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의에 의한 해방이 된 이후에 유럽의 프랑스나 독일의 교육시스템이나 영국의 의료제도를
도입하지 않고 미국식 제도를 받아들이다 보니 엉망입니다.
제가 1984~1990년 다닐 때에는 그래도 그리 비싸지 않았습니다.
졸업할 때 45만원이면 되었는데 이제는........
찬빈이 찬영이가 커가는 것을 보면 마음이 아파옵니다.
그 애들 키우다보면 저와 아내의 복지부분은 다 깍이겠구나.......
전면항쟁을 벌여야합니다.
높아진 사교육비와 사학위주로 중등~대학까지 책임지는 그 엉터리 조국에서
무엇을 바란다 말입니까?
주한미국을 철수시키고 군비를 군을 감축하여 복지부분과 교육부분에 전용될 수 있는
권력을 창출해야하겠지요.
희망없음에 답답해집니다.
2008.1.25. 아침에
<Imagine> 가사와 같은 나라에서 살고 싶어집니다.
공동대표: 임종대·청 화 대표전화: 723-5300
팩스: 6919-2004 110-043 서울 종로구 통인동 132
|
수 신 : 각 언론사 사회부, 경제부
발 신 :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담당 : 김동언 간사 (02)723-5303, sherpa@pspd.org)
제 목 : 학자금대출금리 7%진입에 대한 참여연대 입장(2007. 12. 18. (총 2 쪽)) |
논 평
시중은행과 맞먹는 학자금 대출 고금리,
정부가 방치해서야
- 내년도 7% 상회 전망, 타 부처 시책사업자금 대출금리의 2배
- 정부는 학자금 대출 금리 인하 방안에 대해 적극 고민해야
|
1. 최근 국고채 금리가 6%에 달하면서 여기에 가산금리를 더하는 방식으로 결정되는 내년도 학자금 대출 금리가 7.2%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는 정부보증 학자금 대출이 시작된 이래 최고치에 해당하며 시중 은행들의 대출 금리와도 별반 차이가 없는 수준이다.
그런데 올해 초 정부는 청와대브리핑을 통해 학자금대출 이자율을 낮추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힌바 있다. 학자금대출 신용보증기금을 관리하고 있는 주택금융공사 역시 “학자금과 주택자금 대출은 기회의 평등 문제와 연관되어 있어 학자금 대출 금리를 낮추기 위해 정부가 계속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었다.
하지만 올해 1학기보다 2학기는 0.07%가 인상되었고, 올해보다 내년은 0.54%나 오를 예정이라고 하니 과연 정부가 나서서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타 부처의 시책사업자금 대출 금리가 여전히 3~4%에 불과한 것을 감안한다면, 정부가 사실상 금리 인하 노력을 게을리 했다고 밖에 볼 수 없다.
2. 교육부 통계에 따르면 정부보증 학자금 대출 시행 2년 6개월만인 현재, 빚을 갚지 못한 3천여명의 대학생들이 신용불량자가 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는 내년도 대출금리가 지금 보다도 더 인상될 경우, 더 많은 대학생들이 사회에 첫발을 내딛기도 전에 정상적인 취업이나 사회생활 조차 할 수 없는 신용불량자로 전락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최근 국회 예산심사소위에서는 내년도 예산 중 ‘학자금대출 신용보증기금’ 1천억원과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장학금 지원예산 100억원을 삭감하였다. 대출 금리는 올라가고 예산은 깎인 상황에서 저소득층 자녀들의 교육평등은 점점 더 요원한 얘기다. 정부의 의지부족과 국회의원들의 무책임한 감액심사로 인해 서민가계는 파탄에 이르고 있으며, 20대의 청년들은 어깨에 빚더미를 짊어지고 있는 것이다.
3. 해마다 물가상승률의 3~5배 가까이 단행되는 등록금 인상, 학자금 대출 고금리, 장학제도의 부실 등 서민가계에 과중한 부담을 지우는 요인들이 해결되지 않고 있다. 대학등록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자금 대출 금리를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하고, 무이자와 저리 대출 대상이 확대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이를 위해 정부와 정치권은 구체적인 방안을 내놓고 적극적인 실행의지를 보여야 할 것이다. 끝.
※ 이 자료는 인터넷참여연대에서 다시 볼 수 있습니다. http://peoplepower21.org
[e통인동편지] 등록금 1000만원 시대, 참여연대가 이의를 제기합니다검색
 |
 |
 |
등록금 1000만원 시대, 참여연대가 이의를 제기합니다 |
안녕하세요. 시민 여러분, 그리고 참여연대 회원 여러분. 참여연대 뉴스레터를 통해 이렇게 인사를 드립니다. 저는 참여연대 교육홍보팀장으로 일하는 최현주입니다.
시민 곁으로 더 가까이 가기 위해, 뉴스레터도 변화를 시도합니다. 그저 진행되는 사업에 대한 건조한 나열이 아니라, 대화같은 대화, 편지같은 편지로 참여연대의 생각을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한주간 참여연대가 집중한 활동에 대해, 그리고 주목하는 사회현안에 대해 참여연대의 고민과 생각을 이 편지를 통해 여러분과 이야기나누려고 합니다. 서울 종로구 통인동 참여연대 사무실에서 전선을 타고 여러분께 날아갈 'e통인동편지', 앞으로 많이 사랑해주세요.^^
지금 참여연대의 집중 이슈는 '대학 등록금'입니다. ‘등록금 1000만원 시대‘, 참으로 간담이 서늘해지는 제목입니다. 만일 지금 제가 대학에 다닌다면, 부모님께서 등록금 제대로 내주실 수 있을까 생각해 보았습니다. 아무래도 안되겠더군요. 지금이라면 저같은 서민은 대학에 못 다닐 상황입니다. '등록금 1000만원 시대'에 참여연대는 이의를 제기합니다. 지난해부터 집중한 '민생사업-3대 가계부담 줄이기 운동'의 3번째 가계부담으로 '서민에게 저승사자'라고까지 불리운다는 '대학등록금'을 꼽았습니다. '참여연대의 등록금 인하운동'의 첫 신호탄으로 [경향신문]과 4회에 걸친 기획을 연재합니다. 읽어보시면서, ‘등록금 천만원시대’를 해소할 방안을 참여연대와 함께 머리를 모아 주시면 좋겠습니다. ㆍ[대학 등록금 1000만원 시대] 학자금 대출 이자는 '또 다른 족쇄'ㆍ[대학 등록금 1000만원 시대] "가장 무서운게 등록금 고지서" ㆍ[대학 등록금 1000만원 시대] 등록금 탓 자살까지 서민에겐 '저승사자요즘 인수위의 활동이 참으로 눈부십니다. 연일 새로운 이슈와 상황이 뻥뻥 터져나오는데요. 새로운 정부, 이명박 당선자와 인수위 활동에 대한 참여연대의 반응은 어떠리라 상상하시는지요? 물을 것도 없다고 생각하실지 모르겠습니다. 그렇습니다. '당연한 권력감시'입니다. 참여연대 창립 이후 14년간 한순간도 거르지 않은 '변함없는 권력감시운동'과 시민의 권리를 위한 민생복지 등 사회경제개혁운동입니다. 인수위 활동으로 나오는 이슈에 대해서도, 참여연대는 그동안 해왔듯 개별 사안에 대해 [인수위의 정부조직 개편안에 대한 쟁점 토론회] [국가청렴위원회 폐지와 반부패정책 후퇴에 반대] [꼭 독립된 국가인권위원회여야] [구조적 문제점 내포한 ‘공룡 금융감독 조직’ 신설 재고해야] 등의 예각적인 지적을 하고 있습니다만, 뭔가 부족함이 느껴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에 참여연대는 직접 이명박 당선자께 편지를 보내기로 하고, 오늘 첫 편지를 보냈습니다. 역시 첫 편지는 이명박 당선자하면 가장 먼저 떠오른 운하사업에 관해서, 그리고 국민성공시대에 대한 글입니다. ㆍ[편지 1] 운하사업은 ‘망국의 길’입니다ㆍ[편지 2] 국민성공시대가 ‘재벌만 성공하는 시대’가 되어서는 곤란합니다날씨가 정말 매섭습니다. 찬바람이 사정없이 얼굴을 할퀴고 지나가는군요. 오늘 저녁 곳곳에서 보일러가 터지지 않을까, 걱정이 됩니다. 걱정도 팔자라구요...--; 매서운 추위에 한방 맞지 마시고, 감기 조심하세요. ^^
- 통인동에서 참여연대 최현주 팀장 드림 | | |
 |
|
 |
뉴스레터를 신청하신 분에게만 발송되는 메일입니다. 수신을 원치 않으시면, 이곳을 눌러 정보를 변경해주세요. 본 메일은 발신전용으로 회신되지 않습니다. Copyleft 1994-2008. 인터넷참여연대. mailto:webmaster@pspd.org | | |
[대학 등록금 1000만원 시대 ②-1] 학자금 대출 이자는 '또 다른 족쇄' |
참여연대- 경향신문 공동기획 |
경향신문 특별취재팀 2008-01-24 |
|
 |
|
|
서울의 사립 ㅅ대 박모씨(22·기계공학과 2년)는 요즘 조마조마하다. 지난 7일 신청한 ‘정부보증 학자금대출’을 받을 수 있을지 걱정돼서다. 심사요건에 미비한 것은 별로 없다. 하지만 지난 학기에 제때 이자를 갚지 못해 2번 연체한 이력이 걸린다. 올해만이 아니다. 벌써 이태째 매년 1월과 6월이면 되풀이되는 일이다. 정부보증 학자금 대출제도는 학부모·학생의 등록금 부담을 덜기 위해 도입됐다. 2005년 2학기부터 시행됐다. 노무현 대통령의 교육비경감 공약을 구체화한 것이다. 그 전에도 학자금대출제도는 여럿 있었다. 학생과 정부가 이자를 절반씩 부담토록 한 ‘일반 이차보전 대출제도’가 대표적이다.
 |
▲ ⓒ경향신문 | 종전 학자금대출제도는 상환기간이 5~7년으로 짧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환기간을 늘린 정부보증 학자금대출제도가 등장한 것이다.
그러나 이 제도 역시 문제가 적지 않다. 전체 대학생 230여만명중 대출을 신청, 혜택을 받는 학생은 지난해 2학기 60만명선이었다. 대출이자는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와 비슷한 수준이라 상환에 부담을 준다. 그나마 정부가 관련 예산을 삭감해 수혜자는 갈수록 줄고 있다.
정부보증 학자금 대출은 저소득층이 이용하는 무이자·저리(이공계 대상) 대출과 일반 대출로 나뉜다.
둘 다 학기 시작 전 ‘학자금 대출’ 사이트에 신청하면 이를 심사해 대출 승인여부를 결정한다. 대출 직전 학기 이수학점이 12학점 이상이어야 하고,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성적평점이 70점 이상이 돼야 한다. 신용등급이 9~10등급인 학생은 대출 신청을 할 수 없다. 이렇게 빌린 학자금은 대출 직후부터 10년간 이자를 갚아야 하며(거치), 10년 뒤부터는 원금을 바로 상환해야 한다. 가장 큰 문제는 높은 금리다. 지난해 말 건설회사에 취업한 직장인 황모씨(27)는 대학 4년 내내 학자금 대출을 받았다.
그러나 매달 20여만원을 꼬박꼬박 이자로 내야 했다. 대출이자를 내기 위해 돈이 되는 거라면 무엇이든 닥치는 대로 아르바이트를 해야 했다. 취업을 한 지금도 적지 않은 부담이 된다. 월급에서 생활비를 빼고 대출이자를 내면 저축은 생각하기 어렵다. 황씨는 “10년 후부터 원금을 갚아 나가야 하는데, 이렇게 하다간 원금 갚을 돈이 마련될지 걱정”이라며 한숨을 내쉬었다.
학자금 대출금리는 증가 추세다. 2005년 2학기 6.95%였던 이자율은 올 1학기에는 7.65%로 뛰었다. 사상 최대다. 대출금리는 국고채, 시중 가산금리와 연동돼 결정된다. 매학기 연속대출을 한 학생의 경우 이자 부담이 녹록지 않다. ‘취업하기도 전에 빚쟁이가 된다’는 말이 나온 배경이다.
학자금 신용보증 수탁기관인 한국주택금융공사 관계자는 “학자금 대출금리 인하에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무담보로 빌려주는 제도임을 감안하면 비싼 이자가 아니다”라며 “한정된 예산 안에서 시중금리와 연동시키다보니 한계가 있다”고 했다.
학자금 대출금리 인하방안을 연구한 홍익대 신성환 교수(경영학)는 “가장 가시적으로 금리를 낮출 방안은 정부 예산 지원”이라고 제시했다. 정부의 의지에 달린 문제다.
당초 정부의 올해 학자금대출 신용보증기금안 규모는 3907억원이었다. 그러나 국회 심의과정에서 1000억원이 깎였다. 학자금 대출 지원대상 학생이 당초 예상보다 3분의 1가량 줄어들 수밖에 없다. 자연히 심사요건이 강화될 것이다. 박씨의 우려도 여기에서 비롯된다.
한국주택금융공사 자료에 따르면, 학자금 대출 후 이자를 제때 내지 못해 신규 대출을 거부당하는 학생이 해마다 급증하고 있다. 3개월 이상 계속 연체하거나, 1개월 이상 연체가 3번 이상인 ‘빈번한 연체자’는 2006년 2343명에서 2007년 9948명으로 4배 가까이 늘어났다. 신용불량자로 등록돼 대출을 못받은 학생도 2007년 2461명으로 2006년보다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런 학생들은 결국 사설 대부업체에 손을 뻗게 된다. 인터넷에서 클릭만 하면 손쉽게 학자금을 대출해준다는 대부업체만 10여곳이다.
2005년부터 4차례, 총 1500만원을 대출받은 고려대생 박종천씨(26)도 이자 때문에 고민이다. 대출금이 늘어나면서 월 이자만 10만원씩 낸다. 박씨는 “다른 대출금리에 비해서는 싸지만 대상이 돈없는 학생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비싸다”며 “사설 대부업체도 아니고 정부가 운영하는데, 학생들을 상대로 돈놀이를 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참여연대 이경미 민생희망본부 팀장은 “학자금 대출금리는 정부의 다른 시책사업자금 대출금리의 2배꼴”이라며 “정부가 의지만 있다면 서민에게 무거운 부담이 되는 학자금 대출금리를 낮추거나, 상환방식을 바꾸는 것이 가능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죽기 살기로 알바, 자기계발 꿈도 못꿔" 단국대 2년생 김윤경씨(21)는 대학을 1년 늦게 입학했다. 고3때 수능을 본 뒤 ㅅ여대에 추가로 합격했으나 등록할 돈이 없었다. 일용직 식당에서 일하는 어머니에게서 등록금을 기대할 상황이 아니었다. 당시 어머니는 입학을 말렸다.
 |
▲ 단국대 2학년에 재학중인 김윤경씨가 지난 21일 모 은행 창구에서 정부보증학자금대출을 신청하고 있다. 김씨는 7%가 넘는 연이율에 뛰는 등록금 인상률까지 생각하면 졸업 학기 때까지 자신이 안게 될 채무가 얼마나 될지 걱정스럽다. /박재찬기자 ⓒ경향신문 | 김씨가 추가합격 당시에는 정부대출제도도 잘 몰랐고 이미 대출 신청기간이 지난 상황이었다. 돈을 구할 방도가 없었다. 포기해야 했다. 김씨는 1년간 남들에게는 재수를 하는 것으로 했지만 사실은 아르바이트를 했다. 사무보조원, 극장 매표소 직원 등 기를 쓰고 등록금을 마련하려고 애썼다.
김씨는 1년뒤 단국대에 합격했고 첫 학기부터 360여만원 정부보증 대출을 이용했다. 지난 1년간 번 돈은 수능 교재 구입 및 생활비를 쓰고 나니 끝이었다. 문서입력 아르바이트 등을 하고 있으나 몇백만원씩 하는 등록금을 내기에는 무리였다.
벌써 대출제도를 이용한 지 4학기째. 그 사이 대출 이자율은 올랐다 내렸다를 반복하다 이번 학기에는 7%를 훌쩍 넘겼다. 매년 등록금은 10% 가까이 인상되고 이자율까지 오르고 있다. 김씨가 대충 인상률을 계산해봤을 때, 4년간 학자금 대출을 받는다면 대학 졸업하는데 등록금만 4000만원 정도였다. 이자만 해도 누적돼서 매달 20여만원이다. 결국 졸업해서 취직을 하고도 학자금 대출 상환금만 1년에 700만원을 내야 하고 10년간 상환을 하고 나면 서른살이 훌쩍 넘는다는 계산이 나온다. 앞길을 생각하면 막막하기만 하다.
김씨의 가장 큰 목표는 “빨리 졸업해서 돈 벌고 빚 갚는 것”이다. 사실 김씨의 관심은 취업보다는 학업에 있다. 대학원에 가서 공부를 더해보고 싶은 마음이 굴뚝 같았다. 그러나 맨손의 자신이 꿀 수 없는 꿈이라는 것을 그는 이미 알고 있다.
당장은 취업을 할 수 있을지가 걱정이다. 친구들은 취업준비로 학원에서 토익점수를 올리거나, 해외 영어연수를 다녀온다고들 하지만 김씨는 아무 것도 손을 못댔다. 교재비, 교통비 등 하루 생활비 버는 것만으로도 벅차다. 돈벌면서 해외나가는 인턴제도 등도 알아봤으나 최소 몇 백만원은 필요했다. 돈을 마련하는데 휴학을 하면 다시 취업이 최소 1년 이상은 늦어질테니까 결국 손해라는 생각에서 김씨는 마음을 접었다.
김씨는 “등록금이 없어서 아르바이트를 하느라 그 시간에 자기계발도 못하는 상황”이라며 “당장 이자 부담만이라도 줄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이자 내기도 버거운 취업난 '88만원 세대' 정부보증학자금대출제도를 통해 400만원을 대출받은 대학생 ㄱ씨(22)는 이자로 월 7만~8만원을 꼬박꼬박 낸다. ㄱ씨는 학원에서 사무보조일을 하며 한달에 40만~50만원을 번다. 이 돈으로 대출금 이자를 갚고, 교통비와 교재비, 식비까지 해결해야 한다. 지금 감당하는 이자도 버거운데 올해는 이자율이 6.65%에서 7.6%로 올라 걱정이 태산이다. 박씨는 “등록금은 등록금대로 오르고, 대출이자율도 오르니 막막하다”면서 “이자 상환이 1주일만 늦어도 당장 독촉우편이 날아온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정부보증 학자금대출제도가 ‘88만원세대’의 목을 조르고 있다. 취업난으로 안정적인 일자리 대신 비정규직과 아르바이트로 생활하는 이들에게 이자율 인상은 엄청난 부담을 준다. 대학 1학년을 다니다 휴학 중인 ㄴ씨는 “정부학자금 대출제의 취지는 알지만 이자에서 약간의 지원을 받는 것일뿐 결국은 빚”이라고 말했다. 현재 텔레마케터 면접 결과를 기다리고 있는 ㄴ씨는 주유소, PC방 등 가능한 모든 아르바이트를 찾아보고 있지만 “대출제도를 이용할 생각은 전혀 없다”고 말했다.200만원을 대출받아 한달에 20만원씩 갚고 있는 직장인 ㄷ씨(27)는 “나는 취직을 해서 그나마 부담이 덜한데 취직못한 친구들은 이자가 이자를 부르는 상황”이라며 “가능하면 빌리지 않거나 적게 빌리는 게 최선”이라고 말했다.
| |
[대학 등록금 1000만원시대①-2] "가장 무서운게 등록금 고지서" |
참여연대-경향신문 공동기획 |
경향신문 특별취재팀 2008-01-22 |
|
 |
|
|
치솟는 대학 등록금은 서민들에겐 저승사자나 다름없다. 가정경제를 무너뜨리고 멀쩡한 중산층을 채무자로 전락시킨다. 꿈과 희망을 앗아간다.
 |
▲ ⓒ경향신문 | 장미호씨(24·가명·서울 ㅁ대 정외과)는 언론사에서 사무보조 아르바이트를 한다. 05학번인데, 지난해 휴학했다. 오전 10시~오후 5시까지 일하면 83만원을 받는다. 그 중 50만원을 저축한다. 등록금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등록금이 매년 큰 폭으로 오르는 것을 보니 불안하다. 앞으로 얼마나 더 일해야 4년 등록금을 마련할 수 있을지 계산이 잘 안된다. 여상을 졸업하고 중소기업 인사팀에서 일하다가 좀더 나은 인생을 기대하며 대학에 들어왔지만 앞이 보이지 않는다. 등록금 때문에 휴학하고, 언제 복학해 공부를 마칠 수 있을지 모르는 일이 생길 줄은 꿈에도 몰랐다.
장씨의 동생은 군대 제대 후 스키장에서 아르바이트를 한다. 거기 가기 전엔 공사장에서 막일을 했다. 동생이 버는 돈은 가족 생활비로 쓰인다. 장씨는 동생이 안쓰럽다. 이게 다 치솟는 등록금 때문이라고 생각하면 자다가도 화가 난다.
 |
▲ 천정부지로 치솟는 대학등록금이 서민들의 허리를 휘게 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 7일 서울 통의동 이명박대통령 당선인 집무실 앞에서 등록금 문제 대책을 요구하며 시위 중인 학부모들. /경향신문 자료사진 | “남은 건 빚더미뿐입니다.” 경북 포항 근교에서 부추농사를 하는 김기수씨(51·포항시 남구 연일읍 중명리)가 가장 무서워하는 것은 등록금 고지서다. 고지서가 날아오기 며칠 전부터 끙끙 앓는다. 밥맛을 잃는다. 돈을 마련할 생각을 하면 끔찍해서다.
김씨는 서울과 경주의 대학에 다니는 두 딸과 고교 2학년인 막내 아들을 두고 있다. 5000평의 밭에 부추를 재배하며 ‘성공한 농사꾼’이라는 소리를 듣던 김씨는 큰딸(21)이 서울로 유학길에 오르고, 지난해 둘째딸(19)이 경주의 대학에 들어가면서부터 ‘고난의 길’로 접어들었다.
김씨는 인건비를 한푼이라도 줄이기 위해 부인과 함께 매일 새벽 5시부터 저녁 7시까지 14시간 이상 중노동을 한다. 큰딸이 대학에 들어가기 전까지만 해도 연간 몇백만원씩 저축하면서 ‘행복한 노후설계’를 했지만 지금은 꿈도 꾸지 못한다. 김씨는 “큰딸이 서울에 있는 명문대학 전자공학과에 합격해 기뻐할 때까지만 해도 대학생 한명을 서울로 유학보내는 것이 이렇게 어려울 줄은 몰랐다”며 혀를 찼다.
김씨의 연수입은 대략 3000만원. 이 가운데 3분의 2인 2000만원이 큰딸 밑으로 들어간다. 1000만원이 넘는 등록금에 기숙사비, 학원비, 용돈, 교통비, 책값 등을 합친 금액이다. 집에서 통학하는 둘째딸과 실업계 고교생인 막내 아들의 교육비로 1500만원 정도를 지출한다.
3남매 교육에 연 3500여만원이 드는 것이다. 교육비로만 따져도 가계수지는 600만원 이상 적자가 난다. 월 200만원가량인 생활비는 빚을 내 해결할 수밖에 없다. 매년 농협 영농자금과 생활안정자금, 일반 은행의 가계 대출 등 낼 수 있는 빚은 다 얻고 있다.
김씨는 큰딸이 대학에 들어간 이후 1억원을 빚졌다. 원금과 이자를 합친 돈이다. 아이들이 모두 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얼마나 빚을 더 내야 할지 막막하기만 하다. 김씨는 “매년 등록금은 왜 그렇게 오르는지 모르겠다”며 “올해는 기숙사비까지 오른다니 힘이 쫙 빠진다”고 하소연했다. 이제는 꿈도 희망도 없다. 평당 3만원인 밭을 모두 팔아도 빚을 갚기 어렵다. 김씨는 “노후의 삶을 포기하지 않는다면 애들을 서울에 있는 대학에 보낼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모씨(54·서울 은평구·철물점 운영)는 자신을 ‘대출인간’이라고 부른다. 연 2000만원 가까운 대학생 두 자녀 등록금 때문에 지난 2년간 정부로부터 학자금 대출을 4번 받은 것을 빗댄 것이다. 하씨는 “올해는 정부의 학자금 대출이자가 7%를 넘는다고 하던데 그렇게 되면 월 이자만 해도 몇십만원쯤 될 것 같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대기업이나 관공서에 다니는 이웃들이 한없이 부럽다. 자녀 학비를 무상으로 지원받기 때문이다. 하씨는 “대학졸업한 조카가 대기업 인턴사원이 됐는데, 한달에 고작 70만원을 받는다”며 “앞으로 우리 애들도 벌이가 그렇다면 대출금을 갚을 수 있을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학업을 중단하고 ‘88만원세대’로 생활전선에 뛰어드는 학생도 적지 않다. 부산 사립대학 2학년인 정모씨(21·여)는 얼마전 휴학계를 내고 마트에 일용직으로 취직했다. 상조회 회원모집 일을 하며 학비를 보조하던 어머니가 지난 연말 고객을 유치하러 나갔다가 계단에서 미끄러져 다리를 다치면서 등록금 마련이 어렵게 됐기 때문이다. 정씨는 “가족 희생의 대가로 공부한다는 것이 마음이 편치 않아 학업을 미루기로 했다”고 말했다.
사업에 실패하고 아내와 이혼까지 한 박영훈씨(52·전북 전주시)는 얼마 전 전북지역 사립대학 3학년인 큰딸에게 휴학을 권유했다. 연 900만원의 등록금 등 1500만원에 이르는 교육비를 부담할 방법이 없었다.
박씨의 심경을 더 착잡하게 만든 것은 둘째딸(20)이었다. 고교를 졸업한 둘째딸이 “언니 학비를 벌겠다”며 대학 진학을 포기하고 취업전선에 나선 것이다. 박씨는 “죽고싶은 심정이었다”며 “대학 등록금이 야속할 때가 한두번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대학생 15% "학비 없어 휴학했었다" 대학생의 15%가 등록금을 마련하기 위해 휴학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향신문·참여연대가 여론조사전문기관인 한국사회여론연구소에 의뢰해 전국 대학생 126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다.
 |
| 조사 결과 등록금 마련을 목적으로 대출을 받았다는 학생은 10명 중 2명꼴이었다. 응답자 가운데 27.8%(329명)가 정부보증학자금이나 시중은행·대부업체 등에서 돈을 빌렸다고 응답했다.
이 가운데 학자금 대출 연체 경험이 있는 경우가 16.9%나 됐다. 현재 신용불량이라고 응답한 학생도 10명이나 됐다. 사회에 첫 발을 내디디기도 전에 무거운 그늘을 짊어지는 것이다.
복수응답으로 등록금 마련 방법을 물어보자, ‘부모님 지원’이라는 응답이 71.4%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정부보증장학금 대출(18.9%), 아르바이트 등 부업(15.4%), 장학금(14.1%) 순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부모들은 어떻게 등록금을 마련하고 있을까. 응답자 20%가 “등록금을 마련하려고 가족이 부업한 적이 있다”고 말했다. ‘외벌이’로는 연간 1000만원에 육박하는 등록금을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일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 사립대 미대에 재학 중인 딸을 둔 박모씨(54)는 방학 때면 부산에 귀향하는 딸과 함께 아이스바를 만드는 공장에서 매일 12시간 일한다. 한달 100만원, 둘이서 두 달을 일하면 400만원가량이 손에 잡힌다. 그러나 등록금으로는 여전히 모자란다.
2002년 입학 당시만 해도 한 학기 390만원 하던 등록금이 지난해에는 520만원이 됐다. 5년 새 33%나 오른 것이다. 1000만원이 넘는 등록금에 하숙비 300만원, 재료비와 기타 용돈 등을 합하면 1년에 2800만원이 들어간다. 매달 230만원꼴이다. 박씨는 “처음 대학에 들어갈 때만 해도 이렇게 지원하는 게 어려울 줄 몰랐다”면서도 “졸업장은 있어야 취직이라도 하지 않겠냐”며 한숨쉬었다.
주변에 50대 아줌마가 갑자기 부업 한다고 하면 대부분 자식 등록금 때문이라는 얘기도 있다. 그러나 전업주부가 얻을 수 있는 직종에는 한계가 있어 식당일이 대부분이다. 월 수입 100~150만원이지만, 그나마 인건비 싸고 젊은 중국 교포에게 밀려서 자리가 많지 않다.
 |
▲ 전국대학생교육대책위원회 공동대표들이 지난 17일 서울 삼청동 인수위원회 앞에서 등록금 인상에 대한 정부대책 수립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서성일기자 ⓒ경향신문 | 학생들의 어려운 현실도 조사 결과에서 드러났다. “등록금 때문에 휴학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15%나 되는 학생들이 “그렇다”고 대답했다. 취업준비나 어학연수 때문이 아니라 오로지 ‘경제적 이유’로 휴학하는 것은 1990년대 중반만 해도 생소한 일이었다.
등록금이나 용돈, 교재비처럼 학업 유지에 필요한 돈을 마련하기 위해 부업을 한다는 학생의 비율 역시 전체 학생의 83.4%였다.
또한 등록금 부담은 수도권보다 지방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등록금 때문에 휴학하거나, 시간제 아르바이트를 하거나, 부모가 부업을 하는 경우는 호남, 대구·경북, 강원, 울산 등이 수도권보다 높았다.
서울지역은 등록금 대출 경험이 22%인 반면, 호남권은 35%였다. “학자금 대출을 거부 당한 경험이 있느냐”는 질문에서도 강원지역은 30%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학자금 연체 경험 역시 수도권보다는 지방에서 높게 나타났다. 시중은행에서 대출이 거부돼 이자부담이 막대한 대부업체에서 등록금을 빌렸다는 응답자는 전체 가운데 4명이었는데, 강원·호남·영남지역의 대학생들이었다.
대부업체에서 등록금 일부를 빌렸다는 서모씨(27)는 “또 휴학을 하면 졸업이 늦어지고 취업도 어려워질 것 같은 절박한 심정에 울며겨자먹기로 돈을 대출받을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이경미 참여연대 민생팀장은 “지방의 가정은 넉넉하지 않은 재정능력 때문에 대출에 어려움을 겪고, 가족들이 부업에 나서거나 고리의 대부업체 대출로까지 이어지는 악순환에 더 쉽게 노출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전체 설문조사 결과를 볼 때 신용불량자가 정부통계보다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산된다”고 예상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2007년 말 현재 정부보증학자금대출을 제때 갚지 못해 신용불량이 된 학생은 3413명에 이른다. 시중은행 및 대부업체에서 등록금을 빌렸다가 갚지 못한 학생들의 통계 현황은 정부에서도 파악된 바가 없다.
이번 설문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0%다. 조사는 광역시·도별로 무작위로 표집된 25개 대학에서 지난해 12월 14~20일 설문지를 이용해 실시됐다.
| |
시중은행과 맞먹는 학자금 대출 고금리, 정부가 방치해서야 |
내년도 7% 사회 전망, 타 부처 시책사업자금 대출금리의 2배 정부는 학자금 대출 금리 인하 방안에 대해 적극 고민해야 |
민생희망본부 2007-12-18 |
|
 |
|
|
최근 국고채 금리가 6%에 달하면서 여기에 가산금리를 더하는 방식으로 결정되는 내년도 학자금 대출 금리가 7.2%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는 정부보증 학자금 대출이 시작된 이래 최고치에 해당하며 시중 은행들의 대출 금리와도 별반 차이가 없는 수준이다. 그런데 올해 초 정부는 청와대브리핑을 통해 학자금대출 이자율을 낮추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힌바 있다. 학자금대출 신용보증기금을 관리하고 있는 주택금융공사 역시 “학자금과 주택자금 대출은 기회의 평등 문제와 연관되어 있어 학자금 대출 금리를 낮추기 위해 정부가 계속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었다. 하지만 올해 1학기보다 2학기는 0.07%가 인상되었고, 올해보다 내년은 0.54%나 오를 예정이라고 하니 과연 정부가 나서서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타 부처의 시책사업자금 대출 금리가 여전히 3~4%에 불과한 것을 감안한다면, 정부가 사실상 금리 인하 노력을 게을리 했다고 밖에 볼 수 없다.
교육부 통계에 따르면 정부보증 학자금 대출 시행 2년 6개월만인 현재, 빚을 갚지 못한 3천여명의 대학생들이 신용불량자가 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는 내년도 대출금리가 지금 보다도 더 인상될 경우, 더 많은 대학생들이 사회에 첫발을 내딛기도 전에 정상적인 취업이나 사회생활 조차 할 수 없는 신용불량자로 전락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최근 국회 예산심사소위에서는 내년도 예산 중 ‘학자금대출 신용보증기금’ 1천억원과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장학금 지원예산 100억원을 삭감하였다. 대출 금리는 올라가고 예산은 깎인 상황에서 저소득층 자녀들의 교육평등은 점점 더 요원한 얘기다. 정부의 의지부족과 국회의원들의 무책임한 감액심사로 인해 서민가계는 파탄에 이르고 있으며, 20대의 청년들은 어깨에 빚더미를 짊어지고 있는 것이다.
해마다 물가상승률의 3~5배 가까이 단행되는 등록금 인상, 학자금 대출 고금리, 장학제도의 부실 등 서민가계에 과중한 부담을 지우는 요인들이 해결되지 않고 있다. 대학등록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자금 대출 금리를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하고, 무이자와 저리 대출 대상이 확대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이를 위해 정부와 정치권은 구체적인 방안을 내놓고 적극적인 실행의지를 보여야 할 것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