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음법칙(頭音法則)
특정한 음운 또는 음운군이 단어의 음절 초(특히 첫 음절의 초)에 오는 것을 기피하거나
그 위치에서 특정한 조건하에 변형, 제한되거나 음가를 잃고 실현되는 음운 현상을 말한다.
[ 한국어에서의 두음 법칙 ]
표준 한국어에서 발견할 수 있는 두음 법칙의 예로 'ㄹ'이나 'ㄴ'이 어두에서 조건에 따라
변형되거나 탈락되고 유성 파열음, 유성 마찰음이 무성음으로 실현되고 자음군이 어두에 올 수
없다는 것들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연구개 비음 [ŋ]은 음절초에 올 수가 없다.
공문서에서는 성씨 류도 '유'씨로 표기한다.
특히 'ㄹ'과 'ㄴ'의 두음 법칙은 한자음에서 두드러지는데 초성이 'ㄴ'이나 'ㄹ'인 한자음이 단어
초나 음절 초에 올 때(단어 중간의 음절에 두음 법칙이 적용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ㅇ'이나 'ㄴ'으로 바뀐다. 두음 법칙이 적용된 발음은 한글 표기에도 반영된다.
[ 두음 법칙이 관찰되는 조건 ]
ㄴ이나 ㄹ이 ㅇ으로 바뀌는 경우
한자음 '녀, 뇨, 뉴, 니', '랴, 려, 례, 료, 류, 리'가 단어 첫머리에 올 때 '여, 요, 유, 이', '야, 여,
예, 요, 유, 이'로 발음한다.
한자음 '라, 래, 로, 뢰, 루, 르'가 단어 첫머리에 올 때 '나, 내, 노, 뇌, 누, 느'로 발음한다.
모음이나 ㄴ 받침 뒤에 이어지는 '렬, 률'은 '열, 율'로 발음한다.
예를 들면 '림'(林)은 '임'으로, '로'(路)는 '노'로, '념'(念)은 '염'으로 발음하고,
'라렬'(羅列)은 '나열'로 발음한다. 이러한 두음 법칙은 외래어, 외국어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 두음 법칙이 관찰되는 방언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문화어와 한국어의 방언인 중국조선말과 재일어에서는
한자계 어휘에 대한 [r] [l] [nj] 자음의 두음 법칙을 찾아 볼 수 없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대한민국(남한)의 표준어와 대한민국 내의 방언에서만 이런 두음 법칙이
관찰된다. 하지만 이를 제외한 자음군, 유성 마찰음, 유성 파열음, 연구개 비음에 대한 나머지
두음 법칙은 공통적으로 관찰되는 현상이다.
다만 중세 한국어에서는 고유어의 일부 어휘와 동국정운식 한자음에서 이런 두음 법칙의
예외 사례가 발견되기도 한다.
[ 두음 법칙의 예외 규정 ]
법률이 개정되면서 두음법칙의 예외 사례를 찾아 볼 수 있게 되었다.
이 예외 규정은 성(姓氏)에 관한 것인데 신청절차를 거치면 李씨는(이→리씨)
林씨는 (임→림씨)柳씨는 (유→류씨)등으로 변경할 수가 있다.
첫댓글 料理(료리-요리) / 例外(례외-예외) / 勞動(로동-노동)
信念(신념) - 念願(염원) / 女傑(여걸) - 修女(수녀) / 流配(유배) - 交流(교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