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원과 만나는 피천득의 ‘이 순간’
ㅡ내 삶의 시 한 편
✒ 鄭 木 日
이 순간 내가
별들을 쳐다본다는 것은
그 얼마나 화려한 사실인가.
오래지 않아
내 귀가 흙이 된다 하더라도
이 순간 내가
제9교향곡을 듣는다는 것은
그 얼마나 찬란한 사실인가.
그들이 나를 잊고
내 기억 속에서 그들이 없어진다 하더라도
이 순간 내가
친구들과 웃고 이야기한다는 것은
그 얼마나 즐거운 사실인가.
두뇌가 기능을 멈추고
내 손이 썩어 가는 때가 오더라도
이 순간 내가
마음 내키는 대로 글을 쓰고 있다는 것은
허무도 어찌하지 못할 사실이다.
- 피천득 선생은 한국 현대수필 1세대를 대표하는 수필가이자 시인이고 번역 문학가였다. 평소에 시인으로 불리길 좋아하셨던 분이셨다. 금아 선생 수필은 탁월한 은유법을 보이고, 짧고 운율이 흐른다는 점에서 시적인 문장을 구사하고 있다. 금아 선생 수필은 시의 산문화(散文化)라고 할 수 있다. 5매도 안 되는 짧은 분량에 간결하고 함축성 있는 문장은 고결하고 향기로운 삶과 인격에서 우러난 인생의 발견과 깨달음의 꽃이다. 금아 선생의 문장에서 돋보이는 요소는 시적인 운율, 비유, 절제, 함축, 아름다움이 아닐까 한다.
피천득 선생과 인연은 하늘이 주신 은혜로 생각한다. 1975년 <월간문학> 1976년 <현대문학>지를 통해 수필부문 최초 등단 작가가 되어 10년이 넘었지만 선생과 만날 기회가 없었다. 지방에서 묻혀 지내는 무명의 수필가를 기억하실 까닭도 없을 테고, 한 번 찾아뵈올 용기도 없었다.
<현대문학>지를 나온 작가들의 모임인 ‘현대문학수필작가회’에서 동인수필집을 내고 출판기념회를 개최하면서 수필모임엔 한 번도 참석하신 일이 없는 선생께 초대장을 보내드렸다. 참석하시리라곤 생각도 하지 못했는데, 뜻밖에 참석해 주셨다. 선생께서 “이런 자리에 참석한 일이 없는데, 정목일 수필가를 만나고 싶어 왔다.”고 하셔서, 얼마나 놀랐는지 모른다. 일주일쯤 지나서, 창원에서 서울로 올라와 금아 선생 댁을 방문하였다. 거실에서 금아 선생께 세 번 절을 올렸다. 선생께서 무명 수필가 이름을 불러주시고 격려해 주신 데 대한 무한한 감사와 함께 마음으로 스승으로 모시고 싶다는 의사를 표시한 것이다. 내성적인 성격이었기에 먼저 선생께서 이름을 불러주시지 않았더라면 용기를 내어 댁을 방문할 용기를 내지 못했을 것이다.
거실엔 서양과 동양의 대시인들의 사진이 붙여져 있고, 사진 밑엔 말린 장미 송이 하나씩을 테이프로 붙여 놓았다. 고결한 영혼을 노래했던 대시인과 영혼 교감을 하는 모습을 보여 주셨다. 내 손을 이끌어 침실에 안내하시고 마치 소년처럼 얘기를 하셨다. 생전에 좋아하시던 영국 영화배우 잉그릿드 버그만 사진들이 여러 장 붙어 있고, 침대 옆 의자 위 커다란 여자 인형이 놓여 있었다. 이 인형은 고명딸 서영이가 갖고 놀던 것인데, 딸이 시집간 이후로 ‘난영’이란 이름을 붙여 수양딸로 삼아 머리도 빗겨주고 계절마다 옷을 갈아입히며 아침저녁으로 인사말을 나누면서 지낸다고 웃으셨다. 나도 ‘서영이와 난영이’라는 선생의 수필을 읽었으므로 난영이 손을 만지며 인사를 나누었다.
일 년에 서너 번 정도이지만 금아 선생을 방문하곤 했다. 봄철이면 하동 쌍계사 우전차를 구해 보내드리면 전화로 “잘 받았다”라고 말씀하시고, 댁에 가면 영국 홍차와 자스민차를 선물로 주셨다. 서울에서 수필교실을 열고 일주일에 한 번 강의를 한다고 말씀드렸더니, 제자들을 데리고 오라고 하셨다. 몇 차례 제자를 데리고 댁으로 인사드리러 갔다. 그때마다 선생께선 당신의 책에다 서명을 하셔서 제자들에게 선물해 주시곤 했다.
선생이 돌아가시고 난 뒤, 불현듯 ‘이 순간’을 암송해보곤 한다. 이 시를 외워보면 선생과 함께 별을 보고 있는 듯싶다. 내가 별을 바라보는 것은 얼마나 기적 같은 순간인가. 하나의 별이 내 눈동자에 들어오기까지 몇 광년을 걸쳐 달려와 비로소 지금 이 순간에 만나고 있다. 나도 그 별과 만나기 위해 태어나 지금 이 순간을 기다렸던 것인가.
피천득 선생의 ‘이 순간’을 외면서 깨닫곤 한다. 나는 늘 평범하고 덤덤한 오늘에 불만을 토하고, 빛나고 향기로운 내일만을 꿈꾸면서 헛되이 보낸 시간의 낭비자였다. 언제나 영원에 눈이 어두워, 찬란한 미래만을 꿈꾸면서 살아온 못난이가 아니었던가.
지금 이 순간의 진실과 깨달음으로 최선을 다하는 것이 영원을 만나는 길임을 모르고 허송세월을 보내고 말았다. 이 순간 삶의 의미와 진실을 찾는 일이 인생을 꽃피우는 일인 줄 모르고 지냈다.
피천득 선생 시 ‘이 순간’에서 글을 쓰는 나에게 가장 위로를 주는 것은 ‘이 순간 내가/ 마음 내키는 대로 글을 쓰고 있다는 것은/ 허무도 어찌하지 못할 사실이다.’는 구절이다.
‘이 순간’의 발견, 자각과 노력은 인생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는 깨달음이 아닐 수 없다.
- 정목일 수필가 / 현대수필가협회 이사장
첫댓글 하나의 별이 내 눈동자에 들어오기까지 몇 광년을 걸쳐 달려와 비로소 지금 이 순간에 만나고 있다. 나도 그 별과 만나기 위해 태어나 지금 이 순간을 기다렸던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