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문설렁탕 |
오래된 맛집은 늘 든든하다. 50년 이상 동안 손님들을 섬기면서 살아온 내공이 있다. 주간한국 창간49주년 기념으로 우리나라 50년 이상 된 노포 50집을 찾았다.
<서울>
이문설렁탕: 서울특별시 종로구 견지동 88번지
100년을 훌쩍 넘긴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음식점. 대한제국 말기 '이문옥里門屋'으로 문을 열었다. 반드시 '마나(소 지라)'가 들어가는 서울식 맑은 설렁탕 전문점.
용금옥: 서울 중구 다동 165-1
서울식 추탕(鰍湯)의 원조 격인 집으로 1930년대 초반 문을 열었다. 일제강점기와 광복 후 한국 지식인들의 사랑방 노릇을 했던 집. 추탕, 추어 튀김 등이 가능하다.
곰보추탕: 서울 동대문구 용신동 767-6
1930년대 초반 창업, 현재 주인은 창업주의 며느리다. 약 20가지 정도의 재료로 육수를 만들고 칼칼하면서도 시원한 추탕을 내고 있다. '갈아서' 보다 '통추'를 추천.
청진옥: 서울시 종로구 종로1가 24 르메이에르 종로타운 1층 123호
1930년대 후반 문을 열었다. 해장국 전문점으로는 국내 최초. 종로 일대 재건축으로 현재는 르메이에르 빌딩에 있다. 시원하면서도 푸짐하고 맛이 깊다는 평가를 받는다.
![]() |
곰보추탕 |
장원: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 104-1
삼청동 입구(원서동)에 있는 호남한식의 종가다. 1950년대, 서울에 호남한식을 처음 소개했다. 창업주의 따님이 2대 전승, 푸짐하고 맛깔 진 호남한식을 내놓고 있다.
은호식당: 서울특별시 중구 남창동 50-43
남대문시장 안에 있는 꼬리곰탕 전문점이다. 꼬리곰탕, 수육, 설렁탕 등이 유명하고 시장 상인들의 편한 밥집으로 출발했다. 고릿한 맛이 나는 70년 전통의 국물이다.
잼배옥: 서울시 중구 서소문동 64-4
서울역 뒤편 '잠바위골'에서 처음 문을 연 집이다. '잠바위=잼배'가 되고 잼배옥이 되었다. 중앙일보사 부근에 있고 맛이 무겁고 고릿한 냄새가 나는 예전 설렁탕이다.
하동관: 서울 중구 명동1가 10-4
고 박정희 대통령부터 국내 유명인사들이 모두 단골이었던 곰탕 전문점. 수하동에서 시작, 명동으로 옮겼다. 유기를 사용한다. 고 김용택 씨가 창업. 현재 3대 전승 중.
한일관: 서울 강남구 신사동 619-4
일제강점기 전형적인 한식집이다. 불고기, 냉면, 갈비탕 등과 더불어 한상차림 한식을 팔던 집이다. 지금은 냉면과 갈비탕 등이 있다. 종로에서 성수대교 남단으로 이전.
옥천옥: 서울 동대문구 신설동 94-57
![]() |
청진옥 |
청계천 남쪽에 있다가 재개발로 북쪽 한국도자기 뒤편으로 이사했다. 3대 전승이된 집이고 '서울 노포 10위'에도 드는 집이다. 고기냄새가 나는 예전 설렁탕의 맛이다.
우래옥: 서울 중구 주교동 118-1
1946년 '서북관'으로 문을 열었다가 한국전쟁 후 다시 문을 열면서 '又來屋'으로 이름을 바꿨다. 냉면, 불고기 등을 내놓는데 평양냉면은 국내 최강이다. 육수는 고기국물.
문화옥: 서울 중구 주교동 118-3
많이 알려지지 않은 을지로4가의 설렁탕 전문점. '우래옥' 입구에 있다. 전형적인 서울 설렁탕 집의 모습을 그대로 지니고 있다. 국물도 무겁지 않고 담백한 편이다.
남포면옥: 서울시 중구 다동 125
외식업체에서 사용하기 힘든 동치미국물 육수를 꾸준히 사용한다. 고기 육수와 섞어서 쓰지만 시원한 맛이 산뜻하면서도 아주 깊다. 무교동(다동)에서도 오래된 노포다.
춘천산골막국수: 서울 중구 을지로4가 60
서울에 강원도 춘천식 막국수를 널리 알린 공로가 있다. 노포로 꾸준히 강원도식 막국수, 수육, 백숙 등을 내놓고 있다. 이북식과 비슷한 강원도식 순대도 있다.
연남서서갈비: 서울 마포구 노고산동 109-69
의자도 없고 '밥'도 팔지 않는 특이한 갈비집이다. 신촌로터리 부근에 있는 '서서 먹는 갈비집'이다. 갈비와 간단한 주류만 주문 가능하다. 불판에 죽 둘러서 먹는다.
![]() |
복래춘 |
마포진짜원조최대포: 서울시 마포구 공덕동 255-5
마포 공덕로터리 부근의 서민적인 돼지고기 전문점이다. 돼지갈비가 주력메뉴. 경의선 철도 부근에 허름한 집들이 있던 시절(1955년)문을 연 원조 돼지갈비집이다.
역전회관: 서울 마포구 염리동 173-21
용산역 앞에서 문을 열었고 재개발로 마포 먹자골목 안으로 이사했다. 국밥류나 낙지비빔밥 등이 가능하다. 고기를 다진 다음 바싹 구운 바싹 불고기가 주요 메뉴.
마포옥: 서울시 마포구 용강동 50-13
1960년대 서울의 끝이었던 마포의 노포이자 마포 지역 설렁탕의 시작이다. 건물은 신축했지만 장소는 예전 그대로. 2층에 홀이 있다. 양지설렁탕, 차돌설렁탕이 있다.
안동장: 서울시 중구 을지로3가 315 -18
'안동'은 산동성의 지명이다. '안동장'은 화교 노포다. 물만두가 수준급이고 짬뽕도 시원構?맛이 깊다. 원래 청요릿집이었으나 지금은 짬뽕, 짜장면, 물만두가 주력이다.
개화: 서울 중구 명동2가 107
한국에 상륙한 중식당의 원조 같은 집. 인천 '공화춘'과 더불어 서울 명동에는 '개화'가 있었다. 짜장면이 좋고, 짠슬, 으깬 오이와 마늘을 많이 넣은 오향장육도 일품이다.
<인천>
![]() |
마방집 장작불고기 |
복래춘: 인천 중구 선린동 10-2
인천에 차이나타운의 특이한 명소다. 음식이지만 중국식 과자-월병 등을 전문적으로 파는 집이다. 과자로 겉은 싼 '포천쿠키FORTUNE COOKIE'는 추천 메뉴(?).
원보: 인천시 중구 복성동 2가 10-13
아예 벽에 "짜장면, 짬뽕은 팔지 않는다"고 써붙인 인천 차이나타운의 만두 전문점. 물만두와 튀김만두 등이 수준급이다. 최고의 중식 만두로 손꼽히는 집. 만두만 가능.
우리옥: 인천시 강화군 강화읍 신문리 184
강화도의 백반집. 약 10종류 정도의 밑반찬과 밥과 국이 간출하게 나오는 전형적인 시장 백반집이다. 음식 간이 심심하고 맛은 수준급이다. 순무김치, 갈치찌개가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