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밀어 : Rhinogobius brunneus (Temminck et Schlegel) (= Gobius similis)
► 방 언 : 갈통이, 퉁거니
► 외국명 : (영) Amur goby, (일) Kuroyoshinobori (クロヨシノボリ)
► 형 태 : 크기는 전장 7~12㎝ 정도이다. 몸이 가늘고 길며, 꼬리는 측편하고 머리와 몸체의 높이는 거의 같다. 꼬리자루는 낮고 머리는 폭이 넓으며 뺨은 불쑥 튀어 나왔다. 등지느러미는 2기로 수컷의 제1등지느러미는 매우 길다. 체색, 반문, 알의 크기, 생활 양식에 따라서 소란(小卵)의 횡반형(橫斑型), 흑색형(黑色型), 자남형(紫藍型), 흑색대형(黑色大型), 등색형(橙色型, 호소형[湖沼型]), 중란형(中卵型) 등으로 나누지만 전문가가 아니면 이들을 구별하기 어렵다. 대체로 체색은 담갈색 또는 흑갈색이고 측면에에 연한 갈색의 반문이 약 7개가 산재한다. 제1등지느러미 가시가 가장 길다. 비늘은 빗비늘로 머리 측면과 등쪽에서 새개골 후연의 위쪽까지 비늘이 있다. 산란기가 되면 수컷의 몸 빛이 검어지고, 등지느러미 끝에 청색이 나타나고 수직 지느러미 가장자리가 황색으로 변하며, 암컷의 몸 바탕색은 암황색으로 된다.
크기는 전장 10㎝ 정도이다. 몸은 길고 가늘다. 머리는 너비가 넓고 위아래로 납작하며, 그 후방 몸통은 원통형이나 점차 옆으로 납작하다. 꼬리자루는 낮고 옆으로 납작하다. 머리와 몸의 높이는 거의 같다. 주둥이는 길고 입은 큰 편이며 위턱은 아래턱보다 약간 길어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뺨의 근육이 발달하여 불쑥 튀어나왔다, 눈은 작고 머리 위로 튀어 나와 있다. 악골에는 이빨이 없거나 연한 융모형의 이빨이 있다. 입구석은 눈의 앞 끝을 조금 넘는다. 꼬리지느러미 끝부분은 둥글고, 등지느러미는 2개이다. 수컷의 제1등지느러미 첫 기조는 길다. 두 배지느러미는 유합되어 원형이며 흡반으로 변하였고 그 크기가 매우 작다. 몸은 큰 빗비늘로 덮여있고 머리에는 비늘이 없다. 측선이 없다. 보통 담갈색(흑갈색, 황갈색, 회갈색 등) 바탕에 체측 중앙에는 7개 정도의 큰 암갈색 반점이 있다. 몸색의 변화가 심하다. 등지느러미 뒷지느러미 그리고 꼬리지느러미에는 여러 줄의 가로무늬가 있으며, 둘레에는 흰색 띠가 있다. 눈의 앞쪽에는 황갈색의 폭이 좁은 'V'형 반문이 있다. 산란기가 되면 수컷은 몸 빛깔이 검어지고 암컷은 암황색이 된다.
► 설 명 : 자갈, 모래자갈이 깔린 밑바닥 얕은 곳에 서식하나 진흙 바닥에도 살고 있다. 호수와 통하는 하천, 호수 및 바다에 서식한다. 하천 중류의 여울부에서 하류에 이르기까지 널리 서식한다. 식성은 잡식성으로 수생 곤충, 부착 조류, 물벼룩, 작은 동물 등을 주로 먹는다. 산란기는 5월 상순 ~ 8월 상순, 호수에서는 4월 상순 ~ 9월 하순이다. 번식기에 수컷들은 작은 돌을 두고 다툼을 벌인다. 돌을 차지한 수컷이 돌 밑에 있는 모래를 입으로 물어내서 공간을 만들면 암컷이 다가와 알을 낳는다. 암컷은 알을 한 층으로 붙이며, 산란 후에는 수컷이 알을 지킨다. 하천에서는 여울 깊이 20~80㎝, 유속 20~30mm/sec의 바위 밑에, 호수에서는 수심 0.5~4m의 모래 자갈 밑에 한번에 산란한다. 알은 수컷이 보호한다. 체내 알 수는 1,500~4,000개, 산란 수는 500개이상이다. 알은 긴 타원형으로 난황은 황색이며, 소란형(小卵型)은 장경 1.8~3.0mm, 단경 0.6~0.9mm, 중란형(中卵型)은 장경 3.2~3.4mm, 단경 1.3~1.4mm이다. 수온 20~22℃일 때 약 84시간 만에 부화하며, 부화된 자어는 소란형(小卵型)은 3~4mm, 중란형(中卵型)은 5mm정도이다. 일단 바다로 내려가서 부유 생활을 하며, 전장 2㎝ 정도로 자라서 성어가 되면 하천으로 올라온다. 수컷의 제1등지느러미는 암컷의 것보다 길다. 결혼기가 되면 연조가 실 모양으로 길어진다. 수컷의 생식돌기는 끝이 뾰족해지고 암컷의 것은 수직형으로 된다. 혼인색은 흑색이다. 하천에서 부화한 자어는 곧 바다 또는 호수에 들어가 부유 생활기를 지난 후에 하천에 올라온다. 호수에서는 자어는 표층에 분포하나 치어기에 들어가면 야간은 상하 전층에 분포하고 주간은 물밑에서 5~10cm 위에 분포하며, 주로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는다. 미성어기인 전장 1.8㎝때에는 저서생활에 들어갔다가 하천에 올라가기 시작한다. 겨울에는 서로 떨어져서 살며, 여울의 돌 밑에서 월동한다. 성장도는 전장 2㎝가 되면 성어 체형과 같이 된다. 1년에 체장 3~6㎝에 달하여 성숙한다. 호수산은 2년에 4~6㎝가 되어 성숙된다. 한강 양수리에서 북한강 가평까지의 수역 연안에 6월을 전후하여 군집하여 산란한다. 조선 때 문인 고관들은 봄에 이 곳 한강에 가서 고추장에 산 밀어를 잡아 넣어 고추장을 양껏 먹은 밀어를 술안주로 하는데 안주로서 일품이라고 한다. 일본 비파호(琵琶湖)의 것은 1.8㎝가 되면 저생생활로 들어가고 하천에도 올라오는데 1년만에 체장 3㎝ 이상으로 자라며, 횡반형(橫斑型), 흑색형(黑色型)은 7㎝, 자남형(紫藍型), 흑색대형(黑色大型)은 9㎝로 자란다.
주로 튀김이나 국으로 이용한다. 관상어로 사육하기도 한다.
► 분 포 : 한국(전국의 담수역), 일본(전 담수역, 홋카이도를 포함한 일본의 서해와 태평양 연안의 담수역, 유구열도), 타이완, 중국, 필리핀, 베트남의 담수역에 분포하며, 미국의 워싱턴주 컬럼비아주 오레곤주에도 이입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서남해와 동해로 흘러드는 하천이나 호수의 물이 맑고 바닥에 자갈과 모래가 깔려 있는 곳에서 서식하는데, 주로 여울에 살고 있다.
► 비 고 : 근연종인 육봉형 민물밀어(Rhinogobius flumineus, 일본명 kawayoshinobori)가 있다. 알은 커서 장경 6.0~6.5mm, 단경 2.0mm이고, 부화시의 자어는 7.5mm이며, 바다로 내려가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