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주이씨 벌열자료
조선시대 대표적인 벌열 가문으로는 숙종 때의 청풍 김씨, 광산 김씨, 여흥 민씨, 영조 때의 남양 홍씨, 경주 김씨, 세도 정치기의 안동 김씨, 풍양 조씨, 그리고 고종 때의 여흥 민씨 등의 가문이 대표적이었다. 우리 경주 이씨 가문에 벌열에 오른 인물은 다음과 같다.
● 상신(相臣)
상신(相臣)은 고려의 삼사(三師) 삼공(三公)과 문하시중(門下侍中) 판삼사사(判三司事) 삼중대광(三重大匡) 중대광(重大匡)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중서령(中書令) 상서령(尙書令)과 조선의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을 상신으로 한다.
조선(朝鮮)왕조시대의 최고 관직으로서 서기 1,400년(정종 2년)에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를 의정부(議政府)로 개편하고 영의정(領議政:정1품). 좌의정(左議政:정1품). 우의정(右議政:정1품) 각 1명씩을 두었는데 이들 3의정을 황각(黃閣)또는 태사(台司)라고도 일렀다.
조선시대의 상신은 총 336명이 역임을 하였으며 그중에서 무과(武科) 출신은 7명이었고 음보(陰補)가 20명이었으며 유일이 5명 배출되었다. 그리고 나머지 304명은 모두가 문과(文科)출신들이었다.
이제현(李齊賢) : 高麗恭愍王朝, 右議政(3). 門下侍中
□ 전고대방에 상신으로 올라있는 조상(조선시대. ○ 표시)
○이항복(李恒福): 宣祖朝, 領議政 ○이경억(李慶億): 顯宗朝, 左議政
○이 완(李 浣): 顯宗朝, 右議政 ○이광좌(李光佐): 景宗朝, 領議政
○이태좌(李台佐): 英祖朝, 左議政 ○이종성(李宗城): 英祖朝, 領議政
○이경일(李敬一): 純祖朝, 左議政 ○이유원(李裕元): 高宗朝, 領議政
● 문형(文衡)
대제학(大提學)을 일컫는다.
고려 시대에 보문각·우문관·진현관에 둔 정2품 또는 종2품 벼슬이다.
조선 시대에 둔 홍문관과 예문관의 으뜸 벼슬이며 정2품으로 태종 1년(1401)에 대학사를 고친 것이다.
대제학은 지금의 장관급이고. 대제학이 있던 곳은 홍문관(弘文館)과 예문관(藝文館)이다.
홍문관(弘文館)은 조선시대 궁중의 경서(經書).사적(史籍)의 관리. 문한(文翰)의 처리 및 자문에 응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청으로 옥당(玉堂).옥서(玉署)라고도 하며. 사헌부(司憲府) 사간원(司諫院)과 더불어 삼사(三司)라고 한다.
예문관(藝文館)은 조선시대에 칙령(勅令)과 교명(敎命)을 기록하는 일을 맡아보았으며 개국 초 고려의 관제에 따라 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으로 합쳐졌던 것을 1401년(태종)에 춘추관 을 분리하여 예문관으로 개편하였다. 넓게 말하면 홍문관은 학문을 연구하는 기관이고, 예문관은 왕명 등으로 나가는 문서를 만드는 기관이다.
□ 전고대방에 문형으로 올라있는 조상(○ 표시)
○ 이항복(李恒福)(명종조. 중조 25세),
○ 이인엽(李仁燁)(숙종조- 화곡 이경억 자. 중조 30세),
○ 이광좌(李光佐)(경종조- 백사 이항복 4세손. 중조 29세)
○ 이희(李暿)(태종조. 중조 21세. 홍문관 대제학. 예문관 대제학- 족보 기록)
○ 이래(李來)(태종조. 중조 20세. 한국민족대백과 사전)
● 호당(湖堂)
조선시대에 처음에는 독서당(讀書堂)이라 하였는데 뒤에 호당(湖當)으로 바꾸었다.
젊은 문관 가운데 재덕(才德)을 갖춘 유망한 젊은 문신(文臣)을 뽑아 사가(賜暇 - 조정에서 관리에게 휴가를 베풀던 일)하여 오로지 글만 읽게 하던 일과 곳을 말한다. 즉 문신 관리에게 휴가를 주어 독서당에서 글을 읽게 하던 일을 말한다
세종 때부터 젊고 유능한 문신을 뽑아서 은가(恩暇)를 주어 독서에 전념토록 하여 인재를 키워온 제도로, 한편 사가(賜暇)라고도 한다.
호당이란 지금의 독서당의 별칭이며, 문신으로 여기에 뽑히면 최고의 명예로 여겼으며 출세 길도 빨랐다.
호당(湖堂)에는 젊고 유능한 문신(文臣)을 뽑아 일정기간 공부에만 전념케 하는 국비 장학생으로 대제학(大提學)이 뽑았다.
문신(文臣)의 명예로 여겨 높은 벼슬에 오른 사람은 거의 이 호당출신이며 대제학은 호당출신이 아니면 임명될 수 없었다.
□ 전고대방에 호당으로 올라있는 조상(○ 표시)
○이종준(李宗準)(중종조). ○이 원(李 원)(중종조). ○이항복(李恒福)(선조조)
○ 이사균(李思鈞)(연산군) ○ 이을규(李乙奎)(종종조) ○ 이대방(李大邦)(선조조)
○ 이준경(李俊慶)(명종조) ○ 이태좌(李台佐)(경종조) ○ 이정좌(李鼎佐)(현종조)
○ 이경오(李敬五)(현종조) ○ 이종성(李宗城)(영조조) ○ 이유승(李裕承)(철종조)
○ 이유혜(李裕惠)(철종오) ○ 이유원(李裕元)(헌종조) ○ 이주영(李주영)(고종조)
○ 이집구(李集龜)(순조조) ○ 이 철(李 鐵)(선조조) ○ 이숭수(李崇壽)(성종조)
○ 이 오(李 鰲)(성종조) ○ 이 절(李 節)(명종조) ○ 이문좌(李文佐)(성종조)
○ 이종지(李種地)(세종조) ○ 이문병(李文炳)(성종조) ○ 이인신(李仁臣)( )
○ 이중협(李重協)(정조조) ○ 이 통(李 通)(중종조) ○ 이권국(李權國)( )
● 경연(經筵)
임금에게 유학의 경서를 강연하는 일로 경악(經幄) 또는 경유라고도 한다.
임금에게 경사(經史)를 가르쳐 유교의 이상(理想)정치를 실현하려는 것이 목적이었으나, 실제로는 왕권의 행사를 규제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였다.
고려 때 예종이 경연을 처음 도입했으나 그리 활발하지 못하였으며,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숭유정책의 실시에 따라 경연은 비약적으로 발전하였다.
이에 오른 경주이씨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이유태(李惟泰) - 효종조(孝宗朝), 이참(吏參),
이세필(李世弼) - 숙종조(肅宗朝), 이참(吏參).
● 청백리(淸白吏)
청백리(淸白吏)라고 하면 인품, 경력, 치정 등이 모든 관원의 모범이 되는 인물을 칭할 때 쓰는 말이다.
관례로 보면 청백리로 녹선이 되고 뽑히게 되면 품계가 오르고, 그 자손은 음덕으로 벼슬도 할 수 있는 특전을 얻었으며, 본인과 함께 가문의 큰 영광으로 여겼다.
이조시대에는 의정부, 육조, 한성부의 2품 이상(二品以上)관원과 대사헌, 대사간이 후보를 엄선하여 왕(王)의 재가를 얻어 녹선되는 영광의 지위라 할 수 있다.
고려의 양리제도(良吏制度)를 본받아 조선왕조는 청백리제도를 더욱 체계적으로 발전시켰고 그에 따른 혜택을 왕명으로 정하는 등 청백리 양성에 크게 산경을 썼다.
조선 말기 학자 강효석(姜斅錫)이 저술한 전고대방(傳稿大方)에 따르면 후대에 추증한 것이긴 하지만 첫 임금인 태조 때에도 5명의 청백리가 기록되어 있다.
이후 조선조 27대 519년간에 걸쳐 218명의 청백리가 나왔는데 이를 전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보면 건국부터 임란까지 200년간 162명이고 임란이후 순조까지 270년간 56명, 헌종이후 순종까지 한 분도 없는 것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이는 “전고대방”에 수록된 것 말고도 “조선왕조실록”에는 태조에서 선조 때까지 74 명, 인조 때부터 정조 때까지 25명의 청백리 기록이 보이고 있어 정확히 집계할 경우 최소 한 317명이 넘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조선시대의 청백리는 평균 1년7개월에 1명 정도씩 배출된 것을 알 수 있다.
임금별로 가장 많은 청백리 숫자를 보면 명종이 45명으로 가장 많고, 중종 35명, 선조 27 명, 숙종 22명, 성종 20명, 세종 15명, 영조 9명 등의 순이다. 조선시대는 또 살아있는 관리를 ‘淸白吏‘라 부르지는 않고 '廉謹吏'로 부르기도 하였다.
실록 등의 기록에 따르면 “본인이 생존시는 '염근리'라 부르며 포상하거나 정려했다. 청백리의 칭호는 사후에 부르는 것이었는데 그 자손은 국가에서 서용해 주었다.”라고 되어 있다.
이처럼 본인이 죽은 후 청백리로 부른 것은 청백리 칭호를 받은 관리가 그 후 변질하거나 부정에 관련했을 때 청백리의 명예실추를 방지하기 위한 배려였다. 조선정부가 청백리 제도의 유지를 위해 얼마나 애썼는가를 알려주는 단적인 본보기가 아닐 수 없다.
이 같은 청백리를 선정하는 기준으로 조선왕조도 고려의 “수령오사”와 비슷하게 “수령칠 사”를 마련했다.
즉 [농업과 잠업을 번성토록 할 것], [인구를 늘릴 것], [학교를 일으킬 것], [군정을 바르게 할 것], [부역을 고르게 할 것], [재판을 간명히 할 것], [시기를 하지 말 것] 등인데 고려시대보다 두 가지가 첨가됐다.
“수령칠사” 말고도 조선시대에는 “시무십일조”등의 평가기준이 있었는데 이 모든 것은 조선시대의 대표적 목민관이었던 다산 정약용에 의하여 요약되고 있다. 다산은 그의 목민심서에서 “청렴은 수령의 본무요 모든 선의 근원이며 덕의 바탕이다. 청렴해야 백성이 따르고 충성을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청백리 기준을 모두 뛰어넘어 후세에 누구나 청백리임을 부인치 않을 사람이 바로 황희, 맹사성, 박수량을 꼽을 수 있다.
누구에게나 알려진 황희(1363~1452)눈 영의정 생활을 18년이나 했고 관직 생활을 60년이나 계속하여 청백리로 뽑혀 세종묘에 배향되는 영예를 안았다.
한마디로 “정과 의가 아니면 행하지 않는 선행으로 한평생을 보냈다”고 할 수 있다.
□ 전고대방에 청백리로 올라있는 조상(○ 표시)
조선시대에 청백리로 올라 있는 조상님은 아래의 두분이시다.
○이정보(李廷보)(세종조). ○이항복(李恒福)(선조조),
이외 아래의 청백리는 어떤 자료에서 나온 것인지 알 수 없다.
이철견(李鐵堅)(태종조), 이지수(李之秀)(태종조),
이정보(李廷俌)(세종조), 이석손(李碩孫)(세종조), 이종지(李種地)(문종조),
이문좌(李文佐)(문종조), 이을규(李乙奎)(문종조), 이유인(李有仁)(문종조),
이 절(李 節)(단종조), 이종준(李宗準)(성종조), 이 구(李 龜)(성종조),
이 원(李元및맹)(연산조), 이윤경(李澗慶)(중종조), 이양국(李良國)(명종조),
이정복(李廷馥)(명종조), 이몽필(李夢弼)(명종조), 이항복(李恒福)(선조조),
이 영(李 領)(선조조), 이수일(李守一)(선조조), 이개립(李介立)(선조조),
이대진(李大震)(선조조), 이경진(李景震)(선조조), 이성중(李誠中)(선조조),
이경휘(李慶徽)(인조조), 이시완(李時莞)(인조조), 이유태(李惟泰)(인조조),
이경억(李慶億)(인조조), 이시모(李時模)(인조조), 이시성(李時省)(효종조),
이인실(李仁實)(효종조), 이 장(李 暲) (효종조), 이원경(李元慶)(현종조),
이종문(李宗文)(현종조), 이종상(李宗祥)(현종조), 이종창(李宗昌)(현종조),
이경오(李敬五)(현종조), 이정좌(李鼎佐)(현종조), 이 정(李 정)(현종조),
이성룡(李聖龍)(숙종조), 이관국(李觀國)(숙종조), 이태화(李泰和)(숙종조),
이영서(李永瑞)(영종조), 이 병(李 炳)(숙종조), 이경일(李敬一)(영조조),
이완성(李完城)(영조조), 이계철(李啓哲)(정조조), 이종적(李宗迪)(정종조),
이계숙(李啓潚)(정조조), 이계주(李啓周)(정조조), 이유원(李裕元)(헌종조),
이주영(李冑榮)(철종조), 이유승(李裕承)(고종조)
●절의(節義)
절개와 의리, 신념, 신의 따위를 굽히지 아니하고 굳게 지키는 것으로 개절(介節) · 절(節)이라고도 한다.
선비 정신의 본질, 즉 선비가 지녀야할 필수 덕목이 절의(節義)이다.
이존오(李存吾) : 高麗末, 杜門諸賢. 이 수(李 蓚) : 高麗末, 入山節士
이 원(李黿) : 燕山君, 戊午士禍 이중협(李重協) : 景宗朝, 辛壬士禍
이시영(李始榮) : 獨立運動, 殉義節人
○두문제현(杜門諸賢)
고려 말 조선 건국으로 고려가 망하자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로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은거하여 이성계(李成桂)의 朝鮮에 충성
하지 않고 순절한 고려의 유신들.
○入山節士(입산절사)
고려 말 조선 건국으로 고려가 망하자 산야에 은거하여 이성계(李成桂)의 부름에 나가지 않고 절개를 지킨 고려의 유신들.
○戊午士禍(무오사화)
조선 연산군 4년(1498)에 유자광 중심의 훈구파가 김종직 중심의 사림파에 대해서 일으킨 사화.
○辛壬士禍(신임사화)
조선 경종 원년(1721)부터 왕위 계승 문제를 둘러싸고 노론과 소론 사이에 일어난 사화.
○殉義節人(순의절인)
의를 따라 죽고 절개를 지킨 사람으로 성재공은 광복 후 초대 부통령에 당선되었으나, 이승만 대통령의 통치에 반대하여 사직하였다.
●장신(將臣)
명장(名將)을 일컫는다.
□ 전고대방에 명장으로 올라있는 조상(○ 표시)
○이 완(李 浣) : 仁祖朝, 御營摠戎使 創設(甲子). 御營大將. 訓練大將,
○이인하(李仁夏) : 肅宗朝, 摠戎使.
○이현직(李顯稷) : 高宗朝, 摠戎使. 御營大將. 統制使
이몽린(李夢麟) : 明宗朝, 兵使, 捕盜大將, 이 완(李 浣) : 仁祖朝, 訓練大將,
이인하(李仁夏) : 肅宗朝, 摠戎使 이현직(李顯稷) : 高宗朝, 統制使
○捕盜大將(포도대장)
조선 시대에 수도권 치안을 담당하던 관청이 포도청이다.
포도청의 으뜸 벼슬로 품계는 종2품, 좌우 포도청에 각 한 명씩 있었다. ≒포장.
○訓練大將(훈련대장)
훈련도감은 선조 26년(1593) 임진왜란중 영의정 유성룡(柳成龍)이 명나라 척계광(戚繼光)의 기효신서(紀효新書)에 의하여 포수(砲
手), 사수(射手), 살수(殺手) 등 삼수병(三手兵)을 양성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으로 지휘관을 훈련대장(訓練大將)이라 하였다.
송시열, 이완의 북벌운동은 조선 효종 때 추진된 청(淸)을 치기 위한 계획으로 군대를 훈련시키며, 한편으론 성지(城池)를 개수(改修)하
는 등 전쟁 준비를 하였으나 10년후 효종의 죽음으로 수포로 돌아갔다.
○摠戎使(총융사)
총융청은 인조 2년에 수원(水原), 양주(楊州), 광주(廣州), 장단(長湍), 남양(南陽) 등 서울 외곽의 군무를 담당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
으로 지휘관을 총융사(摠戎使)라 하였다.
○統制使(통제사)
임진왜란 때에, 경상·전라·충청 세 도의 수군을 통솔하는 일을 맡아보던 무관 벼슬. 또는 그 벼슬아치로 선조 26년(1593)에 설치하여 이
순신을 임명하였으며 삼도 통제사 · 통곤(統곤) 통제사라고도 한다.
●문무제곤록(文武制곤錄)
○곤- 問- 口대신困
□선조 경자 기찰 호남(宣祖更子譏察湖南)
○도체찰사(都軆察使) 이항복(李恒福)
□인조 갑자 괄란(仁祖甲子适亂)
○부원수(副元帥) 이수일(李守一)
○부체찰사(副軆察使) 이시발(李時發)
□인조 7월 장만 체대(仁祖七月張晩遞代)
○부원수(副元帥) 이수일(李守一)
□인조 경진 공금주(仁祖庚辰攻錦州)
○부장군(副將軍) 이완(李浣)
● 문인록(門人錄)
○이진(李王+眞)
- 자 온고(字溫古). 호 동암(號東庵). 자 익재(子益齋)
○상당 백이정 문인(上黨白臣+頁正門人)
- 이제현(李齊賢) : 仲思. 益齋. 文忠公
○점필재 김종직 문인(佔畢齋金宗直門人)
- 이원(李元밑맹) : 자 낭옹(字浪翁). 호 재사당(號再思堂)
- 이종준(李宗準) : 자 중균(字仲鈞). 호 용헌(號심변+庸軒 - 慵 齋)
○모재 김안국 문인(慕齋金安國門人)
- 이여(李여-余밑田): 문학
○수암 박지화 문인(守庵朴枝華門人)
- 이대건(李大建) : 진사. 호 오촌(號梧村)
- 이덕윤(李德胤) : 서봉(西峯- 西溪)
○사계김장생문인(沙溪金長生門人)
- 이정(李淀) : 忠武公守一子
○신독김집문인(愼獨金集門人)
- 이유택(李惟澤) - 草慮兄. 縣監
○우암송시열문인(尤庵宋時烈門人)
- 이세필(李世弼) : 龜川
● 서화가(書畵家)
○ 고려 시대
- 이제현(이제현) : 자 중사(字仲思). 호 익재(益齋). 표옹(標翁).
충렬왕시서인물마(忠烈王時書人物馬)
○ 조선 세조시(朝鮮世祖時)
- 이종준(李宗準) : 자 중균(字仲均). 호 용재(慵齋). 용헌(慵軒). 상우당(尙友堂).
부휴거사(浮休居士). 장육사인(藏六舍人) - 書畵
○ 조선 명종시(朝鮮明宗時)
- 이항복(李恒福) : 호 백사(白沙). 필운(弼雲). 소운(素雲)- 書
- 이흘(李忔) : 자 상중(尙中). 호 설정(雪汀). 오계(梧溪). 지제교(知制敎) - 書
○ 조선 현종시(朝鮮顯宗時)
- 이하곤(李夏坤) : 자 제대(載大). 호 담헌(澹軒). 부솔(副率)- 山水
○ 조선 헌종시(朝鮮憲宗時)
- 이희수(李喜秀) - 자 지삼(芝三). 호 소남(少南). 경지당(景止堂)- 書畵
● 종묘 배향록(宗廟配享錄)
- 전고대방에 실린 조상
- 태종실(太宗室) - 이래(李來) 계성군(鷄城君)
- 장조실(莊祖室) - 이종성(李宗城) 오천(梧川)
● 서원향사록(書院鄕祀錄)
- 전고대방에 실린 조상
○ 여주 고산서원(驪州孤山書院)
- 이존오(李存吾) : 자 순경(順卿). 호 석탄(石灘). 고려 정언. 증대사성
○ 포천 화산서원(抱川花山書院)
- 이항복(李恒福)
○ 청주 송천서원(淸州松泉書院)
- 이대건(李大建) - 진사. 증 우상(贈 右議政)
○ 공주 충현서원(公州忠賢書院)
- 이존오(李存吾)
○ 부여 의열사(夫餘義烈祠)
- 이존오(李存吾)
○ 나주 영강사우(羅州榮江祠宇)
- 이원(李元밑맹): 호 재사당(再思堂). 좌랑. 증 승지
○ 남원 영천서원(寧川書院)
- 이대유(李大由밑乙) : 자 : 경인(景引). 호 : 활계(活溪). 관직 : 좌랑
○ 김제 용암서원(金提龍巖書院)
- 28世 이세필(李世弼) : 形曺叅判. 贈 左贊成. 시호 : 文敬
○ 영광백산서원(靈光栢山書院)
- 이세필(李世弼)
○ 전라도 무장 충현사(全羅道茂長忠賢祀)
- 이존오(李存吾)
○ 경주 구강서원(慶州龜岡書院)
- 이제현(李齊賢) : 호 익재(益齋). 관직 : 고려 시중(侍中). 시호 : 문충(文忠)
○ 안동 경광서원(安東鏡光書院)
- 이종준(李宗準)
○ 안동 백록리사(安東栢麓里社)
- 이종준(李宗準)
○ 황해도 연안비봉서원(黃海道延安飛鳳書院)
- 이정암(李廷唵-口대신香) : 자 중동(仲董). 호 퇴우당(退憂堂). 지주(知樞). 월천부원군(月川府院君). 시로 충목(忠穆)
○ 함경도 북청 노덕서원(咸鏡道北靑老德書院)
- 이항복(李恒福)
○ 평안도 곽산 월포사우(平安道郭山月浦祠宇)
- 이원(李元밑맹)
● 명륜(明倫)
인간의 윤리를 밝힘.
(효행) 이씨(李氏) : 李秀文 配位, 旌閭
* 중앙화수회 홈페이지에서 펌한 자료로 유독 이 할머님만 효행으로 올린 이유는?
● 문집(文集)
경주이씨 조상님들이 기록하여 남긴 서책이다.
운곡실기(雲谷實記) : 이광좌(李光佐). 화곡유고(華谷遺稿) : 이경억(李慶億)
청헌유고(聽軒遺稿) : 이경일(李敬一). 활계집(活溪集) : 이대유(李大)
제정집(霽亭集) : 이달충(李達衷) 현금동문류기(玄琴東文類記): 이득윤(李得胤)
장륙당시고(藏六堂詩稿) : 이별(李鼈) 눌헌집(訥軒集) : 이사균(李思鈞)
산은유고(汕隱遺稿) : 이상정(李相定) 경해록(經解錄) : 이석손(李碩孫)
망세음(忘世音) : 이석손(李碩孫) 양와집(養窩集) : 이세구(李世龜)
낙완고사(樂院故事) : 이세필(李世弼) 소주서(小朱書) : 이세필(李世弼)
답문의례(答問疑禮) : 이세필(李世弼) 왕조례(王朝禮) : 이세필(李世弼)
동호예설(桐湖禮說) : 이세필(李世弼) 주변록(籌邊錄) : 이시발(李時發)
기봉집(麒峰集) : 이시성(李時省) 금강록(金剛錄) : 이원(李黿)
난국재집(蘭菊齋集) : 이예환(李禮煥) 임하필기(林下筆記) : 이유원(李裕元)
가오고략(嘉梧藁略) : 이유원(李裕元) 귤산문고(橘山文稿) : 이유원(李裕元)
초려집(草廬集) : 이유태(李惟泰) 석탄집(石灘集) : 이존오(李存吾)
오천집(梧川集) : 이종성(李宗城) 동암집(東庵集) : 이진(李瑱)
상례초(喪禮抄) : 이정암(李廷馣) 동각잡기(東閣雜記): 이정형(李廷馨)
황토기사(黃兎記事) : 이정형(李廷馨) 용토기사(龍兎記事) : 이정형(李廷馨)
수춘잡기(壽春雜記) : 이정형(李廷馨) 지퇴당집(知退堂集) : 이정형(李廷馨)
익재란고(益齋亂藁) : 이제현(李齊賢) 낙옹패설(翁稗說) : 이제현(李齊賢)
익재집(益齋集) : 이제현(李齊賢) 용재유고(팚齋遺稿) : 이종준(李宗準)
백사집(白沙集) : 이항복(李恒福) 북천일록(北遷日錄) : 이항복(李恒福)
주소계의(奏疏啓議, 2권) : 이항복(李恒福) 사례훈몽(四禮訓蒙, 1권) : 이항복(李恒福)
노사령언(魯史零言, 15권) : 이항복(李恒福) 관주일록(觀周日錄) : 이흘(李忔)
오계문집(梧溪文集) : 이흘(李忔) 설정문집(雪汀文集, 3권) : 이흘(李忔)
● 재우(齋宇)
조상님의 신위를 모시고 정한 날에 후손들이 제향를 모시는 사당.
재사. 서원. 영당의 총칭.
광림대(光臨臺) : 경북 경주. 표암전(瓢巖殿) : 경북 경주
도천서원(道天書院) : 경북 산청 양호정사(良湖精舍) : 울산
경운사(慶雲祠) : 전북 전주 격사재(格思齋) : 전북 고부
삼사당(三思堂) : 충남 보령 태화서원(泰和書院) : 울산
세덕사(世德祠) : 전남 고흥 단구서원(丹丘書院) : 경북 경주
경현사(景賢祠) : 경북 경주 구강서원(龜岡書院) : 경주
삼산사(三山祠) : 전남 장흥 수락영당(水落影堂) : 충북 청원
영암사(靈巖祠) : 전남 영암 원모재(遠慕齋) : 경기 파주
동천재(東泉齋) : 경기 평택 석탄공정려(石灘公旌閭) : 서울 강남
경절공부조묘우 : 서울 강남 장산영당(長山影堂) : 충북 보은
월산사(月山祠) : 전남 담양 가산서원(佳山書院) : 전남 장성
도동영당(道東影堂) : 경남 산청 화산서원(花山書院) : 경기 포천
백사공영당(白沙公影堂) : 경기 포천 충훈사(忠勳祠) : 충북 중원
영강사(榮江祠) : 전남 영산포 구곡사(龜谷祠) : 전남 강진
반곡사(盤谷祠) : 전남 진도 운강사(雲岡祠) : 경북 울주
충열사(忠烈祠) : 경남충무 용문서원(龍門書院) : 충남 공주
의열사(義烈祠) : 충남부여 충현서원(忠賢書院) : 충남 공주
충현사(忠賢祠) : 전북고창 충의사(忠義祠) : 경기 포천
오재공묘우(悟齋公廟宇) : 경기평택 충목공사우(忠穆公祠宇) : 경기 고양
영모재(永慕齋) : 강원 춘천 원당재(元堂齋): 경기 안성
영모재(永慕齋) : 강원 삼척 용산서원(龍山書院) : 충북 청원
운곡서원(雲谷書院) : 충북 청원 옥화서원(玉華書院) : 충북 청원
송천서원(松泉書院) : 충북 청원 숭열사(崇烈祠) : 충북 진천
화암서원(花岩書院) : 충남 보령 우모정(寓慕亭) : 충남 천안
구호서원(龜湖書院) : 전북 완주 이로재(履露齋) : 전북 임실
추원재(追遠齋) : 전북 임실 서륜재 : 전북 임실
현곡재(玄谷齋) : 전북 임실 봉산재(鳳山齋) : 전북 임실
승유재(承裕齋) : 광주 영모각(永慕閣) : 전남 나주
애국재(愛國齋) : 전남 담양 월암재(月巖齋), 서당(書堂),
영모재(永慕齋) : 전남 영암 보원재(報遠齋) : 경북 안동
노림재(魯林齋) : 경북 안동 석림정사(石林精舍) : 경북 달성
모휴재(慕休齋) : 경북 칠곡 용암재(龍巖齋) : 경북 달성
추색정(秋色亭) : 경북 달성 북산서사(北山書社) : 경북 경주
이상재(履霜齋) : 경북 영일 성오당사우(省吾堂祠宇) : 경북 영풍
충효사(忠孝祠) : 경북 의성 경의재(景義齋) : 경북 의성
용담재실(龍潭齋室) : 경북 상주 용암재(龍巖齋) : 경북 칠곡
이리재(二履齋) : 울산 울주 구산재(九山齋) : 경북 울주
추원재(追遠齋) : 경남 밀양 은송정(隱松亭) : 경북 고령
***
국당공 휘천 - 운곡서원 소재지 -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운동동
수락영당 - 충북 청원군 미원면 가양리
서계공 휘 득윤 - 구계서원 소재지 - 충북 청주시 흥덕구 분평동
● 사. 단소. 서원에서 제향을 모시는 조상님
*사이트에 올라 있는 여러 자료를 참고로 지금의 지명으로 바꾸기는 하였으나, 직접 확인을 할 수 없어 의외로 정확하지 않은 잘못된 내용
이 많을 것 같습니다.
원 자료에서도 어떤 자료에는 '영강사'를 ‘영강서원'이라 한 곳도 있는데, 이것도 소재지가 같으면 하나로 보면 되겠지만 소재지도 각기
'영산포읍'이라 되어 있거나 '영산동'이라 되어 있어서 매우 헷갈렸습니다.
이외에도 서원 내에 있는 '사우'를 각기 별도로 다르게 표시하여 어느 것은 '○○書院'으로 표시하고 어느 것은 '○○祠'로 표시하여 혼란
스러웠습니다.
혼자서 바르게 한다고 수정 보완하였으나 혹여 정확하지 않은 내용도 있을 것입니다.
잘못된 지명이나 잘못 올려 진 내용은 지적하여 아래에 댓글을 달아주시면 곧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 표암공(아찬공) 휘 알평
경북 경주시 동천동 표암재(瓢巖齋) 전향(專享).
울산시 중구 옥교동 태화서원.
경남 합천군 합천읍 교동 경원사(慶源祠- 中洞書院내).
경북 경산시 진량면 당곡 경덕사(景德祠- 道天書院내)
○ 소판공 휘 거명
울산시 울주군 청량면 동천리 양천. 양호단(良湖壇) 전향(專享)
울산시 중구 옥교동 태화서원(太和書院)
○ 열헌공 휘 핵
울산시 울주군 웅촌면 검단리. 운강사(雲岡祠) 주향(主享).
울산시 중구 옥교동 태화서원.
전북 정읍시 고부면 신증리 격사재(格思齋).
전남 고흥군 고흥읍 남계리 세덕사(世德祠)
○ 성암공 휘 인정
전남 나주시 영산동 영강사(榮江祠- 榮江書院내) 주향.
전남 고흥군 고흥읍 남계리 세덕사.
전북 정읍시 고부면 신증리 격사재.
*족보 : 배 정부인-전남 고흥군 고흥읍 남계리 세덕사
○ 동암공 휘 진
울산시 울주군 웅촌면 검단리. 운강사 배향(配享).
울산시 중구 옥교동 태화서원
충북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 도통사.
○ 익재공 휘 제현
공민왕 묘정. ^울산시 울주군 웅촌면 검단리. 운강사 배향.
북한 개성시 십탄리 도산서원 전향. 사액.
울산시 중구 옥교동 태화서원.
충남 보령시 남포면 신흥리 매촌 신안서원 배향.
충남 보령시 미산면 용수리 삼사당(三思堂- 龍岩影堂).
충북 보은군 탄부면 하장리 장산 영당(長山影堂. 염수재).
충북 청원군 미원면 가은리 수락영당(水落影堂).
경남 산청군 신안면 신기리 도동영당.
경북 경주시 안강읍 양월리 구강서원(龜岡書院) 주향.
전남 강진군 대구면 구수리 구곡사(龜谷祠- 益齋書院내)
전남 진도군 고군면 도평리 반곡사(盤谷祠)
전남 고흥군 고흥읍 남계리 세덕사(世德祠)
전남 영암군 망호리 망호사.
경남 양산시 웅상읍 주남리 주강단(周岡壇)
전남 장성군 삼서면 삼계리 계동 가산사(佳山祠).
전남 진도군 고군면 도성리 도론영당.
전남 담양군 월산면 월산리 월산사 주향.
전남 장흥군 관산면 삼산리 관산사(冠山祠).
경북 경산시 진량면 당곡 마을 경덕사(도천서원내).
※ 족보: *영당- 남포. 보은. 영암.
*향사- 도산서원. 경주. 영광. 강진. 담양 등지의 서원이라고 기록되어 있음
○ 송암공 휘 세기
경북 경주시 단구서원(丹丘書院)
○ 국당공 휘 천
전남 남원시 어은사 열향(列享).
경기도 파주시 금촌2동 원모재(遠慕齋).
경북 경산시 진량면 당곡 경덕사.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운동동 운곡서원(雲谷書院)
전남 고흥군 고흥읍 남계리 세덕사.
경북 경주시 단구서원
○ 상서공 휘 과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동천동 동천재(東泉齋)
○ 정순공 휘 성중
전북 완주군 봉동읍 구미리 구호서원(龜湖書院) 열향
○ 석탄공 휘 존오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의렬사(義烈祠) 열향 사액.
충남 공주시 반포면 공암리 충현서원(忠賢書院) 배향 사액.
충남 서산시 남면 달산리 충령사.
전북 고창군 무장면 덕흥리 충현사(忠賢祠) 주향 사액.
경기도 여주군 대신면 보통리 고산서원 주향 사액.
○ 세촌공 휘 문좌 - 경북 예천군 인산서원 배향
○ 송와공 휘 종윤 - 경북 경주시 단구서원 전향
○ 호계공 휘 을규 - 경북 경주시 북산사 전향
○ 첨제공 휘 기 - 전남 남원시 어흥사 배향
○ 돈암공 휘 석손 - 전남 담양군 월산면 월산리 월산서원 배향
○ 취수헌공 휘 겸 - 경북 상주시 공검면 예주리 청암서원 배향
○ 모산공 휘 해 - 전남 나주시 영산포 영강사 배향.
○ 재사당공 휘 원
전남 나주시 영산동 영강사 주향. ^평북 정주군 곽산면 월포사 주향
○ 지형공 휘 윤공 - 전남 담양군 월산서원 배향
○ 경재공 휘 세주 - 경남 산청군 차황면 전리 우계당(우계서원) 배향
○ 효사제공 휘 경주
경남 산청군 우계서원 열향.
경남 산청군 평천서원 배향
○ 천휴당공 휘 몽규
충남 보령시 청라면 장산리 화암서원(花巖書院) 추향(追享) 사액
○ 야은공 휘 영우 - 전남 나주시 영산동 영강사 배향
○ 백사공 휘 항복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방축리 화산서원 전향. 사액.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금현리 백사공 영당.
전남 강진군 대구면 구수리 구곡사
전남 장성군 삼서면 삼계리 가산사(가산서원).
울산시 중구 옥교동 태화서원.
함남 북청군 북청읍 동리 노덕서원 전향. 사액.
전남 고흥군 고흥읍 남계리 세덕사.
경북 경산시 진량면 당곡 경덕사(도천서원)
○ 관란공 휘 승증 - 경북 경주시 문호사 주향
○ 서계공 휘 득윤 충북 청주시 흥덕구 분평동에 있는 구계서원
충북 청주시 신항서원 배향. 사액.
충북 청주시 구암서원. 주향
충북 청원군 미원면 옥화리 옥화사당(玉華祠堂- 玉華書院내) 주향.
충북 청주시 수락 서원. 배향
충북 충북 청주시 흥덕구 분평동 구계서원(龜溪書院)
○ 양서공 휘 광윤 - 경북 예천군 인산서원 배향
○ 사류재공(퇴우당. 충목) 휘 정암
황해도 연백군 연안읍 현충서원 전향. 사액.
충남 보령시 청라면 장산리 화암서원.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고양동 충목공 사우(忠穆公祠宇)
○ 제정공 휘 달충 - 경북 안동시 풍산면 만운동 보원재(報遠齋)
○ 지퇴당공 휘 정형
강원도 춘천시 신북면 천전리 문암서원 배향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선유동 영모재(永慕齋).
○ 현감공 휘 원춘 - 전남 남원시 충렬사 배향
○ 성오당공 휘 개립 - 경북 영천시 장수면 성곡리 의산서원(義山書院) 주향
○ 유곡공 휘 유택 - 충남 금산군 금성면 하류리 유곡서원(초려서원) 열향
○ 초려공 휘 유태
충남 금산군 금성면 하류리 유곡서원(초려서원) 열향
충남 공주시 상황동 명덕사(용문서원龍門書院내)
○ 활계공 휘 대방 - 전남 남원시 영천서원 배향. 사액
○ 오촌공 휘 대건 - 충북 청원군 오창면 양지리 송천서원(松泉書院) 배향
○ 증참의공 휘 잠 - 경남 진주시 형렬사 배향
○ 설정공(충장공) 휘 흘
전남 남원시 어흥사 배향.
광주시 두암동 승유재(承裕齋)
○ 선공감공 휘 명민 - 서울시 동대문구 휘경동 장조조 사단 배향. 사액
○ 용재공 휘 종준
경북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 금호정사(경광서원鏡光書院) 주향.
경북 봉화군 봉화읍 해저리 백록서원(栢鹿書院)열향
경북 안동시 서간사
경북 의성군 가음면 장리 장동 경의재(景義齋)
○ 눌재공 휘 홍준 - 경북 안동시 백려사 열향
○ 삼호당공 휘 중협 - 경남 거제시 임곡사. 전향
○ 매산공 휘 인엽 - 충북 청주시 송천서원 배향
○ 오풍공 휘 유경 - 전남 나주시 영산동 영강사 배향
○ 양와공 휘 세구 - 충남 홍성군 혜학서원 전향. 사액
○ 구천공 휘 세필
전남 영광군 백산서원 전향. 사액.
전북 김제시 오현사 배향
강원도 동해시 북3동(쇄운리) 용산사(龍山祠- 龍山書院내).
○ 지봉공 휘 종영 - 충북 청원군 내수읍 비중리 국계사 주향.
○ 효사재공 휘 목영 - 경북 의성군 충효사 전향
○ 소암공 휘 언기 - 강원도 춘천시 문암서원. 추향(追享)
○ 백곡공 휘 회원
전남 함평군 백양동 영당. ^함남 북청군 백양사
○ 가선공 휘 무실 - 대구시 민충사 배향
○ 증참판공 휘 삼억 - 경북 상주시 상주읍 무장동 삼충사(충효각忠孝閣) 배향
○ 소경공 휘 지회 - 경북 경산시 진량면 당곡 경덕사(도천서원) 배향
○ 휘 희백 - 함북 회령군 형충사
○ 휘 영갑 - 경북 상주시 공검면 예주리 청암서원
○ 휘 유인 - 전남 함평군 모양사
○ 휘 탁영 - 경북 의성군 의성읍 충효사
○ 휘 온수 - 경북 영천시 화북면 대천동 학천서원
○ 휘 준경 - 충북 괴산군 청안면 구계서원- (광주 이씨? - 댓글)
○ 경림군 휘 정
경북 경주시 지연서원.
경북 경주시 문호서원
○ 휘 득윤 - 충남 청주시 흥덕구 분평동 구계서원(댓글- 득철 -> 득윤으로)
○ 휘 광윤 - 충남 아산시 인산서원(댓글- 광철-> 광윤으로)
○ 검교공 휘 의반 - 전북 정읍시 고부면 신중리 격사재
○ 동정공 휘 규문 - 전북 정읍시 고부면 신중리 격사재
○ 휘 인걸 - 전남 영암군 영암읍 망호리 영암사(靈巖祠)
○ 충무공 휘 수일
충북 충주시 금가면 오석리 충훈사(忠勳祠).
경남 통영시 명정동 충열사(忠烈祠)
○ 병판공 휘 석
전남 나주시 영산동 영강사.
전남 나주시 문평면 대도리 영모재(永慕齋)
○ 도정공 휘 시망 -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광태리 영모재(永慕齋)
○ 대사간공 휘 감 -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운동동(청원군 미원면 가양리) 운곡서원
○ 충장공(설정공) 휘 흘 -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운동동 운곡서원(댓글 운정-> 홀)
○ 안분당공 휘 필경 -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운동동 운곡서원(댓글- 지필-> 필경)
○ 신암공 휘 종문 -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운동동 운곡서원(댓슬 - 선암공-> 신암공)
○ 오천공 휘 종성 - 충북 충원군 오창면 양지리 송천서원
○ 매산공 휘 인혁 - 충북 충원군 오창면 양지리 송천서원
○ 오재공 휘 탕 - 경기도 평택시 가재동 방혜리 오재공 묘우(悟齋公廟宇)
○ 보재공 휘 상설 - 충북 진천군 진천읍 삼척리 숭열사(崇烈祠)
○ 정익공 휘 완 - 충남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 현충사(顯忠祠)
○ 호계공 휘 을규 - 경북 경주시 강동면 호계리 북산서사
○ 현감공 휘 주신 - 전북 임실군 삼계면 두월리 이로재(履露齋)
○ 퇴사암공 휘 윤 - 전북 임실군 삼계면 두월리 이로재
○ 모헌공 휘 천행 - 전북 임실군 삼계면 두월리 이로재
○ 기운재공 휘 묵 - 전북 임실군 삼계면 두월리 이로재
○ 묵재공 휘 숭문 - 전북 임실군 덕치면 가곡리 추원재(追遠齋)
○ 반우공 휘 경 - 전북 임실군 현곡리 서륜재(敍倫齋)
○ 서계공 휘 위 - 전북 임실군 현곡리 서륜재(敍倫齋)
○ 청송당공 휘 강 - 전북 임실군 현곡리 서륜재(敍倫齋)
○ 현계공 휘 옥연 - 전북 임실군 임실면 현곡리 봉산재(鳳山齋)
○ 정이공 휘 두연 - 전북 임실군 강서면 갈담리 영모재(永慕齋)
○ 퇴우당 휘 연 - 울산시 울주군 두서면 구량리 이리재(二履齋)
○ 휘 주 - 전남 장흥군 관산면 삼산리 관산사
○ 휘 관빈 - 전남 장흥군 관산면 삼산리 관산사
○ 휘 동의 - 전남 장흥군 관산면 삼산리 관산사
○ 제정공 휘 달충 - 경북 안동시 풍산면 만운동 보원재(報遠齋)
○ 염재공 휘 ( ) - 경남 산청군 차황면 전리 우재당(愚溪堂)
○ 청호공 휘 희 - 경북 안동시 남선면 현내리 노림재(魯林齋)
○ 휘 경욱 - 경북 달성군 다사면 조재동 석림정사(石林精舍)
○ 야동공 휘 종배 - 경북 칠곡군 약목면 모휴재(慕休齋)
○ 휘 준 -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덕성동 이상재(履霜齋)
○ 휘 정린 - 경북 달성군 다사면 조재동 용암재(龍巖齋)
○ 주부공 휘 몽걸 - 경북 칠곡군 동명면 용암재(龍巖齋)
○ 양평공 휘 철견 - 경남 밀양시 단장면 국전리 추모재(追慕齋)
○ 참판공 휘 세룡 -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덕성동 담화정(湛和亭)
○ 절충공 휘 세팽 -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덕성동 담화정
○ 부사공(추암공) 휘 진강 - 전북 부안군 동진면 장하리 추암재실(追巖齋室)
○ 지돈령부사공 휘 몽린 - 전북 군산시 나운동 대전부락 재실(齋室)
○ 진사공 휘 묵 - 울산시 울주군 두서면 구량리 구산재(九山齋)
○ 군수공 휘 몽태 - 경기도 연천군(漣川郡?철원군?) 표절사(表節祠) 배향
● 정려(旌閭)
○예조참의 이경선 충신정려(李慶善 忠臣旌閭) - 29世 / 충북 진천군 진천읍 산척리 숭렬사 앞.
○충목공 정려(忠穆公旌閭), - 26세 이정암(사류재. 퇴우당)
○석탄선생 정려(石灘先生旌閭), - 19세 이존오
○이창주효자 정려(李昌周孝子旌閭),
○이유근 배위 경주김씨 효열 정려(李裕根配位慶州金氏孝烈旌閭),
○파평윤씨 효열 정려(坡平尹氏孝烈旌閭),
○유곡공 사려(柳谷公祠閭), -26세 이유택- 초려공 이유태의 형
○효자 이진옥 려(孝子李振玉閭),
○이원필 배위 김해김씨 효자효열 정려(李元弼配位金海金氏孝子孝烈旌閭),
○송재공 효열각(松齋公孝烈閣), - 31세 이시성
○2대 충효각(二代忠孝閣), - 익재공의 16대손인 단암공(壇岩公) 33세 휘 관빈(觀彬)과 아들 수명당공(水明堂公) 휘 동의(東儀)의 부자
정려(父子旌閭).
○열녀 정부인 김해김씨 정려(烈女貞夫人金海金氏旌閭),
○선략장군 언진공 충각(宣略將軍彦眞公忠閣),
○충효각(忠孝閣) - 증참 판공 이삼억
○이억 장군 정려(李億將軍旌閭)
● 초상(肖像- 영정影幀)
문화재청은 초상화의 지정 명칭을 일관되게 개선하기 위하여
국가 지정 문화재(국보·보물) 중 초상화 36건의 지정 명칭을 변경하였는데
기존에‘~영정’, ‘~상’, ‘~초상’, ‘~진영’등 통일되지 않은 채
명명된 국가지정 초상화류의 명칭을 개선하여 국가지정문화재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를 돕고자
국보 제110호 “익재 영정” 등 국가 지정 문화재(국보·보물) 초상화류 36건의 명칭을
“이제현 초상” 등으로 일괄 변경. 통일하였다.
*앞으로는‘영정’이라 하지 않고‘초상’이라는 말로 통일하였다는 것인데
현재 살아 계신 분의 초상화는‘초상’이라 하고
돌아가신 분에 대하여는 그대로‘영정’이라 함이 좋을 것 같다.
어감상으로나 격으로나 돌아가신 분에 대하여 존경심을 더하고 무게가 느껴지는
'영정’이라 함이 더 나을 것 같은데 굳이 초상이라고 해야함은 무슨이유에서인가?
○문충공상(文忠公像): 국보 110호(원 진감여 작), 익재공 제현(齊賢. 17세). 익재공파 대파조
○양평공상(襄平公像), 양평공 철견(鐵堅. 21세), 상서공후 양평공파 중파조
○충무공상(忠武公像), 충무공 수일(守一. 24세), 국당공후 정순공파
○경양군상(慶陽君像), 경양군 사공(士恭. 25세), 부정공파
○오성부원군상(鰲城府院君像), 백사공 항복(恒福. 25세), 상서공후 백사공파 중파조
○양무공상(良武公像), 양무공 언춘(彦春. 27세), 익재공후 판윤공파
○구천공상(龜川公像), 구천공 세필(世弼. 28세), 상서공후 백사공파
○삼호당상(三湖堂像), 삼호당 중협(重協. 28세), 국당공후 정순공파
○아곡공상(鵝谷公像), 아곡공 태좌(台佐. 29세), 상서공후 백사공파
○운곡공상(雲谷公像), 운곡공 광좌(光佐. 29세), 상서공후 백사공파
○통제사공상(統制使公像), 통제사공 우(玗. 29세), 국당공후 정순공파
○회와공상(晦窩公像), 회와공 인엽(寅燁. 30세), 익재공후 생원공파
○오천공상(梧川公像), 오천공 종성(宗城. 30세), 상서공후 백사공파
○동오공상(東梧公像). 동오공 유승(裕承. 34세), 상서공후 백사공파
○춘관공상(春觀公償), 춘관공 건영(健榮. 35세), 국당공후 문정공파
○성재공상(省齋公像), 성재공 시영(始榮. 35세), 상서공후 백사공파
○보재공상(溥齋公像), 보재공 상설(相卨. 39세), 익재공파
*대종보에 실린 ‘초상’을 대상으로 하였음.
● 고려시대 문과 급제 방목
○ 표는 족보에 올라있는 문과급제자.
^ 표는 민희 종친님이 조사한 문과급제자.
인명 초휘. 자. 호. 급제 시년 관직
-------------------------------------------------------------------
○6세 이주좌(李周佐) - - - 목종조 시년 미상(穆宗朝試年未詳). 형부상서
○16세 이인정(李仁挺) - 성암(誠菴)- 고종조 시년 미상(高宗朝試年未詳). 문하평리
*어떤 곳에는 충렬왕 때에 급제하였다고 해설하고 있으나 족보 기록에 보면
[고종조에 태어나고 일찍이 등문괴(登文魁) 하였으며 충렬왕 2년에 우정언이 되었다.]고 하니
재위기간 고종 46년. 원종 15년에 충렬왕 2년인데
충렬왕 1년에 급제하여 2년에 우정언이 되었다는 것은 무리이니 고종조에 급제로 봐야만 한다.
○16세 이진(李瑱) 초휘방연(初諱方衍) 온고(溫古) 동암(東菴)
충렬왕시 등제(忠烈王時登第) 검교정승. 임해군. 시문정(諡文定)
이진(李瑱) 1280 충렬왕6년 문신 친시방(忠烈王六年文臣親試榜)2위
○16세 이세기(李世基) - 송암(松巖)
1279 충렬왕5년 기묘 성균괴 등제(忠烈王五年己卯成均魁)
이세기(李世基) 1280 충렬왕6년 문신 친시방(忠烈王六年文臣親試榜)3위.
밀직부사. 대제학, 검교정승. 시문희(諡文僖)
○17세 이부(李榑) - - 1283 충렬왕9년 계미 등 성균괴 등제(忠烈王九年登成均魁登第)
이부(李榑) 1286 충렬왕12년 병술방(忠烈王十二年丙戌榜). 내서사인
○17세 이규(李樛) 일휘조은(一諱朝隱) - -
1287 충렬왕13년 정해 임정기방(忠烈王十六年丁亥林貞杞榜).
이규(李樛) 1290 충렬왕16년 경인 정가신방(忠烈王十六年庚寅鄭可臣榜). 우헌납
이규(李樛) 1310 충선왕2년 경술친시방(忠宣王二年庚戌親試榜). 17위
○17세 이관(李琯) - 이암(怡庵)
충렬왕21년 을미 성균괴 등제(忠烈王二十一年乙未成均魁登第). 가락군
○17세 이제현(李齊賢) 초휘 지공(初諱之公) 중사(仲思) 익재(益齋)
1301 충렬왕27년 신축 성균괴 등제(忠烈王二十七年辛丑成均魁登第).
문하시중. 계림부원군 시문충(諡文忠)
○17세 이천(李蒨) 군실(君實) 국당(菊堂)
1299 충렬왕 기해 성균괴 등제(忠烈王己亥成均魁登第)
예문관대제학. 첨의정승. 월성부원군. 시문효(諡文孝)
○17세 이과(李薖) - - 등용방(登龍榜). 상서
○18세 이달존(李達尊) 천각(天覺) 운와(雲窩)
1330 충숙왕 17년 경오방(忠惠王十七年庚午榜). 태상소경. 임해군
○18세 이배중(李培中) - - 문과(文科) 충숙왕 시년미상(試年未詳). 전리판서
○18세 이달충(李達衷) 초휘달중(初諱達中) 중권(仲權) 제정(霽亭)
1326 충숙왕 13년 병인 성균괴(忠肅王十三年丙寅成均).
1328 충숙왕 15년 무진 등제(忠肅王十五年戊辰登第)
○18세 이성중(李誠中) 계저(季著) -
1347 충목왕3년 정해 김인관방(忠穆王三年丁亥金仁琯榜). 판서
○19세 이보림(李寶林) - - - 1355 공민왕4년 을미방(恭愍王四年乙未榜).정당문학
○19세 이수림(李壽林) - - - 1357 공민왕6년 정유 문과급제(恭愍王六年丁酉文科及第)
○19세 이준(李樽-木대신立) - - - 공민왕 성균괴 시년미상(恭愍王成均魁試年未詳)
1360 공민왕 9년 경자 정포은방(恭愍王九年庚子鄭圃隱榜). 밀직. 호조전서
○19세 이전(李塼-土대신立) 초명전(初名專) - - 공민왕17년 무신방(恭愍王十七年戊申榜)
○19세 이당(李堂) - - - 우왕 8년 임술방(禑王八年壬戌榜). 내자시정
○19세 이존오(李存吾) 순경(順卿) 석탄(石灘)
1341 공민왕 9년 경자 등문과(恭愍王九年庚子登文科). 판삼사 대사성
○19세 이존사(李存斯) - - - 1376 우왕 2년 병진 정총방(禑王二年丙辰鄭摠榜). 교감
○20세 이정보(李廷甫) 초휘제두(初諱濟斗) 맹주(孟周) - 공민조 문과(恭愍朝文科)
*벼슬은 조선조에서 시작함.
○20세 이정견(李廷堅) 계주(季周) -
1374 공민왕 23년 갑인 김자수방(恭愍王二十三年甲寅金自粹榜). 첨서. 좌상시 월성군(조선)
○20세 이승적(李升啇) - - - 1382 우왕8년 임술 성균괴(禑王八年壬戌 成均魁).
이승적(李升啇) 1382 우왕8년 임술 유량방(禑王八年壬戌 柳亮榜). 판서 계림군
○20세 이미(李美) 중인(仲仁) 서재(西齋) 고려조 등제(高麗朝登第). 교리
○20세 이래(李來) 소명 안국(小名安國) 낙보(樂甫-
1383 우왕 9년 계해방(禑王九年癸亥榜). 대제학. 학성부원군
○19세 이반(李蟠) - - - 우왕9년 계해방(禑王九年癸亥登進士十一榜). 형랑
○19세 이실(李室) - - - 우왕 11년 을축 우홍명방(禑王十一年乙丑禹洪命榜). 정랑
○이합(李合) - - - 공양왕 2년 경오방(恭讓王二年庚午榜). 대사성
● 비(碑)
시조공경모비(始祖公景慕碑)
자연암비(自然岩碑)
시조유허비(始祖遺虛碑)
우봉도리촌선영묘단비(牛峰桃李村先塋墓壇碑)
평리열헌공사단비(評理悅軒公祀壇碑)
고려평리공사단비(高麗評理公祀壇碑)
동암문정공묘비(東庵文定公墓碑)
문희송암이선생추모비(文僖松巖李先生追慕碑)
익재문충공묘지명(益齋文忠公墓誌銘)
상서공사단비(尙書公祀壇碑)
전서공3세사단비(典書公三世祀壇碑)
석탄공사단비(石灘公祀壇碑)
운와공여흥군사공양세사단비(雲窩公驪興郡事公兩世祀壇碑)
운와공묘표(雲窩公墓表)
정순공묘갈(靖順公墓碣)
전농판관공묘표(典農判官公墓表)
병조판서공묘갈(兵曹判書公墓碣)
호군공묘갈(護軍公墓碣)
태상소경공묘단비(太常少卿公墓壇碑)
한성판윤공유허비(漢城判尹公遺墟碑)
증판서청호공묘갈(贈判書淸湖公墓碣)
월성군제단비(月城君祭壇碑)
양평공신도비(襄平公神道碑)
정순공신도비(靖順公神道碑)
백사문충공신도비(白沙文忠公神道碑)
정익공신도비(貞翼公神道碑)
구천문경공신도비(龜川文敬公神道碑)
국당문효공신도비(菊堂文孝公神道碑)
월성군문정공사단비(月城君文貞公祀壇碑)
지퇴당신도비(知退堂神道碑)
경절공신도비(景節公神道碑)
충무공신도비(忠武公神道碑)
오촌공신도비(梧村公神道碑)
퇴사암공신도비(退思庵公神道碑)
판서공이석신도비(判書公李碩神道碑)
둔암공이석손신도비(遯菴公李碩孫神道碑)
제정공신도비(齊亭公神道碑)
충무공(忠武公) 및 정익공선정비(貞翼公善政碑)
성재공묘비(省齋公墓碑)
도원공묘갈(桃源公墓碣)
● 유지(遺址)
조상님들의 유허지. 유적지
표암(瓢巖-박바위) - 문화재 지정 : 경북 경주시 동천동 산 16번지(소금강산)
- 표암재(瓢巖齋). 광림대(光臨臺). 유허비각(遺墟碑閣). 경모비(景慕碑).
석제단(石祭壇). 악강묘(嶽降廟). 암벽각자(巖壁刻字)
육자암(六字巖) : 전북 임실군 삼계면 두월리
판윤공 이지대 수식은행목(判尹公李之帶手植銀杏木): 울산시 범서면 구량리
● 불천위를 명한 경주이씨 종가
원래 종가는 불천위 위패를 모시는 집을 의미 하였다.
그러나 후대로 내려오면서 가문이 번성하여
지파나 입향조 또는 특정인물 기준 후손 중 장자의 집을 종가라고도 한다.
불천위란 신주를 묻지 않고 사당(祠堂)에 영구히 두면서 제사를 지내는 것이 허락된 신위(神位)이다.
불천지위(不遷之位)의 줄임말이다.
불천위에는 나라에서 정한 국불천위(國不遷位)와 유림에서 발의하여 정한 유림불천위(懦林不遷位), 혹은 사불천위(私不遷位)가 있다.
경절공 이래. 충무공 이수일. 오제공 이탕.
정익공 이완. 백사공 이항복. 경양군 이사공.
청와공 이경한. 구천공 이세필. 초려공 이유태.
양희공 이철견
오천공 이종성[장조묘정배향]
익재공 이제현[현릉묘정배향]
경절공 이래 [태종묘정배향]
위 12분(경절공이 종가와 태종 묘정배향으로 중복)이 경주이씨 선조 중 불천위 종가이다.
● 봉군(封君)
*봉군(封君)- 2품 이상 종친과 공신에게 군을 봉함
임해군 16세 이진. 가락군 17세 이관. 계림부원군 17세 이제현
월성부원군 17세 이천. 임해군 18세 이달존. 월성군 18세 이경중
계림부원군 18세 이달충. 오성군 18세 이경지. 도원군 18세 이지협
월성부원군 19세 이성림. 계림군 19세 이보림. 월성군 19세 이전
계림군 19세 이수. 계림군 19세 이존오. 월성군 20세 이정견
계림군 20세 이승적. 소윤계안군 20세 이구적. 계림군 20세 이흥적
계성부원군 20세 이래. 영가군 21세 이통. 월성군 21세 이철견
월성군 21세 이지수. 경림군 22세 이문보. 교성군 22세 이석정
가산공 22세 이구서. 교천군 23세 이극정 월성부원군 23세 이란.
경원군 23세 이반계. 계림부원군 24세 이수일 시림부원군 24세 이몽형.
경성군 24세 이장경. 오산부원군 25세 이탕 경림군 25세 이정.
경양군 25세 이사공. 시령부원군 25세 이운복 오성부원군 25세 이항복.
계천군 25세 이종직 경림군 25세 이득진. 월천군 26세 이정암.
오산군 26세 이탁남. 오흥군 26세 이성남. 경양군 26세 이석용.
계성군 26세 이양생 월평군 27세 이화. 오원군 ?? 이시중.
계성군 ?? 이태악 오천군 ?이해룡(서예가 주부). 월성군 ?? 이경장.
오천군 28세 이세동 계흥군 . 시흥군 28세 이정(정암손자).
오릉군 29세 이문좌 동림군 . 월계군 ?? 이희현.
월림군 ?? 이봉한 오풍군 ?? 이종악. 월림군 ?? 이형.
오은군 31세 이경일 오선군 ?? 이계상. 오남군 34세 이유헌.
오춘군 35세 이주영(부 유헌)
● 공신
○ 이제현(李齊賢) : 고려. 추성량절동덕협의찬화공신(推誠亮節同德協義贊化功臣). 계림부원군
○ 이천(李천) : 고려. 추성보리공신(推誠輔理功臣). 월성부원군
○ 이달충(李達衷) : 고려. 단성보리익찬공신(端誠輔理翊贊功臣). 계림부원군
◆ 전고대방에 공신으로 올라있는 조상(○ 표시)
○ 이래(李來) : 태종조. 추충분의익대좌명공신(推忠奮義翊戴佐命功臣).
계성군 2차 왕자난 2등 공신(二次王子亂二等功臣)
○ 이흥적(李興滴-수변없음) : 단종조. 수충위사협찬정난공신(輸忠衛社協贊靖難功臣)
*전고대방에 ‘商‘로 기록.
계림부원군 계유정난 3등 공신(癸酉靖難三等功臣).
○ 이양생(李陽生) : 세조조. 정충출기포의적기공신(精忠出氣布義敵기功臣).
계성군 이시애난 토벌 3등 공신(李施愛亂討伐三等功臣)
○ 이극정(李克正) : 중종조. 병충분의결책익운정국공신(秉忠奮義決策翊運靖國功臣).
교천군. 중종반정 3등 공신(中宗反正三等功臣)
○ 이항복(李恒福) : 선조조. 충근정량갈성효절협책호성공신(忠勤貞亮竭誠效節協策扈聖功臣)
오성부원군. 임진난에 임금호종 호성 1등 공신(扈聖一等功臣).
선조조 추충분의병기협책평란공신(推忠奮義炳幾協策平難功臣)
오성부원군 정여립 옥사 3등 공신(鄭汝立獄事三等功臣),
○ 이사공(李士恭) : 선조조. 충근정량갈성효절협책호성공신(忠勤貞亮竭誠效節協策扈聖功臣)
경양군. 3등 공신(扈聖三等功臣)
○ 이정암(李廷암) : 선조조. 효충장의욱의협력선무공신(效忠仗義迪毅協力宣武功臣).
월천군. 임진왜란 2등 공신(壬辰倭亂二等功臣)
○ 이수일(李守一) : 인조조. 갈성분위출기효혁진무공신(竭誠奮威出氣效力振武功臣)
계림부원군 이괄난 토벌 2등 공신(李适亂討伐二等功臣)
○ 이정(李靖) : 인조조. 갈성분위출기효력진무공신(竭誠奮威出氣效力振武功臣).
시흥군 이괄난 토벌 3등 공신(李适亂討伐二等功臣) - ‘武承旨‘라고 기록
○ 이탁남(李擢男) : 인조조. 수충분의결책청난소무공신(輸忠奮毅決策淸難昭武功臣).
오산군 이인거 모반적발 2등 공신(李仁居謀叛摘發二等功臣)
○ 이손(李蓀) : 중종조, 중종반정 3등공신(中宗反正 3等功臣)
*4등공신
○ 이승상(李升商) : 태종조. 추충분의익대좌명공신(推忠奮義翊戴佐命功臣)
계림군 2차 왕자난 4등 공신(二次王子亂四等功臣)
○ 이철견(李鐵堅) : 성종조. 순성명량경제홍화좌리공신(純誠明亮經濟弘化佐理功臣).
월성군 성종 즉위 4등 공신(成宗卽位四等功臣)
● 공훈
이성중(18世 국당) : 개국원종공신.
이일신(24世 평리) : 중조조 사정 訥子. 어모공파
이 량(20世 교감) : 태종조 공조판서
이윤인(22世 익재) : 세조조.
이 영( 世 ) : 명종조 위사훈.
이 탕(25世 국당) : 이판 몽실 현손
이문수(27世 평리) : 공신 일신 증손 선조조 선무원종훈. 어모공파
이안국(25世 판윤) : 판윤 지대 현손 관 훈련첨정 선무원종훈 판윤공파
이 용(25世 익재) : 안무사 신 5세손 선무원종훈. 운와공파(참군공파)
이희정(25世 상서) : 양평공 철견 현손 선무원종훈
이석종(25世 판전) : 판서 신유 9세손 선무원종훈.
이승복(28世 평리) : 공신 일신 현손 선무원종훈. 어모공파
이춘상(28世 판윤) : 첨정 문수 子 무과 주부 선무원종훈
이몽룡(26世 판윤) : 판윤공 5세손 선무원종공신. 화암산성 순절 판윤공파
이몽기(26世 판윤) : 판윤공 5세손 수문장 선무원종훈 증 참판. 판윤공파
이몽성(26世 판윤) : 몽기 弟 사복시 판관 선무원종훈 증 참의. 판윤공파
이경해(26世 판윤) : 임진창의 선무원종 2등공신. 체찰사. 판윤공파
이경한(26世 익재) : 창의 선무원종훈. 판의금. 진무원종공신(이괄난 훈공). 판윤공파
이경호(26世 판윤) : 선무원종훈. 태천부사. 판윤공파
이존오(19世 석탄) : 고려 공민왕조 정언 삼강행실록 충절편 등재 정려
이 미(20世 익재) : 고려조 교리 조선 태종조 제주 유배- 제주도 거주. 교리공파
이 식(21世 평리) : 조선 세종조 호군 세조 찬탈 항거. 명 정려
이숙지(21世 익재) : 창로의 손자. 세조조 석성현감. 사퇴 종불출사 밀직공파
이윤흥(22世 교감) : 교감공 증손 훈련참군 단종 폐위 항거. 사퇴후 종불출사
이광전(23世 평리) : 호군 식 손자 문과 승지 임진충의 명 정려. 어모공파
이홍정(23世 판전) : 호계 을규 차자 만호 임진 4형제 곽재우 막하 전투 순절
이극일(24世 국당) : 임진 충주전투 사망 정순공 6세손. 정순공파
이시화(24世 판전) : 호계 을규 손자, 관 봉사 임진순절
이시인(24世 판전) : 훈도 임진창의
이시립(24世 판전) : 예천훈도 임진창의
이목영( ) : 임진창의 순절 증 통정 충효사 제향 시랑공파[의성]
이영문(25세 평리) : 임진란 곽재우 막하 전투 세촌공파
이경주(24世 익재) : 무과 부호군 임진모병 태인 전투 순절 증 병조참의 청호공파
이의추(25세 국당) : 청백리공 정보 5세손 임진순절 문정공파
이 윤(25세 국당) : 관 참지 조헌 막하 금산 전투 순절 증 이참 문정공파
이영심(25세 국당) : 집현전 학사 계선 현손 부사 임진순절 증 참의 제정공파
이 탕(25세 국당) : 관 호군 임진 문경전투순절 증 선략장군 제정공파
이몽태( 국당) : 안성군수 임진순절 표절사 제향 제정공파[파주]
이 용(25세 국당) : 충무공 수일子임진 충주 천의천 전투 순절 증좌랑 정순공파
이 승(25세 국당) : 정순공 7세손 진사 임진 행제소 7읍 수호 증참판 정순공파
이광정(25세 국당) : 현감 임진 봉산전투 졸 정순공파
이종신( 국당) : 청백리 정보 증손 임진순절 정순공파
이송복(25세 상서) : 몽량 3자. 백사공 형. 임진순절 감역공파
이수충(25세 상서) : 참판 정손 5세손 관 첨추 임진순절 첨정공파
이선충(25세 상서) : 관 호군 수충弟 임진창의 순절 첨정공파
이형곤(26세 평리) : 참봉 정유재란 3형제창의 증정랑 세촌공파
이발곤(26세 평리) : 정유재란 창의 세촌공파
이석곤(26세 평리) : 정유재란 창의 세촌공파
이장손(26세 익재) : 소경 지회 5세손 관 병참 임진 순절 소경공파
이경진(26세 익재) : 진사 무과급제 도사 삼형제 삼척전투 순절 증병참 밀직공파
이대진(26세 익재) : 문 사과 삼척부사 삼형제 순절 증 이판 시호 충민 밀직공파
이 수(25세 익재) : 임진 순절. 청호공파
● 등과 음사 인명
○ 고려조(高麗朝) 문과(文科)
이인정(李仁挺) : 충렬왕조(忠烈王朝). 이 진 : 충렬왕조(忠烈王朝)
이세기(李世基) : 충렬왕조(忠烈王朝) 이 부 : 충렬왕조(忠烈王朝)
이 규 : 충렬왕조(忠烈王朝) 이 관 : 충렬왕조(忠烈王朝)
이제현(李齊賢) : 충렬왕조(忠烈王朝) 이 천 : 충렬왕조(忠烈王朝)
이 과 : 충렬왕조(忠烈王朝) 이달존(李達尊) : 충숙왕조(忠肅王朝)
이성중(李誠中) : 충목왕조(忠穆王朝) 이배중(李培中) : 충숙왕(忠肅王朝)
이보림(李寶林) : 공민왕조(恭愍王朝) 이존오(李存吾) : 공민왕조(恭愍王朝)
이정견(李廷堅) : 공민왕조(恭愍王朝) 이존사(李存斯) : 우왕조(禑王朝)
이승상(李升商) : 우왕조(禑王朝) 이 당(李 堂) : 우왕조(禑王朝)
이 래(李 來) : 우왕조(禑王朝) 이 번(李 蟠) : 우왕조(禑王朝)
이 실(李 室) : 우왕조(禑王朝) 이 합(李 合) : 공양왕조(恭讓王朝)
○ 조선조(朝鮮朝) 문과(文科)
이 담(李 擔) : 대언(代言) 이 종(李 從) : 현령(縣令)
이백점(李伯點) : 정언(正言) 이계선(李繼善) : 지평(持平)
이물민(李勿敏) : 한림(翰林) 이문형(李文炯) : 참판(參判)
이문재(李文在) : 군수 이문빈(李文彬) : 동지중추부사
이세현(李世賢) : 예조좌랑 이윤인(李尹仁) : 감사(監司)
이 익(李 翊) : 참의(參議) 이문환(李文煥) : 승지(承旨)
이문요(李文饒) : 현감(縣監) 이유인(李有仁) : 대사헌(大司憲)
이 잠(李 箴) : 부사(副使) 이익배(李益培) : 예조좌랑(禮曹佐郞)
이 감(李 堪) : 부윤(府尹) 이종윤(李從允) : 장령(掌令)
이 여 : 감정(監正) 이문좌(李文佐) : 전교(典籍)
이종준(李宗準) : 사인(舍人) 이 오(李 鰲) : 옥당(玉堂)
이 원 : 예조좌랑(禮曹佐郞) 이 구(李 龜) : 예조좌랑(禮曹佐郞)
이사백(李思白) : 이조판서(吏曹判書) 이사종(李嗣宗) : 돈정(敦定)
이문창(李文昌) : 전적(典籍) 이 해(李 海) : 주서(注書)
이몽량(李夢亮) : 참찬(參贊) 이몽윤(李夢尹) : 옹정(擁正)
이을규(李乙奎) : 군수(郡守) 이 영(李 瑛) : 사인(舍人)
이 영(이 영) : 군수(郡守) 이사영(李士英) : 군수(郡守)
이정암(李廷콬) : 판서(判書) 이정형(李廷馨) : 이조판서(吏曹判書)
이홍업(李弘業) : 지평(持平) 이대진(李大震) : 군수(郡守)
이항복(李恒福) : 영상(領相) 이방준(李邦俊) : 형조판서(刑曹判書)
이시발(李時發) : 형조판서(刑曹判書) 이 흘(이 흘) : 참판(參判)
이정겸(이정겸) : 승지(承旨) 이광윤(李光胤) : 교리(校理)
이휘음(李徽音) : 학유(學諭) 이종언(李宗彦) : 형조좌랑(刑曹佐郞)
이 협(李 浹) : 사정(寺正) 이정원(李挺元) : 이조참의(吏曹參議)
이 익(李 瀷) : 장령(掌令) 이경상(李慶相) : 문학(文學)
이기영(李奇英) : 정랑(正郞) 이숭언(李崇彦) : 부사(府使)
이경선(李慶善) : 현감(縣監) 이경환(李慶桓) : 사예(司藝)
이상언(李尙彦) : 공정(工正) 이덕배(李德培) : 현령(縣令)
이성룡(李聖龍) : 판서(判書) 이경억(李慶億) : 좌상(左相)
이경휘(李慶徽) : 이조판서(吏曹判書) 이시성(李時省) : 첨지(僉知)
이시술(李時術) : 이의(吏議) 이구휘(李耉徽) : 판교(判校)
이달의(李達意) : 장령(掌令) 이경과(李慶果) : 지평(持平)
이 후(李 煦) : 판결(判決) 이 부(李 부) : 첨지(僉知)
이영갑(李英甲) : 도사(都事) 이세장(李世長) : 이랑(吏郞)
이인환(李寅煥) : 이조참판(吏曹參判) 이 굉(李 宏) : 감사(監司)
이송제(李松齊) : 현감(縣監) 이 정(李 楨) : 호참(戶參)
이인엽(李寅燁) : 이조판서(吏曺判書) 이석억(李碩億) : 예좌(禮佐)
이회원(李會元) : 군수(郡守) 이적의(李適意) : 지평(持平)
이세현(李世賢): 예좌(禮佐) 이인병(李寅炳) : 감사(監司)
이인숙(李寅숙) : 은대(銀臺) 이광좌(李光佐) : 영상(領相)
이태좌(李台佐) : 좌상(左相) 이 홍(李 宖) : 감사(監司)
이몽엽(李夢曄) : 지평(持平) 이단장(李端章) : 승지(承旨)
이태화(李泰和) : 병좌(兵佐) 이종백(李宗白) : 판서(判書)
이창석(李昌碩) : 첨지(僉知) 이중배(李重培) : 장령(掌令)
이태시(李泰始) : 찰방(察訪) 이종성(李宗城) : 영상(領相)
이서곤(李瑞坤) :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 이석표(李錫杓) : 전라감사(全羅監司)
이형만(李衡萬) : 승정원승지(承政院承旨) 이덕관(李德觀) : 찰방(察訪)
이종적(李宗迪): 대성(大成) 이성분(李聖盆): 찰방(察訪)
이수근(李壽根): 찰방(察訪) 이석상(李錫祥): 승지(承旨)
이광배(李光培): 첨지(僉知) 이분만(李盆萬): 첨지(僉知)
이시일(李時逸): 이참(吏參) 이경양(李敬養): 이참(吏參)
이 건(李 건: 현감(縣監) 이경윤(李敬倫): 판서(判書)
이영철(李永喆): 정언(正言) 이복윤(李福潤): 우상(右相)
이경일(李敬一): 우상(右相) 이집두(李集斗): 판서(判書)
이상만(李相萬): 부사(府使) 이경오(李敬五): 부사(府使)
이덕연(李德淵): 지평(持平) 이태희(李泰熙): 지평(持平)
이한교(李漢僑): 주부(主簿) 이언오(李彦五): 감사(監司)
이집운(李集運): 감사(監司) 이정규(李廷奎): 감사(監司)
이응규(李應奎): 부윤(府尹) 이석희(李碩熙): 참판(參判)
이한영(李漢英): 참판(參判) 이영로(李永老): 참판(參判)
이중협(李重協): 참판(參判) 이사덕(李師德): 현감(縣監)
이중술(李重述): 승지(承旨) 이행민(李行敏): 장령(掌令)
이 강(李 鋼): 통례(通禮) 이인흥(李麟興): 승지(承旨)
이조형(李祖馨): 승지(承旨) 이문형(李文馨): 승지(承旨)
이치오(李致五): 사과(司果) 이익배(李益培): 지평(持平)
이규방(李규방): 판서(判書) 이복주(李福周): 승지(承旨)
이석규(李錫奎): 이판(吏判) 이경함(李敬涵): 이참(吏參)
이형좌(李衡佐): 승지(承旨) 이형규(李亨奎): 교리(校理)
이용우(李龍雨): 승지(承旨) 이계선(李啓善): 판서(判書)
이계저(李啓朝): 이판(吏判) 이희규(李希奎): 승지(承旨)
이계우(李啓宇): 참판(參判) 이계철(李啓哲): 수찬(修撰)
이영필(이영필): 교리(校理) 이유승(李裕承): 이판(吏判)
이유원(李裕元): 영상(領相) 이유응(李裕膺): 판서(判書)
이상설(李相卨): 승지(承旨) 이시영(李始榮): 승지(承旨)
이수영(李壽榮): 직각(直閣) 이석영(李石榮): 승지(承旨)
이유석(李裕奭): 참판(參判) 이주영(李胄榮): 자헌(資憲)
이보영(李輔榮): 참판(參判) 이교영(李敎榮): 참판(參判)
이유선(李裕璇): 승지(承旨) 이 응(李 應): 한림(翰林)
이종원(李鍾元): 참판(參判) 이종필(李鍾弼): 참판(參判)
이종영(李鍾瀅): 참판(參判) 이종협(李鍾浹): 교리(校理)
이종익(李鍾翊): 승지(承旨) 이집호(李集鎬): 주서(注書)
이회영(李晦榮): 장령(掌令) 이재영(李載榮): 대간(大諫)
이규백(李圭白): 승지(承旨) 이규섭(李圭燮): 주서(注書)
이신영(李臣榮): 주서(注書)
○ 조선조(朝鮮朝) 무과(武科)
이 석(李 碩): 병판(兵判) 이몽린(李夢麟): 병사, 포도대장 지돈녕부사
이용근(李庸謹): 군자감정 이수일(李守一): 형판(刑判)
이 완(李 浣): 우상(右相) 이인하(李仁夏): 대장(大將)
이인걸(李仁傑): 부총관(副摠管) 이 돈(李 暾): 중군한천(中軍寒泉)
이 정(李 玎): 별천(別薦) *玗 이중익(李重翊): 병사(兵使)
이장한(李章漢): 병사(兵使) 이장원(李長元): 부호군(副護軍)
이 빈(李 彬): 부사(府使) 이용준(李容駿): 병사(兵使)
이용상(李容象): 형판(刑判) 이계호(李啓好): 병사(兵使)
● 조선조 급제자 정록
이 담(李 擔): 太祖 2년, 春場, 乙科 이 종(李 從): 太祖5년, 式年試, 進士
이백금(李伯黔): 世宗2년, 式年試, 進士 이계선(李繼善): 世宗14, 式年試, 進士
이물민(李勿敏): 世宗26년, 式年試, 丁科 이문형(李文炯): 世宗29년, 式年試, 丁科
이윤인(李尹仁): 世宗 2년, 式年試, 丁科 이 익(李 翊): 文宗 1년, 增廣試, 丁科
이문환(李文煥): 端宗 1년, 增廣試, 丁科 이문요(李文饒): 端宗 2년, 式年試, 丁科
이유인(李有仁): 世宗 5년, 式年試, 丁科 이익배(李益培): 世宗 8년, 式年試, 丁科
이 잠(李 箴): 世祖 8년, 式年試, 丁科 이 담(李 堪): 世祖12년, 高城春試 2등
이종윤(李從允): 世祖14년, 式年試, 乙科 이 여(李 呂): 睿宗1년, 秋場, 丙科
이문좌(李文佐): 成宗14년, 式年試, 甲科 이종준(李宗準): 成宗16년, 別試, 甲科
이 오(李 鰲): 成宗17년, 式年試, 丙科 이 원(李 폧): 成宗20년, 式年試, 丙科
이 통(李 通): 成宗23년, 式年試, 乙科 이 구(李 龜): 成宗23년, 式年試, 丙科
이사균(李思鈞): 燕山4년, 式年試, 乙科 이사종(李嗣宗): 中宗2년, 增廣試, 丙科
이문창(李文昌): 中宗11년, 式年試, 丙科 이 해(李 海): 中宗14년, 式年試, 丙科
이몽량(李夢亮): 中宗23년, 式年試, 丙科 이몽윤(李夢尹): 中宗23년, 式年試, 丙科
이을규(李乙奎): 中宗30년, 別試, 甲科 이 영(李 瑛): 中宗34년, 別試, 丙科
이사영(李士英): 明宗16년, 式年試, 甲科 이정암(李廷콬): 明宗16년, 式年試, 丙科
이정형(李廷馨): 宣祖 1년, 別試, 甲科 이홍업(李弘業): 宣祖12년, 式年試, 丙科
이대진(李大震): 宣祖12년, 式年試, 丙科 이항복(李恒福): 宣祖13년, 謁聖試, 丙科
이방준(李邦俊): 宣祖18년, 式年試, 丙科 이시발(李時發): 宣祖22년, 增廣試, 丙科
이 흘(李 忔): 宣祖24년, 式年試, 丙科 이정겸(이정겸): 宣祖27년, 別試, 丙科
이광윤(李光胤): 宣祖27년, 別試, 丙科 이 흘(李 忔): 宣祖30년, 重試, 乙科
이휘음(李徽音): 宣祖39년, 式年試, 乙科 이종언(李宗彦): 光海 1년, 增廣試, 乙科
이 탁(李 濯): 光海 2년, 式年試, 丙科 이정원(李挺元): 光海 2년, 式年試, 丙科
이 익(李 瀷): 光海 4년, 式年試, 丙科 이경상(李慶相): 仁祖 5년, 式年試, 乙科
이기영(李奇英): 仁祖 5년, 式年試, 丙科 이숭언(李崇彦): 仁祖 9년, 別試, 丙科
이경휘(李慶徽): 仁祖11년, 式年試, 乙科 이경항(李慶恒): 仁祖17년, 式年試, 乙科
이덕배(李德培): 仁祖17년, 式年試, 丙科 이경억(李慶億): 仁祖22년, 庭試, 甲科
이경휘(李慶徽): 仁祖22년, 庭試, 丙科 이상언(李尙彦): 仁祖26년 ,庭試, 丙科
이시성(李時省): 孝宗 1년, 增廣試, 丙科 이시술(李時述): 孝宗 3년, 增廣試, 丙科
이구휘(李耉徽): 孝宗 8년, 式年試, 乙科 이경과(李慶果): 孝宗 8년, 式年試, 丙科
이 후(李 煦): 顯宗 1년, 式年試, 乙科 이 박(李 박: 顯宗 1년, 式年試, 乙科
이영갑(李英甲): 顯宗 1년, 式年試, 丙科 이문재(李文在): 顯宗 1년, 式年試, 丙科
이문빈(李文彬): 顯宗 3년, 增廣試, 乙科 이세현(李世賢): 顯宗13년, 別試, 乙科
이세장(李世長): 顯宗 3년, 增廣試, 乙科 이인환(李寅煥): 顯宗 6년, 庭試, 丙科
이 굉(李 宏): 顯宗13년, 別試, 丙科 이송제(李松齊): 肅宗 5년, 式年試, 丙科
이 정(李 楨): 肅宗 8년, 增廣試, 丙科 이인엽(李寅燁): 肅宗12년, 庭試, 乙科
이회원(李會元): 肅宗13년, 式年試, 丙科 이석의(李碩意): 肅宗13년, 式年試, 丙科
이적의(李適意): 肅宗16년, 式年試, 甲科 이인병(李寅炳): 肅宗19년, 謁聖試, 甲科
이인숙(李인숙): 肅宗19년, 謁聖試, 丙科 이광좌(李光佐): 肅宗20년, 別試, 甲科
이태좌(李台佐): 肅宗25년, 庭試, 丙科 이 홍(李 宖): 肅宗25년, 增廣試, 丙科
이몽엽(李夢曄): 肅宗25년, 增廣試, 丙科 이중배(李重培): 肅宗28년, 式年試, 丙科
이단장(李端章): 肅宗31년, 增廣試, 丙科 이하곤(李夏坤): 肅宗34년, 式年試, 丙科
이태화(李泰和): 肅宗37년, 式年試, 丙科 이창석(李昌碩): 肅宗37년, 式年試, 丙科
이중협(李重協): 肅宗39년, 增廣試, 甲科 이사덕(李師德): 肅宗40년, 增廣試, 丙科
이운용(李雲龍): 肅宗40년, 增廣試, 丙科 이중술(李重述): 肅宗40년, 增廣試, 丙科
이행민(李行敏): 肅宗44년, 庭試, 丙科 이태시(李泰始): 景宗 1년, 式年試, 乙科
이인흥(李麟興): 景宗 1년, 式年試, 丙科 이 강(李 鋼): 景宗 1년, 式年試, 丙科
이종백(李宗白): 景宗 3년, 增廣試, 丙科 이종성(李宗城): 英祖 3년, 增廣試, 丙科
이서곤(李瑞坤): 英祖 4년, 庭試, 丙科 이석표(李錫杓): 英祖 9년, 謁聖試, 甲科
이형만(李衡萬): 英祖11년, 增廣試, 丙科 이덕관(李德觀): 英祖11년, 式年試, 甲科
이종적(李宗迪): 英祖12년, 庭試, 乙科 이성익(李聖益): 英祖14년, 式年試, 丙科
이수근(李壽根): 英祖15년, 庭試, 丙科 이석상(李錫祥): 英祖29년, 謁聖試, 乙科
이시일(李時逸): 英祖32년, 式年試, 丙科 이광배(李光培): 英祖35년, 式年試, 丙科
이익만(李益萬): 英祖39년, 耆老庭試, 丙科 이경양(李敬養): 英祖48년, 庭試, 丙科
이 건(李 건): 英祖50년, 式年試, 丙科 이경윤(李敬倫): 英祖50년, 庭試, 乙科
이영철(李永喆): 英祖50년, 增廣試, 甲科 이복윤(李福潤): 英祖51년, 庭試, 丙科
이집두(李集斗): 英祖51년, 庭試, 丙科 이경일(李敬一): 英祖51년, 庭試, 乙科
이 만(李 萬): 正祖 1년, 式年試, 乙科 이복윤(李福潤): 正祖 4년, 式年試, 丙科
이진택(李鎭宅): 正祖 4년, 式年試, 丙科 이경오(李敬五): 正祖 7년, 增廣試, 丙科
이덕연(李德淵): 正祖10년, 式年試, 乙科 이태희(李泰熙): 正祖13년, 式年試, 丙科
이한교(李漢喬): 正祖14년, 增廣試, 丙科 이집운(李集運): 正祖24년, 庭試, 丙科
이영로(李永老): 純祖 1년, 增廣試, 丙科 이영곤(李永昆): 純祖 4년, 庭試, 乙科
이이희(李헊熙): 純祖 4년, 式年試, 丙科 이영순(李永純): 純祖 5년, 增廣試, 丙科
이영석(李永錫): 純祖 7년, 謁聖試, 乙科 이조형(李祖馨): 純祖9년, 增廣試, 丙科
이동한(李東翰): 純祖14년, 式年試, 丙科 이진묵(李鎭默): 純祖22년, 式年試, 丙科
이규방(李규방): 純祖23년, 庭試, 甲科 이명적(李明迪): 純祖27년, 增廣試, 丙科
이치오(李致五): 純祖28년, 式年試, 丙科 이계우(李啓宇): 純祖30년, 庭試, 丙科
이계조(李啓朝): 純祖31년, 式年試, 甲科 이계철(李啓哲): 憲宗2년, 庭試, 乙科
이회영(李晦榮): 憲宗4년, 庭試, 甲科 이유원(李裕元): 憲宗7년, 庭試, 丙科
이유응(李裕膺): 憲宗9년, 庭試, 丙科 이규백(李圭白): 憲宗12년, 式年試, 丙科
이 형(李 馨): 憲宗13년, 庭試, 丙科 이 표(李 杓): 憲宗13년, 庭試, 丙科
이유석(李裕奭): 憲宗14년, 別試, 丙科 이계선(李啓善): 哲宗1년, 增廣試, 乙科
이경일(李擎日): 哲宗1년, 增廣試, 丙科 이진경(李震璟): 哲宗6년, 式年試, 丙科
이유승(李裕承): 高宗1년, 增廣試, 丙科 이용우(李龍雨): 高宗2년, 式年試, 乙科
이규덕(李圭德): 高宗2년, 式年試, 丙科 이규섭(李圭燮): 高宗5년, 庭試, 丙科
이동영(李東榮): 高宗6년, 庭試, 丙科 이보영(李輔榮): 高宗10년, 式年試, 丙科
이주영(李胄榮): 高宗11년, 增廣試, 甲科 이수영(李壽榮): 高宗11년, 庭試, 丙科
이집호(李集鎬): 高宗13년, 式年試, 丙科 이교영(李敎榮): 高宗13년, 式年試, 丙科
이익준(李翊濬): 高宗17년, 增廣試, 丙科 이익준(李翊焌): 高宗19년, 增廣試, 丙科
이익권(李寅權): 高宗20년, 式年試, 丙科 이인형(李寅衡): 高宗22년, 式年試, 丙科
이재영(李載榮): 高宗22년, 式年試, 丙科 이문환(李文煥): 高宗22년, 增廣試, 乙科
이석영(李石榮): 高宗22년, 增廣試, 丙科 이인근(李寅根): 高宗24년, 庭試, 丙科
이종필(李鍾弼): 高宗27년, 別試, 丙科 이시영(李始榮): 高宗28년, 增廣試, 丙科
이규백(李圭白): 高宗28년, 式年試, 乙科 이종원(李鍾元): 高宗28년, 式年試, 丙科
이유선(李裕璇): 高宗29년, 別試, 乙科 이종영(李鍾瀅): 高宗30년, 謁聖試, 丙科
이종익(李鍾翊): 高宗30년, 庭試, 甲科 이종근(李鍾根): 高宗30년, 庭試, 丙科
이종협(李鍾浹): 高宗30년, 庭試, 丙科 이상설(李相卨): 高宗31년, 式年試, 丙科
출처 경주 이씨 벌열(閥閱) - 녹전 이이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