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마음의 호숫가에서
 
 
 
카페 게시글
원담 명상록 대만불교에서 배워야 할 것
Wondam:원담 추천 0 조회 86 24.04.24 08:06 댓글 10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첫댓글 스님은 한국스님이신데
    왜 한국불교를 비하하는지요
    산마다 절이있고 인생을걸고 수행하는
    많은스님들이계시고 정말로 순수하고
    간절한마음으로 기도하는 수많은 불자들이있는
    한국불교가 뭐가 어때서요
    제가 비록 초기불교 공부하는중이지만
    가장 안타까운게 초기불교공부하면
    대단한것처럼 한국불교를 깔보는게
    가장 어이없었죠. 기도와사경을하든
    티벳불교수행을하든 남방의 위빠사나를하든
    그건 개인의근기와 인연에 따른것이지
    그기에 무슨 우월하고 열등이있나요

    글구 채식과육식은 같이하는게 건강에좋구요
    차문화는 중국은 물이더러워서 끓여먹여야되니
    차문화가 발달한거죠

    전 한국에 태어난게 자랑스럽읍니다
    저의 선업의 결과로 자유와 경제적번영도누리며
    또한 부처님의올바른 말씀을 접한거라 생각합니다






  • 24.04.24 12:19

    간화선이 최상승선이라 한껏 높이고 테라와다를 여전히 소승이라 폄하하는건 한국의 대승불교입니다.
    테라와다를 공부하는 사람들은 대승의 교리가 근본불교에서 많이 벗어나 있다 주장하는 것이지 깔보는게 아니지요.
    사실을 사실대로 말하지 않고 침묵하는 것은 부처님의 가르침이 아닙니다.
    님께서는 애써 한국불교의 현실과 부끄러운 면을 외면하는 것입니다.
    초기불교라고 공부하는 내용중에도 잘못 해석되고 있는 부분들이 적지 않습니다.
    사성제가 아닌 기승전3특상, 무상고무아를 부처님 가르침의 핵심으로 잘못 말하고 있는 미얀마의 교학(아비담마, 청정도론)과 수행법을 테라와다의 정통으로 여가고 있기 때문이죠.
    그러나 부처님 당시의 수행전통을 지켜가는 태국의 숲속전통인 담마윳이라는 걸출한 수행종단이 있습니다.
    공부하는 분들은 좁은 시각에서 벗어나 이런 넓은 안목을 가질려고 노력해야 하고 그래서 원담스님과 같은 분의 역할이 필요한 겁니다.
    근기와 인연도 부처님의 가르침을 제대로 알고 선택했다면 그 말씀이 맞지만 부처님께서 무엇을 가르쳤습니까? 질문하면 바른 답변을 할 수 있는 분이 얼마나 되겠습니까?
    한국불교의 가장 큰 문제는 출가자든 재가자든 불교를 너무 모른다는 것입니다.

  • @불목한 시작을 알수없는 기나긴 윤회기간동안
    저 또한 염불을하고 기도를하는등
    부처님의 올바른 가르침과는 떨어진 수행을한적도있겠죠
    하지만 그런 과정을거치면서 올바른
    부처님의 가르침을접하는 기회를 잡은거겠죠
    한국불교든 뭐든 다른 방식의 수행에
    왈가불가할게 뭐있나요
    자기근기에 맞는 수행을 열심히하면돼죠
    글구 님이 잘못아시는게
    논장은 부처님가르침의 최고봉입니다
    저를 지도하시는 미얀마스님은
    부처님가르침은 사성제가 전부라고애기하시고
    무상고무아는 위빠사나의 대상이라고 애기하시죠

    또한 논장에 나온대로 위빠사나수행으로
    위빠사나의대상을 무상고무아로봅니다
    태국에도 뛰어난수행가가있으면
    미얀마에도있으며 또한 한국 티벳에도
    존재합니다
    단지 자기의 근기와 인연에따라
    자기에 맞는 수행을할뿐

    불교를 모른다고 애기하시는데
    율장.경장.논장 보다 우월하고 수승한게
    올바른 마음이죠 올바른마음을 못내니
    율장으로 몸을 깨끗이하고 경장으로 방법을
    배우고 논장으로 마음을 깨끗이하는거 아닌가요
    불교라는게 결국은 마음작용을 공부하고
    그걸길들이고 훈련하는거잔아요




  • 24.04.24 14:16

    @그물에 걸리지않는 바람처럼 위빠사나의 대상은 무상고무아가 아닙니다. 위빠사나는 사성제를 닦는 것이고, 상카라를 관찰하는 것입니다. 상카라의 생멸관찰이 아닙니다. 정확히 경전에 근거한 말입니다.
    미얀마에서도 사성제를 당연히 얘기하죠.
    그렇지만 그것이 위빠사나수행과 연관해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습니까? 결론은 또 무상고무아입니다.
    저역시 미얀마 수행을 십수년이상 했습니다. 님이 말씀하는 내용을 몰라서 이런 얘기를 하는게 아닙니다.
    무상고무아는 경전에서 7가지 산냐중에 포함되는 3개의 산냐일 뿐이고 사성제수행중에 집착의 대상에서 결점을 보고 놓아버리는데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것은 진리가 아닙니다. 그것이 진리라면 사성제처럼 3특상이 아니라 3특제라고 말씀하셨겠죠.
    경전에는 3특상이든 3법인이든 이런 용어자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스승들의 말에 올인하고 듣지마세요.
    그분들도 당신들이 배운것만을 얘기할수 있을뿐입니다.
    공부를 하다보면 여러 스승들을 거칠 수밖에 없습니다. 이 말이 무얼 뜻하는지 아실 날이 올것입니다.


  • 전 3특상이니 3특제니하는말을 들어본적이없으며
    위빠사나대상이 샹카라라는 애기도 처음으로듣는데
    어떤근거로 애기하시는지
    위빠사나가 근본적인 정신과물질이 생멸하는걸
    직접보는거잔아요
    위빠사나가 한자로하면 관 이잔아요
    생멸하는 정신과물질을 무상고무아로 직접보는게
    위빠사나수행 아닌가요
    여기서 가장 중여한게 직접본다는겁니다
    어디서 수행하고 공부하셨는지모르지만
    저는 처음 듣는애기를하시네요

    저는 지도하시는 스님말보다 우선하는게
    삼장입니다
    또한 지도하시는 스님은 삼장에근거해서 애기하시고 직접 본대로만 애기하시지
    삼장에 벗어나는 말을하신적이 한번도없읍니다





  • 24.04.24 14:44

    원담 스님 카페에서 이러는건 예의가 아닌것 같습니다. 원담스님 말씀에 전적으로 동의하는 입장에서 댓글을 달다보니 여기까지 왔습니다.
    대만의 불광산사 방향이 맞습니다
    십수년 수행에서의 결론은 5계를 잘 지키는 것이 가장 큰 수행이라는 것입니다.
    놓아버려라..
    재가자들에게는 먼나라 얘기입니다.
    태국의 큰 스님들께 법문을 청하면 계를 잘 지키라는 말씀만 하신다고 들었습니다.
    님께서 아는 미얀마 위빳사나 수행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제대로 해석해 내고 있는지 의심해봐야 합니다.
    그것이 깔라마경의 가르침 아닌가요?
    https://www.dhammatalks.org/https://
    담마윳에서 출가수행하신 아잔 타니사로 스님 사이트입니다.
    미국 샌디에이고의 Metta forest monastery에서 법을 펼치고 있습니다
    안목을 넓히는데 참고해보시라고 알려드립니다.
    선택은 본인의 몫이고, 선택에는 결과가 따릅니다. 이것이 부처님이 깨달으신 연기법이죠.

  • @불목한 원담스님카페에서 이런애기하니
    저도 실례인것같네요
    글구 5계를 지키는건 불교수행의 출발점아닌가요
    포살일에는 8계를지키고
    율장을보면 계에대한 가르침이 잘 니와있죠
    저는 위나야삐따까도 구매해서 다읽었읍니다
    그래서 스님들이 계만 지켜도 공경합니다
    한국스님중에 젊을때 욕정을 이기려
    수없는 밤을 목탁을치며 계를지키려 노력했다고
    애기하는걸 본적있죠
    이처럼 한국스님들도 휼륭합니다
    단지 내가 공부하고 수행하는법하고 맞지않을뿐





  • 24.05.08 16:25

    @불목한 불목한님 바람처럼님, 두분 다 초기불교 수행하시는 분들같아서 알려드려요. 제가 진안 담마코리아 10일 코스에 당첨됐어요. 신청자가 많아서 추첨하거든요.
    너무 기쁩니다. 오랜세월 집에서 부모님과 고양이 돌보며 혼자 수행하느라 잘 안되고...외롭고 힘들었거든요.
    6월 말에는 제따나와 선원 초심자 코스도 가볼껀데요.
    초기불교 관련 좋은 코스 있으면 소개부탁드립니다.
    근데 춘천 제따나와 선원은 규모가 어마어마 하던데 무슨 돈으로 건물 지었는지 궁금 ㅎ
    봉화 축서사는 무여스님이 부잣집 외아들이라 사재로 지었다고 들었는데요.. 신축절인데도 고찰 못지않게 정교하고 아름다운 절이죠.

  • 24.05.08 17:03

    @양순 댓글에서 밝혔듯이 초기불교 공부도 길을 찾기가 만만치 않습니다.
    결국은 본인의 선택이지요.
    영어가 되신다면 제 댓글 법문사이트 들어가 보시길~

  • 24.04.25 09:25

    혼자 있을 때는 좋은 생각을 하자.

    둘이 있을 때는 좋은 대화를 하자.

    셋 이상 있을 때는 좋은 일을 하자.

    대만 불광사가 시민운동으로 펼치는 삼호三好운동이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