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윤리 사상
1). 한국 윤리사상의 연원
가. 원시 신앙과 敬天思想
① 소박한 원시 신앙의 형태
- 애니미즘(Animism): 하늘을 비롯한 자연물에 영혼이 깃들여있다고 믿는 영혼 숭배 사상(정령 숭배 사상)(* Manaism: 초월적 힘을 숭배)
- 토테미즘(Totemism): 어느 친족(씨족)과 일정한 동물이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믿고 양자를 동일시하는 원시 신앙, 족외혼과 금기(taboo)
- 샤머니즘(Shamanism): 인간과 신의 매개자인 무당에게 의지하려는 신앙(무속 신앙)
② 경천 사상
- 하늘의 넓은 의미: 온 우주 자연과 운행의 섭리
- 하늘의 존재: 온갖 만물은 태어나게 하고 길러주는 덕(好生之德)을 가진 존재이며, 인간의 기원을 들어주고 도덕적으로 옳지 못한 자를 징벌하는 기능
- 경천애인(敬天愛人): 하늘을 닮아 서로 사랑하면서 도덕적으로 착하게 살아가는 것
나. 단군 신화의 윤리적 의의
① 인간중심의 인본주의: 탐구인세(貧求人世), 원화위인(願化爲人)
② 천인합일(天人合-)-: 천신 환웅(天)과 웅녀(地)사이에서 단군(人)이 태어남
③ 홍익인간(弘益人間)에서 인간은 단순히 사람이 아니라 사람이 사는 세상이나 인간사회를 의미하는 말.
④ 조화정신: 자연과 인간의 조화라는 면에서 천인 합일의 사상
⑤ 홍익인간을 실천하기 위해서 환웅은 곡식과 생명, 질병과 형벌, 선악 등 인간 사회의 360여 가지 일을 다스렸다고 기록 ▣ 한서 지리지에 나타난 고조선의 팔조법금(八條法禁) : 팔조의 법(불문률)이 있었으나 오늘날은 3개만 전하여짐.
㉠ 사람을 죽인 자는 즉시 사형에 처한다.
㉡ 남에게 상해를 입힌 자는 곡물로써 배상한다.
㉢ 남의 물건을 훔친 자는 노비로 삼되 단 자속하려는 자는 일인당 50만 전을 내야 한다. ▶생산력의 발달과 사유재산제도, 가부장적 가족제도가 성립
▣ 곡식-삶의 기본적 조건인 경제적 가치,
생명 - 만물에 미치는 가치, 형벌 -사회정의,
선악 -도덕 윤리적 의미
⑥ 단군 신화는 지극히 평화적인 내용으로 일관
▣ 단군신화
古記云 昔有桓國 庶子桓雄 數意天下 貪求人世 父知子意 下視三危太伯 可以弘益人間 乃授天符印三箇 遺往理之 雄率徒三千 降於太伯山 頂神檀樹下 謂之神市 是謂桓雄天王也 將風伯雨師雲師而主穀主命主命主病主刑主善惡 凡主人間 三百六十餘事 在世理化時有一熊一虎 同穴而居 常祈于神雄 願化爲人 時神遺靈 艾一炷蒜 二十校 曰爾輩食之 不見日光百日 便得人形 熊虎得而食之 忌三七日 熊得女身 虎不能忌而不得人身 熊女者無與爲婚 故每於檀樹下 呪願有孕 雄乃假化而婚之孕 生子號曰 檀君王儉
2). 한국 윤리 사상의 전개
가. 삼국 시대의 윤리 사상
① 국가 이념과 윤리적 기초 마련: 고대 국가의 기틀 마련
- 원시신앙과 단군 신화에 내재된 여러 가지 윤리 사상과 정신적 가치들을 기초로 하였다.
- 유교: 정치와 사회 및 교육에 영향
- 불교와 도교: 백성들이 안심 입명을 하기 위한 종교와 예술활동에 영향
② 고구려: 태학(太學)을 세워 사회 지도자를 양성하고, 국가 생할 규범을 마련
③ 백제: 유교 사상이 발전되었고, 천자문과 논어에 능숙한 학자 배출
- 아직기(阿直岐): 근초고왕 때 태자의 스승이 되어 일본 유학발전에 공헌
- 왕인(王仁): 근구수왕 때 진손왕과 함께 논어 10권, 천자문 1권을 일본에 전파, 오오진주(應神王)의 신임을 얻어 태자의 스승이 됨
④ 신라: 화랑도, 원효의 화쟁사상, 설총의 화왕계 등이 유명
- 화랑도: 홍익인간과 유.불.도 사사의 조화
㉠ 세속오계(世俗五戒): 총효(忠孝)와 신의(信義), 용맹(勇猛)과 자비(慈悲) 등의 덕목이 강조됨
㉡ 최치원의 난랑비서(鸞郞碑序)와 진감선사(眞鑑禪師) 비명(碑銘): 우리 나라의 현묘한 도, 풍류 사상은 유교와 불교, 도교를 포함한 것으로서, 많은 사람을 교화 ▣ 난랑비서
"우리나라에는 현묘(玄妙)한 도(道)가 있으니 이를 풍류(風流)라 이른다. 그 교(敎)의 기원은 선사(仙史)에 자세히 실려 있다. 실로 이는 三敎를 포함하여 중생을 교화한다. 그리하여 그들이 집에 들어오면 孝道하고 나아가면 나라에 忠誠하는 것은 노사구(魯司寇; 孔子)의 主旨이며, 또 그 無爲의 일에 처하고 말없는 敎를 행하는 것은 주주사(周柱史; 老子)의 종지이며, 모든 악한 일을 하지 않고 착한 일만을 행함은 축건태자(竺乾太子;釋迦)의 교화이다"
▣ 세속오계
㉠ 사군이충(事君以忠) ㉡ 사친이효(事親以孝) ㉢ 교우이신(交友以信) ㉣ 임전무퇴(臨戰無退) ㉤ 살생유택(殺生有擇)
▣ 화랑 3덕:
㉠ 겸허(謙虛-위에 있을만한 사람이 겸손하여 아래에 있는 것),
㉡ 검소(儉素-부유하면서도 차림이 화려하지 않음),
㉢ 순후(淳厚-세력이 있으면서도 순박함)
- 원효(元曉)의 사상
㉠ 화쟁사상(和諍思想), 원융회통 사상(圓融會通 思想): 각 종파들의 다른 이론을 인정하면서도 좀 더 높은 차원에서 서로 통합할 수 있다는 이론을 정립
㉡ 환귀일심(還歸一心): 하나인 마음으로 돌아가서 모든 생명에게 이로움을 줌
㉢ 공헌: 불교의 대중화(설총-화왕계)
- 안민보국과 호국불교: 국가이념이 강화되었고 이를 위해 대승불교가 거국적 전파
나. 고려 시대의 윤리사상
① 불교 사상: 불교가 융성, 의천과 지눌의 교선 일치 노력
- 의천(義天 1055-1101, 문종의 넷째 아들) :
㉠ 교종과 선종의 조화를 강조하여 내외겸전(內外兼全)을 주장
㉡ 천태종 중흥의 시조
㉢ "교종-내적인 것을 버리고 외적인 것을 구하려는 경향, 선종-외부의 대상을 잊고 내적으로만 깨달음"
- 지눌(知訥 1158-1210) :
㉠ 조계종의 개조(曹溪宗의 開祖)
㉡ 정혜쌍수(淨慧雙修)와 돈오점수(頓悟漸修)라는 독창적인 불교사상 확립: "선(禪)은 부처의 마음이요, "교(敎)"는 부처의 말씀이다."
= 정혜쌍수: 마음이 고요하고 자취도 없는 본체인 定이나 깊은 지성의 작용인 慧도 같이 닦아야 함
= 돈오점수: 깨우침(悟)과 닦음(修)은 분리될 수 없다.
② 유교 사상
- 최승로(崔承老,927-989)의 상소문: 유교 경전의 내용 중에서 겸손함을 주로 하여 인재를 교육 국가 발전에 공헌하게 할 것을 상소
- 국자감과 사립교육기관(12사학)의 설립: 인재양성이 목적, 주로 유교경전 중심
- 성리학: 13세기 말경 안향과 백이정에 의해 도입, 원나라로부터 도입
③ 도교 사상
- 도관을 건립, 道士를 배정하여 팔관회(처음엔 불교행사) 거행
- 불교와의 조화
다. 조선 시대의 윤리 사상
① 유교 사상: 선초 억불 숭유정책의 영향
- 상감행실도(세종), 오륜행실도(정조): 조선왕조 윤리의 대표적 전형(親,義,別,序,信)
- 성리학(性理學): 理氣의 개념을 중심으로 우주와 인간의 생성과 구조를 해명하는 본체론과 이를 근로하여 인간의 본성과 지켜야 할 도리를 밝히려는 학문
㉠ 인성론의 발전: 사단찰정(四端七情論)
㉡ 주자(朱子): 理란 만물의 근원이 되는 이치로서 氣의 활동근거가 되는 것. 氣란 만물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사물을 낳은 도구
㉢ 이황(李滉): 이기이원론적 주리론
=이(理): 원리적 개념, 純善. 氣:현상적 개념, 可善可惡 =순선한 理는 존귀하고, 선악이 혼재한 氣는 비천함
=경(敬)의 실천: 氣에 내재한 善의 요소는 理의 純善으로 수렴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敬을 실천해야 함(경 - 엄숙하고 차분한 자세로 항상 옳은 일에 몰두) ▣ 고봉 기대승(高峰 奇大昇)의 理氣一物的 主氣論 : 이황의 이기호발성을 비판하고, 이기공발설(理氣共發說)을 주장, 4단과 7정은 '리'와 '기'로 분속 되지 않으니 불가분의 것이라고 주장하고 칠정기발(七情氣發)을 강조하여 주기론의 경향을 띰
▣ 이황의 이기호발 주리론(理氣互發說 主理論) : 인간의 심성을 해명함에 있어 절대적 가치와 상대적 가치를 지닌 '리'와 '기'를 분류, 인간의 심성은 언제나 이발기수(理發氣隨)와 기발이승(氣發理乘)의 이기호발로서만 설명 가능하다고 봄. 반드시 선한 4단은 '리'에서 발하고, 선하기도 악하기도 한 칠정은 기에서만 발한다.
▣ 이이의 기발이승일여설과 주기설(氣發理乘一途說과 主氣論) : 이황의 이기호발설에 대해 이발은 있을 수 없고 오직 기발이승의 한 길만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우주 만물의 근원은 기에 있으며, 모든 현상은 기가 움직이는데 따라 다르게 나타난 것이고, ''이'는 '기'의 작용에 내재하는 보편적인 원리에 지나지 않는다.
㉣ 이 이(李 珥): 이기 이원론적 주기론
= 이통기국(理通氣局): 이(理)는 보편적인 것, 기(氣)는 특수한 것으로, 理는 통(通)하고, 氣는 국한(局限) 됨.
= 인간을 포함한 사물의 특성이 제각기 다른 것은 氣의 국한성 때문, 곧 기국(氣局) 때문
= 理 의 측면에서 보면 인간과 사물은 동일, 이통(理通)
= 이통 기국의 이기론은 理와 氣의 양자가 서로 의존하여 보완관계를 유지/조화
= 이이는 불교나 도교 및 양명학에 대해서도 조예가 깊음
= 사회경장론(社會更張論): 정치와 경제, 교육과 국방 등에 대하여 전반적인 개혁을 도모하려는 경장론을 주장(실학 사상의 형성에 영향)
※ 조선후기(16-18)의 윤리 사상
② 실학사상(實學 思想):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의 시대적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근대 지향적인 개혁.
- 경세치용(經世致用): 조선후기의 민생안정과 사회 발전 등의 현실 문제를 농업혁신을 통해 해결하고자 함
- 이용후생(利用厚生): '이용'은 경제성장이고, '후생'은 사회 복지의 차원
㉠ 청의 발달된 문물을 배워 상공업의 진흥을 통한 경제성장과 사회복지에 노력
㉡ 정덕이용후생(正德利用厚生): 단순한 경제성장이 아닌 축적된 부의 균형적 배분이라는 사회복지에로의 전환
- 실사구시(實事求是): 사실에 근거하여 진리를 탐구하려는 객관적인 태도, 실증적인 연구자세로 역사, 지리, 문헌 등을 연구함
- 정약용(丁若鏞 1762-1863, 茶山): 실학의 집대성자
㉠ 인간의 심성: 선, 악으로 결정된 것이 아니라, 행위의 구체적인 실천을 통하여 결단을 촉구하는 자유의지
㉡ 덕(德): 인간의 본성에 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적인 행위 속에서 실천하면서 형성되는 것.
㉢ 인간의 존재: 현실성과 개체적 자율성에 근거하여 파악하려는 새로운 사상 전개.
㉣ 성기호설: 인간의 性은 구체적인 대상에 대하여 좋아하고 싫어하는 성향
㉤ 저서: 경세유표(涇世遺表), 목민심서(牧民心書)
- 그외의 실학사상가들
㉠ 지봉 이수광(芝峰 李 光 1563-1628): 실학의 선구자, 지봉유설(芝峰類說, 백과사전적)
㉡ 반꼐 유형원(磻溪 柳馨遠 1622-1673): 반계수록(磻溪隨錄) 저술, 중농사상에 입각한 균전제 주장, 세제, 녹봉제의 확립, 과거제 폐지, 천거제의 실시, 신분. 직업 등의 세습제 탈피, 기회균등의 구현, 관제, 학제의 전면적 개편
㉢ 성호 이 익(星湖 李 翼 1681-1763): 성호사설(星湖僿說) 저술, 천문, 지리, 역사 제도, 군사, 풍속, 문학 등에 대한 폭넓은 학식
※ 조선 말기(19세기)의 윤리 사상: 열강의 침략과 서구문물의 도입. 전통 윤리의 혼란
③ 위정척사(衛正斥邪): (바른 것을 지키고 거짓된 것을 배척)
- 올바른 가치관과 민족 정신으로 사악한 외세를 극복하자는 것
- 인간존중과 호국 정신 등을 정신적 기반으로 함
- 민족 주체성과 민족 의식의 표출
④ 동학사상(東學思想): 수운 최치원(水雲 崔濟愚 1824-1864)에 의해 제창
- 형성: 민족 고유의 경천 사상을 기본으로 유불도를 융합하여 형성
- 인내천(人乃天): 사람이 곧 한울
- 오심즉여심(吾心卽汝心): 내 마음이 곧 네 마음
- 사인여천(事人如天): 한울을 섬기듯이 사람을 섬겨라
- 시천주(侍天主): 사람은 누구나 한울을 모시고 있다.
- 인본주의, 사해평등주의 표방
⑤ 개화 사상: 개발하여 변화시키고, 새로운 것에 나아가 자립하며, 장점을 기르고 단점을 버린다는 복합적 의미, 서양 문물의 주체적 수용, 개량적 개화론은 동도 서기의 정신에 입각한 개화론, 변법적 개화론은 유교 사상에 대하여 부정적
3). 한국 윤리 사상의 현대적 의의
가. 한국사회의 문제점에 대한 원인
① 서구 문물들의 표피적 요소들만 수용한 결과
② 도덕적인 삶에 대한 관심과 노력 부족
③ 지도자들의 솔선 수범하는 자세 부족
④ 전통문화와 윤리에 대한 경시
나. 문제 해결을 위해 계승해야 할 전통 윤리 사상
① 인간 존중 사상의 계승: 인간의 존엄성 회복
② 조화정신을 계승: 이기주의 극복
③ 인간관계의 다양성에 대한 윤리규범의 계승 발전
④ 자연을 소중하게 생각: 생명외경 사상을 계승
⑤ 욕망과 욕심을 절제할 극기에 대한 윤리 계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