 아니겠는가, 제사에서도 그런 내용의 축사를 읽는
것이다. 이것을 독축(讀祝)이라고 한다.
4. 그 다음 할일은 무엇인가, 술부터 대접해야 하지 않겠는가, 제사도 마찬가지다. 술을 올리는 것이다.
그런데 완전히 많이 올린다는 뜻에서 3번을 올리는 것이다.
* 첫 번째가 처음 올린다는 뜻의 초헌(初獻)이며,
두 번째가 두 번째 올린다는 뜻의 아헌(亞獻)이며 3번째가 마지막 올린다는 뜻의 종헌(終獻)인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옛날부터 천지인(天地人)의 3을 이 세상의 모든 것이라는 뜻으로 해석해 왔다.
따라서 조상님에게 술을 올리는데도 3잔을 올림으로서 완전히 많이 올렸다는 뜻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또 “더 많이 드십시오.” 라는 뜻에서 모두가 조금씩 더 올리는 것이 첨부해서 더 올린다는 뜻의
첨작(添酌)인 것이다.
5. 그 다음이 식사대접이 아니겠는가, 제사에서도 식사대접인 것이다. 계반삽시(啓飯揷匙)라는 것이
밥뚜껑을 열고 수저를 꽂는다는 뜻이니, 밥그릇 뚜껑을 열고 수저를 꽂고 절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합문(闔門)이라는 것은 문을 닫는다는 뜻이니 신께서 편히 식사하시도록 모두가 나가고 문을
닫는 것이다. (나가있는 시간은 수저를 9번 드시는 시간인데 이것도 3을 3번 더한 뜻으로서 많이많이
잡수실 때까지라는 뜻이 담겨져 있는 것이다.),
6. 식사가 끝나면 차나 물을 갖다드리는 것이 원칙이 아니겠는가, 계문헌다(啓門獻茶)라는 것은 문을 열고 들어가 차를 올린다는 뜻이니, 문을 열고 방에 들어가 탕은 내어가고 물을 올리는 것인데,
이때에도 “물에 말아 더 드십시오.”라는 뜻에서 밥을 3번 떠서 물에 말아 드리고. 절을 하는 것이다.
7. 접대가 끝났으면 보내드려야 하는 것이니 사신(辭神)이라는 것도 신을 보낸다는 뜻이니
“안녕히 가십시오”속 인사를 하고 지방을 불사르는 것이다.
8. 조상님이 가셨으니 수저를 거두고 밥뚜껑을 덮어야하지 않겠는가, 이것이 철시복반(撤匙覆飯)인
것이다. 그러니 수저를 거두고 밥뚜껑을 덮고.
9.철상음복(撤床飮福).제상을 거두고 복을 마신다는 뜻이니, 모두가 음식을 먹음으로서 복을 받는 것이다. 이하 손님접대와 제사순서를 도표로서 설명하겠다.
손님을 대접할 때 | 제사 지내는 법 |
1. 준비해놓고 기다린다. | 1. 분향강신(焚香降神) 향을 피우고 신께서 내려오시기를 기다린다는 뜻이니 다 준비해놓고 향을 피우고 기다린다. |
2. 무사히 치르도록 기원한다. | 2. 참신(參神),신께서 참석하셨다는 뜻이니“어서 오십시오”속 인사하고,(여기까지는 조상님에게 올리는 예(禮)이고), 술을 조금씩 따라 향을 쏘인 후 퇴주그릇에 붓고 절을 한다.(이것은 조상님에게 술을 올린다는 것보다는 천지신명께 조상님의 제를 올리고자하오니 굽어 살피소서 라는 의식(儀式)인 것이다. |
3."어서오십시오. 차린 것은 없으나 많이 드십시오"라고한다. | 3. 독축(讀祝).축을 읽는다는 뜻이니 축을 읽는다.. 유세차 모월모일 효자OO 감소고우 현고학생부군 현비유인충주최씨 維歲次 某月某日 孝子OO 敢昭告于 顯考學生府君 顯妣孺人忠州崔氏 세서천역 휘일부림 추원감시 불승영모 근이 청작서수 공신전헌 상향 歲序遷易 諱日復臨 追遠感時 不勝永慕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饗 (모월모일 효자00은 아버님 어머님영전에 감히 고합니다. 해가 바뀌어 제삿날이 돌아오니 하늘같은 은혜를 잊을 수가 없습니다. 삼가 맑은 술과 여러 음식으로 공손히 제사 드리오니 드시옵소서.) (요즘은 독축을 하지 않는다. 신(神)이라 다 아시고 와 계시는데 구태여 “오셔서 드십시오”라고 할 필요가 있겠는가라는 것이다.) |
4.술대접 | 4. 초헌(初獻).첫잔을 올린다는 뜻이니 제주가 잔을 올리고 절을 하고 |
5, 아헌(亞獻).두번째 잔을 올린다는 뜻이니 둘째가 올리고 절을 하고. | |
6. 종헌(終獻).마지막 잔을 올린다는 뜻이니 셋째가 잔을 올리고 절을 하고 (옛날부터 우리나라에서는 천지인(天地人)의 3을 이 세상의 모든 것이라는 뜻으로 해석해 왔다. 따라서 조상님에게 술을 올리는데도 3잔을 올림으로서 완전히 많이 올렸다는 뜻이 되는 것이다.) | |
7. 첨작(添酌).첨부해서 더 올린다는 뜻이니 자손들 모두가 술을 조금씩 올려 철철 넘치게 하고 절을 하고. | |
5.식사대접 | 8. 계반삽시(啓飯揷匙).밥그릇 뚜껑을 열고 수저를 꽂는다는 뜻이니, 밥그릇 뚜껑을 열고 수저를 꽂고 절을 하고, |
9. 합문(闔門).문을 닫는다는 뜻이니 신께서 편히 식사하시도록 모두가 나가고 문을 닫는 것이다. (나가있는 시간은 수저를 9번 드시는 시간인데 이것도 3을 3번 더한 뜻으로서 아주 많이 잡수실 때까지라는 뜻이 담겨져 있는 것이다.) | |
6.커피, 물 | 10, 계문헌다(啓門獻茶).문을 열고 들어가 차를 올린다는 뜻이니, 방에 들어가 탕은 내가고 물을 올리는 것인데, 이때에도 “물에 말아 더 드십시오”라는 뜻에서 밥을 3번 떠서 물에 말아 드리고 절을 하고. |
7.작별인사 | 11. 사신(辭神).신을 보낸다는 뜻이니 “안녕히 가십시오” 인사를 하고(절을 하고), 지방을 불사르고 |
12. 철시복반(撤匙覆飯).수저를 거두고 밥뚜껑을 덮는다는 뜻이니, 수저를 거두고 밥뚜껑을 덮고. | |
13. 철상음복(撤床飮福).제상을 거두고 복을 마신다는 뜻이니, 모두가 음식을 먹음으로서 복을 받는 것이다. |
* 지방 쓰는 법.
아버지는 顯考學生府君 神位
어머니는 顯妣孺人淸州韓氏 神位
할아버지는 顯祖考學生府君 神位
할머니는 顯祖妣孺人密陽朴氏 神位
증조할아버지는 顯曾祖考學生府君 神位
증조할머니는 顯曾祖妣孺人安東權氏 神位
고조할아버지는 顯高祖考學生府君 神位
고조할머니는 顯高祖妣孺人慶州崔氏 神位
* 남자의 경우 관직이 있을 때는 관직을 쓰고 없을 때는 학생부군이라고 쓰며, 여자의 경우에도 남편의
관직에 따른 호칭을 쓰고, 없을 때는 유인(젓을 먹여 길러주신 분)이라고 쓰는 것이다.
* 아래와 같이 한글로 써도 된다.
아버지는 현 아버님 신위
어머님은 현 어머님 신위
할아버지는 현 할아버님 신위
할머니는 현 할머님 신위
증조할아버지는 현 증조할아버님 신위
증조할머니는 현 증조할머님 신위
고조할아버님은 현 고조할아버님 시위
고조할머님은 현 고조할머님 신위
그리고 설, 추석, 문중대제와 같이 전조상님을 모두 한번에 모셔놓고 지낼 때에는 顯 全祖上님 神位나
한글로 현 전조상님 신위라고 한장으로 쓰면 되는 것이다.
* 여기에서 현(顯)이라는 것은 나타날 이라는 뜻이며,
신위(神位)라는 것은 신의 위치에 계시는 분이라는 뜻으로서,
즉 돌아가신 분이 나타나셧음을 뜻하는 것이다. (단, 야외에서 지낼 때에는 지방을 쓰지 않는다)
3. 제사상 차리는 법
고서비동(考西妣東) 또는 남서여동(男西女東). 남자 조상님은 서쪽, 여자 조상님은 동쪽 (이것만은 음양이 반대임. 男(양)은 동쪽으로 가려하고, 女(음)는 서쪽으로 가려하기 때문에 이렇게 모셔야 더욱 가까워지기 때문임)
어동육서(魚東肉西). 생선은 팔딱팔딱 뛰니 양(동쪽), 소 돼지는 느리니 음(서쪽,)
두동미서(頭東尾西). 머리는 양이라 동쪽, 꼬리는 음이라 서쪽,
배남복북(背南腹北). 등은 양이라 남쪽, 배는 음이라 북쪽(배가 신위 쪽으로)
생동숙서(生東熟西). 생(生)것은 양이라 동쪽, 익(熟)은 것은 음이라 서쪽,
좌포우혜(左脯右醯). 포(脯)는 죽은 것이니 음(서쪽), 식혜는 살아있으니 양(동쪽),
홍동백서(紅東白西). 붉은 색은 양이라 동쪽, 흰색은 음이라 서쪽,
조율이시(棗栗梨柿). 씨의 수대로 놓으라는 것
* 그러나 밥과 국의 경우는 • 죽은 사람은 반대이니 서반동쟁(西飯東羹)으로 차려라. 라는 책과 * 돌아가신 후에도 살아계실 때와 똑같은 모습으로 계시니 동반서갱(東飯西羹)으로 차려라. 라는 책이 있어 헸갈린다.
따라서 "죽은 분에게 제를 올리는 의식이니 음양(陰陽)이 반대라야 한다. 당연히 반대로 차려야한다."라고 생각한다면 서반동갱(서쪽에 밥, 동쪽에 국)으로 차리고, “죽은 후에도 살아 계실 때와 똑같은 모습으로 계신다. 거꾸로 걸어 다니거나 오른손잡이가 왼손잡이가 되는 것이 아니다. 더구나 제사는 살아계실 때와 똑 같은 모습으로 오신다고 생각하고 식사를 올리는 의식이니 살아계실 때와 똑 같은 방식으로 차려야 한다.” 라고 생각한다면 동반서갱(동쪽에 밥, 서쪽에 국)으로 차리면 되는 것이다.
* 제사상은 북(北)쪽에 차리는 것이 원칙이나, 북쪽에 차렬 수 없을 때엔 아무 쪽으로 차려도 된다. 그럴 경우엔 그 쪽을 북쪽으로 생각하고 제물을 차리면 된다.
* 제사상에는 이 세상 모든 산해진미(山海珍味)를 차리는 것이다.
즉 산(山)에서 생산되는 것, 들(野)에서 생산되는 것, 집(家)에서 기른 것, 만든 것, 바다(海)에서 생산되는 것 등 모든 것을 차리는 것이다. 산소에 갈 때 주과포(酒果脯)라 하여 술 한 병에 사과 1개. 포 하나 갖고 가는 것도 이 격식에 따른 것이다. 즉 산야(山野)에서 생산되는 사과에, 집(家)에서 생산되는 술에, 바다(海)애서 생산되는 포를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 설제로 설명하면 신위(神位)께서 앉아 게신 북쪽으로부터
1열에는 식사 중에 가장 중요한 주식(主食)인 밥(메)과 국(탕)을 차리고 수저를 놓는다. 물을 올릴 때도 여기에 차린다. * 설 떡국, 추석 송편도 여기에 차린다.,
2열에는 주식 다음으로 중요한 고기(肉)를 차린다. (이 2열부터는 산야가해(山野家海)의 순서대로 차린다. 즉 山짐승인 소고기산적에, 들(野)짐승인 돼지고기수육에, 집(家)에서 기른 닭찜에, 집에서 가공한 포에, 바다(海)에서 생산되는 조기를 차린다.
(옛날 가난할 때는 덩어리 고기를 살 형편이 못 되어 포를 고기반열인 첫 번째에 놓거나, 고기를 조금 사다 국을 끓이고(육탕=肉湯), 채소의 국(채탕=菜湯)과 생선의 국(어탕=魚湯) 즉 3탕을 끓여 차렸으나 지금은 덩어리 고기를 차림으로서 3탕은 차리지 않는다.)
3열에는 고기 다음으로 중요한 전(煎) 즉 부침이를 차린다. 역시 산야가해(山野家海)의 순서대로 산(山)의 짐승인 소고기(돼지고기로도 한다)가 들어간 동그랑땡에, 들(野)에서 생산되는 배추를 넣은 부침이에, 집(家)에서 생산한 간장에, 집에서 만든 두부부침에, 바다(海)에서 생산된 생선의 포를 넣은 전을 차린다.
4열에는 부침이 다음으로 중요한 나물을 차린다. 역시 산야가해의 순서에 따라 산(山)고사리에, 들(野)도라지에, 집(家)에서 기른 숙주나물에, 집에서 담근 물김치나, 식혜(둘 다 차려도 됨)에, 바다(海)나물인 김을 차린다,
5열에는 식사 후의 후식인 과일(果實)을 차린다. 여기에서는 산야가해의 순서가 아니라 조율이시(棗栗梨柿)나 홍동백서(紅東白西)로 차린다.
홍동백서(紅東白西)는 동쪽은 양이고 서쪽은 음이니 붉은 색인 과일은 동쪽으로, 백색과일은 서쪽으로 놓으라는 것이며, 조율이시(棗栗梨柿)는 대추는 씨가 하나라 임금을 뜻하니 처음에 놓고, 밤은 한 송이에 3개가 들어있어 3정승을 뜻하니 2번째 놓고, 배, 사과는 씨가 6개라 6조판서(判書)를 뜻하니 3, 4번째 놓고, 감은 씨가 8개라 8도관찰사(觀察使)를 뜻하니 5번째 놓으라는 것이다. 그리고 씨가 많은 것, 즉 백성을 뜻하는 과일로서 참외, 수박, 포도 같은 것을 놓으면 되는 것이며, 수입한 과일도 상관없는 것이다. 그리고 재래식 색동사탕, 약과, 산자 같은 한과도 좋은 것이다.
이상과 같이 밥과 국(탕) 술에 5육(肉) 5전(煎) 5채(菜) 8과(果)를 차리면 완전한 것이다. 그러나 그렇게 차렬 수 없을 때에는 3육, 3전, 3채, 5과를 기본으로 하고, 더 차리고 싶으면 더 차리면 되는 것이다.
* 그리고 큰제사(門中大祭)의 겨우, 그 많은 조상님들의 밥(메)을 어떻게 차리는가라는 것인데, 이것도 “아주아주 많은” 이라는 뜻이 담긴 9그릇만 차리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설. 추석에도 9그릇만 차리면 되는 것이며. 산적도 9장, 부침이도 9장, 과일 같은 것도 9개씩만 차리면 되는 것이다. (문중대제-아래에 설명되어 있음)
그리고 오신채(五辛菜)라 해서 고추, 파, 마늘, 생강, 식초 같은 것을 쓰지 말라고 하는 것도 잘못된 것이다. 왜냐하면 이것은 불교에서 스님들이 이것을 먹으면 흥분되고 음탕한 생각을 한다하여 금하는 것이지, 유교를 바탕으로 하는 제사에서는 금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3가지 이상이 되었을 때는 그대로 더 차리면 되는 것이지 꼭 훌 수로만 차리라는 법도 없는 것이다. 애당초부터 3가지라는 뜻에는 "적어도 3가지는 차려야 한다."라는 뜻이지 그 이상은 차리지 말라는 뜻이 아닌 것이다.
그리고 중국(中國)요리나 서양(西洋)요리, 양주(洋酒)같은 것이나 현찰(現札) 같은 것도 좋은 것이다. 요즘 돌아가신 분께서 생전에 좋아하셨다며, 붉은 김치를 놓기도 하고 개고기를 놓기도 하는데, 절대로 잘못된 것이 아닌 것이다.
* 5육 5전 5채 8과로 차린 완전한 제사상 (두 분일 때)
* 밥,국,잔만 2분일 때는 2조. 4분일 때는 4조. 설, 추석, 문중대제 같은 전 조상님을 모실 때는 9조( 아무리 많아도 9조면 됨) 그 외는 변함 없음
많은 사람들이 “돌아가신 날 밤에 지내는 것이 아니라 그 전날 밤 12시에 지낸다.”라고하면서도 그 이유를 알지 못한다. 알고 보면 간단한데도... 생각해 보라. 할아버지가 3월 5일 돌아가셨다고 하면 그 3월 5일은 언제부터 시작되는가를.., 그 전날 밤 12시(子時)부터가 아닌가, 즉 하루 전날 지내는 것이 아니라 돌아가신 날의 맨 첫 시간에 지내는 것이다. *크리스마스의 경우, 예수 탄생일인 12월 25일에 미사를 올리는 것이 아니라 24일 밤 12시에 올리는 것과 같은 것이다.
그런데 요즘은 모두가 바쁘다 보니 밤 12시에 지내고 돌아가면 피곤하다하여 1시간 앞당겨 밤11시(이때부터 자시(子時)임으로)지내거나 돌아가신 날 즉 3월 5일 저녁 8시쯤 지내는 사람들이 많다. 그리고 또 요즘은 돌아가신 날마다 지내자니 설과 추석을 합하여 1년에 10번도 더 지내는 집도 있어 생활상 어려움이 많다하여 부모님 제사만을 돌아가신 날 밤에 집에서 지내고 그 외는 모두 오곡백과(五穀百果)가 풍성한 음력10월 첫 일요일이나 개천절에 사당이나 묘나 큰집이나 일가친척이 모두 모일 수 있는 곳에서 한번으로 지내는 사람들이 많다.
큰제사로 한번에 지내니까 언뜻 생각하기에 제사를 빼먹는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1년에 한번씩 따로따로 모시던 것을 한번에 모셔 놓고 지내는 것뿐이지 빼먹는 것은 아니다.” 조상님들께서도 외롭게 따로따로 오시는 것 보다는 좋고 후손들 역시 1년에 한번이라 모두가 참석해서 좋은 것이다. 그리고 후손들도 큰제사가 없으면 형제나 일가친척이 각자 제사를 지내게 되어 서로가 멀어질 수밖에 없지만 큰제사로 지내게 되면 모두가 모이게 되어 서로 화목하게 되고 또한 돕게 되어 좋은 것이다.
* 고조까지만 밤 제사를 지내라는 재래의 4대봉사도 모순이다. 지금까지는 부모 조 증조 고조까지만 집에서 밤 제사로 지내고 그 위 분들은 시제(時祭)로 지내라고 했던 것인데, 문중에 사당이 있을 때만 가능했다. 사당이 없는 문중의 5대조이상의 조상님들은 제사상 한번 받지 못하셨던 것이다. 그리고 지금까지는 결혼 전에 돌아가신 분들이나 자손이 끊어진 분들은 제외되었던 것인데 이것도 모순이다. 그분들도 모두 우리의 조상이기 때문이다.
즉 시제(時祭)는 고조까지의 제사를 집에서 지내고 그 윗분들의 제사는 산소나 사당에 가서 지내는 것이지만, 큰제사는 부모님 제사만 집에서 지내고 그 윗분들의 제사는 사당이나 묘나 큰집이나 일가친척이 모두 모이기쉬운 곳에서 지내는 것이다. 그리고 시제는 “이번에는 몇 대손까지” 라며 사람을 뺏다 넣었다 하고 그때마다 제물도 바꾸는 식의 복잡한 격식을 따르지만 큰제사는 그럴 필요가 없는 것이다. 집에서 밤 제사를 지낼 때와 같이 한번 차린 상에 참석자 모두가 한번으로 지내면 되는 것이다.
* 제사지내는 비용
먹고 살기도 힘들었을 때는 제수(祭需) 작만하기도 힘들었다. 그러나 지금은 살기가 좋아져서 형제모두가 자진해서 돈을 낸다. 또 잘 사는 사람이 있을 때는 돈도 많이 내고 갈비도 짝으로 들여오고 관광버스로 산소에 가기도 해서 모두를 기쁘게 한다. 제사란 정성이니 남이야 얼마를 내건 상관말고, 내 정성껏 내고 지내면 조상님들께서도 더 살펴주시지 않겠는가라는 것이다,
* 둘째 집이나, 딸들만 있는 집에서는
둘째 이하의 집에서는 자기 친부모님의 제사만을 자기 집에서 지내고 그 위 조부모님 이상의 제사는 큰집에 가서 지내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요즘은 조부모님 이상의 제사를 음력 10월 문중대제(큰 제사)로 사당이나 묘나 큰집에서 일가친척이 모두 모여 한번에 지내기 때문에, 큰 집이나 작은 집이나 모두 자신들의 친부모님 제사만을 각자 집에서 기제사로 지내게 되었다.
작은 집 제사에는 큰 집에서도 참석하는 것이 원칙이다. 작은 아버지 어머니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설이나 추석은 “제사의 의미보다도 전 조상님과 전 가족이 모두 모여 먹고 마시며 즐겁게 화합을 다지는 명절이라는 의미에서” 친부모님 제사도 각자의 집에서 지내지말고 큰집에서 현 전조상님 신위라고 지방을 써 놓고 함께 지내는 것이 좋다.
그리고 아들이 없는 집에서는 딸들이 지내면 되는 것이다. 아들이건 딸이건 아무라도 상관 없는 것이다. 제사라는 것이 돌아가신 분에게 후손들이 식사대접을 하는 것이지, 아들끼리만 식사대접을 하는 것이 아니기때문이다. 오히려 딸들이 차려드리는 음식을 더 좋아하시는 조상님들도 계실 것이다.
* 제사를 옮겨 올 때, 큰 집에서 제사를 옮겨 올 때, 이사 갔을 때, 외국에 이민 갔을 때 등, 제사를 옮겨서 지내야 할 때는 별 절차를 거치지 않고 그냥 새 장소에서 지내면 되는 것이다. 무속인들 중에 "모셔와야 하느니, 어떤 절차를 해야 한다."고 하는데 필요없는 것이다. 모셔와야 한다면 북한에서 넘어 온 사람들은 북한에 다시가서 모셔오기 전에는 제사도 못 지낸다는 말이 아닌가, "귀신 같이 알고 찾아 온다."는 말이 있듯 신(神)이라 다 아시고 찾아 오시는 것이다. 그래도 허전하다는 분은 묘나 납골당에 가서 "이번 제사부터는 어디에서 지내고자합니다"라고 고하면 되는 것이다.
5. 설과 추석
설과 추석은 제사가 아니다. 명절(名節)인 것이다. 따라서 차례(茶禮)라고 한다.
* 설은 새해를 맞이하는 기쁜 날, 일가친척이 모두 모여 푸짐하게 음식을 차려 놓고 선대 조상님들께는 감사의 제(祭)를 올리고 웃어른들께는 만수무강하심을 비는 세배(歲拜)와 만수금(萬壽金)을 올리고, 웃어른들은 후손들에게 “복을 받으라.”는 덕담(德談)올 내리고 세뱃돈(복)올 내리는 축복(祝福)의 날인 것이다.
* 추석은 오곡백과(五穀百果)가 풍성한 8월 한가윗날, 햇곡으로 떡을 빚고 술을 담그고 통통히 살이 오른 가축을 잡고, 잘 익은 햇과일들로 푸짐하게 상을 차리고, 일가친척이 모두 모여 선대조상님들께는 감사의 제(祭)를 올리고, 후손들은 마음껏 먹고 마시며, 서로가 따뜻한 정을 나누는 기쁨의 날인 것이다.
따라서 제삿날과는 달리 제례(祭禮)법 같은 것에 구애받을 필요가 없는 것이다, 지방도 한글로 현 선대 전조상님 신위라고 쓰거나, 한자로 顯 先代 全祖上님 神位 라고 한 장으로 쓰고. 설에는 떡국 9그릇. 추석에는 밥 9그릇과 송편 한 그릇에. 5육 5천 5채 8과의 진설(陳設)법을 기본으로 하되 기타 아무 것이라도 푸짐하게 차려놓고 조상님들에게는 제주만 단잔 가족들은 모두 첨작으로 술을 올리고 서로가 기쁜 마음으로 즐겁게 먹고 마시며 따뜻한 가족의 정을 나누면 되는 것이다. (추석에는 온 가족이 조상님의 산소에 다녀오는 것도 좋다.)
* 지금 우리가 따르고 있는 제례(祭禮)절차가 2500년 전 중국(中國) 유교에서 유래되었다는 것과 지금은 중국에서조차 지키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도 우리민족과 21세기에 맞는 방식으로 혁신해야 할 것이다. 절하는 방법이나 복식에도 구애받을 필요가 없고 女子라고 빠질 이유도 없는 것이다. 평소에 조상님을 대하듯 하면 되는 것이다. 하기야 제례법(祭禮法)을 만든 공자(孔子)께서도 대악필이 대례필간(大樂必易 大禮必簡) 즉 큰 잔치는 쉬어야 하고 큰 제사는 간단해야 한다고 하지 않았던가,
유교적 전례에 근거를 둔 차례상 차리기와 지방 쓰는법...
그리고 필자식 차례상 차리기과 지방 쓰는 법이다.
나이가 드신 어른들이 차차로 돌아가심에 따라 유교식 교육을 배우지 못한 현대인들이
명절때나 제사때를 만나면 당혹스러워 하게 된다.
설과 추석 명절의 차례상 차리는법과 지방을 쓰는 법을 간추려 여기 올린다.
설 차례상 차림(일명 : 떡국 제사)
추석 차례상 (일명 : 송편제사)
일반 기일 제례차림 (일명 : 국밥제사)
시대가 바뀌고 종교가 다르므로 꼭 똑같이 따를 필요는 없다.
하지만 근본은 알아야 변형이 가능하다.
즉, 차례상과 제상상에는 돌아가신 분이 생전에 좋아하시던 음식과 가족들이 즐기는 음식으로
대체해도 좋다.
차례상과 제사상의 표본은 옛날시대에 그 시절에 음식을 위주로 한 것이고
지금 우리는 과거 당시의 기준으로는 미래사람들이다.
'소고기 산적' 대신 '캔터키 후라이드치킨'을 올려도 되고...
굴비 대신 '광어 회'를 올려도 좋다.
먹지도 않는 옥춘팔보(꽃무늬 사탕과 별모양의 사탕) 대신 과일사탕과 초콜렛으로...
부침 대신 피자...(웃자고 하는 말이 아니다)
이렇게 고인이 생전에 좋아하던 음식으로 바꿔도 된다는 것이다.
다만, 이것을 핑계로 정성이 부족하지는 말자는게 필자의 주장이다.
지방은 성균관 제례도감에 따르면 반듯이 한지에 먹을 갈아서 붓으로 쓰도록 명기하고 있다.
이것도 차례상을 설명한 것처럼 꼭 그와 같이 따를 필요는 없다.
옛날에는 한지와 먹, 붓이 상용했던 시절이었지만...
지금은 프린터 용지, 볼펜이 상용되는 시대다.
그러니 더 나아가 컴퓨터로 작성하고 프린터를 하는 시대라는 것이다.
필자가 주장하는 지방의 경우를 보자.
약, 십년전에 필자의 동생이 갑작스런 지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양 부모가 생존해 계시고 고인이 된 동생의 아들이 아직 장가를 들지 않아
형인 필자가 제주가 되어서 성균관 예시대로라면 왼쪽(한자로 된..) 처럼 지방를 써야 한다.
하지만 이뜻을 자녀들이 알리가 없고 장성한 뒤에 어렵게 찾아서 이대로 쓸지도 의문이었다.
차라리 그 뜻을 기리는 것이 맞다고 생각이 들어 아래와 같은 지방으로 대체 하였다.
-백부님(큰아버지)과 집안어른들이 야단을 치셨지만 설득을 했습니다-
좋지 않은가...
내 뜻이 분명하게 이 상차림이 "먼저간 동생 아무개.."를 위한 것이라는게 극명해졌으니...
한자를 잘 모르던 동생도 헷갈리 없지 않겠는가...
이렇게 차례(제사)상 차림과 지방 쓰는법은 어렵게만 생각치 말고 현대적으로
재조명하고 재해석, 재적용할 필요가 있다.
-------------------------------------------------------------------------------
1. 종이재단법 ㅇ 지방에는 원래 정해진 규격이 없지만 신주를 약식화한 것이므로
신주의 체제에 유사하게 제작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전통적으로 지방은 깨끗한 한지에 길이는 주척(周尺)으로 한자(尺) 두치(寸)이고
너비(幅)가 세치(寸)인 바 길이는 22cm 에 너비가 6cm정도이다.
이 크기에 맞추어 직사각형으로 절단하여 위쪽을 둥글게 오려서 만들었다.
위를 둥글게하고 아래쪽을 평평하게 하는 까닭은
천원지방(天圓地方:하늘은 둥글고 땅은 평평하다)을 상징한 것이다.
2. 지방서식(紙榜書式) ㅇ 기제(忌祭)때 가문(家門)에 따라 단설(單設 : 돌아가신 본인 한 분만을 제사 지냄)로 도 지내고,
합설(合設 :돌아가신 내외분을 함께 제사 지냄)로도 지낸다. 현대에는 거의 합설로 지낸다.
ㅇ 지방(紙榜)을 쓸 때 단설(單設)일 때는 돌아가신 분 한분만을 쓰고,
합설(合設)일 때는 돌아가신 내외분(內外分)을 함께 쓴다.
만약 전후취(前後娶)일 때는 세분을 함께 써야 한다.
이때 서고동비(西考東비 :서쪽은 고위(考位)이고 동쪽은 비위임)이므로 좌편에 남자의 신위를 쓴다.
ㅇ 아내의 제사에는 자식이 있어도 남편이 제주(齊主)가 되고
장자(長子)의 제사에는 손자(孫子)가 있어도 아버지가 살아 계시면 아버지가 제주(齊主)가 되며,
남편의 제사일 때는 자손(自孫)이 없을때만 아내(妻)가 제주(祭主)가 된다.
ㅇ 지방(紙傍)을 쓸 때는 관직(官職)이 있을 때는 그 품계(品階)와 관직(官職)을 쓰고,
관직이 없을 때는 남자는 학생(學生) 또는 처사(處士), 수사(秀士)또는 수재(秀才)라고 쓰며,
여자는 유인(孺人), 여사(女士)라 쓴다.
ㅇ 조선조(朝鮮朝) 때는 남편(男便)이 9품이상의 관직자(官職者) 일때
그 아내에게 외명부(外命婦)의 품계(品階)를 주었으므로
지방을 쓸때 남편이 9품이상의 관직이 있으면 아내도 그에 상응하는 품계를 쓰는데
조선조 후에는 그런 제도가 없으므로 여자 자신이 관직에 있었을 때만 그 관직을 써야 한다.
ㅇ 벼슬이 없었던 분의 경우에는 관작 대신에 처사 또는 학생이라고 쓰는데,
조선시대에는 이 말이 과거 시험을 준비중이던 예비 관원의 신분을 가진 사람들을 지칭하던 용어이다.
근래에는 "현고학생부군신위(顯考學生府君神位)"와 같이 쓰는 것이 관습처럼 되어서
이를 마치 지방 문안의 표준인 것처럼 여겨 관직을 지낸 사람이건 아니건 이렇게 쓰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매우 잘못된 풍습이라 할 수 있다.
ㅇ 오늘날에도 공직에 있었던 분들의 지방에는 당연히 관직을 써야 하고,
일반 사회 단체나 기업체 등에서 중요한 직위에 있었던 분들 모두 공공의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공직에 준하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관직을 쓸 때는 대표적인 직함 하나만을 간략하게 쓰는 것이 좋다.
ㅇ 박사, 석사, 학사와 같은 학위를 가진 분은 그것을 쓰는 것도 좋을 것이다.
예전의 진사나 생원도 일종의 학위로서 신주나 지방에 쓰였기 때문이다.
ㅇ 여성의 경우에는 오늘날은 남편의 벼슬에 따라 봉작하는 법이 없으므로 봉작은 쓸 수 없다.
따라서 남성의 경우에 준하여 쓰는 것이 좋을 것이다.
곧 관직이나 사회적 직함 또는 학위를 쓰는 것이 무방하다.
관직이나 사회적 직함은 전통 시대의 봉작과 같은 성격을 지니기 때문이다.
이는 남녀 평등의 정신을 나타내는 것이기도 하다.
또한 일정한 직함이 없는 여성은 그냥 유인이라고 쓰는 것도 좋다.
조선시대에도 봉작을 받지 못한 여성은 모두 유인이라고 썼기 때문이다.
제사 지내는 법
*어동육서 (魚東肉西)[―뉵써][명사] 제사상을 차릴 때, 어찬(魚饌)은 동쪽(우측)에 놓고 육찬(肉饌)은 서쪽(좌측)에 놓는 일 *좌ː포우혜 (左脯右醯)[―혜/―헤][명사] 제상을 차릴 때, ‘왼쪽에 포(脯), 오른쪽에 식혜를 차림’을 이름. 붉은 과실은 동쪽, 흰 과실은 서쪽에 차림’을 이르는 말. *조동율서 (栗東栗西)[―써][명사] 제사 지낼 때 제물(祭物)을 차리는 격식. ‘ 붉은 과실은 동쪽, 흰 과실은 서쪽에 차림’을 이르는 말. *조율이시 (棗栗梨枾)[명사] 제사에 쓰는 대추·밤·배·감을 아울러 이르는 말. 1.분향재배 제주가 신위 앞에 나아가 꿇어앉아 분향하고 집사자가 제주는 받아서 모사 그릇에 3번으로 나누어 붓고 빈 잔을 집사자에게돌려 보내고 일어나서 2번 절한다. (향을 피우는 것은 위에 계신 신을 모시고자 함이요,술을 모사에 따르는 것은 아래에 계신 신을 모시고자 함이다.) 주면 제주는 잔을 받아 집사자가 따르는 술을 강신 할 때와 같이 오른손 으로 잔을 들어 모사에 조금씩 3번 기울여 부은 다음 양손으로 받들어 집사자에게 주면 집사자는 그것을 받아 제상에 올린다. 참사자와가족들이 모여서 시식을 한다. 참고하시어 훌륭한 조상님을 정성껏 모시기 바랍니다.복 많이 받으세요...... 1. 천하다고 여긴 음식 등이 푸른 생선(고등어, 방어, 정어리 등)은 흔하고 천하다고 생각하여 젯상에 올리 지 않았다. 그만큼 조상에게 성의와 정성을 다한다는 의미가 있다. 지역(해안지방)에 따라서는 문어 도 제사상에 올려진다. 모든 제수의 조리에는 향신료(香辛料)인 마늘, 고춧가루, 파 등을 쓰지 않고 간장과 소금만 또는 천연 조미료로만 조미한다. 이는 5신채(五辛菜-5가지 자극성이 강한 채소) 를 피하는 불교 음식문화의 영향이다. 이러한 불교의 5신채의 영향으로 제사음식에서 고추가루, 마늘, 파 등을 피하는 것 이다. 너무 흔하고 고춧가루와 마늘 등의 양념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