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우리역사문화연구모임(역사문)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1. 나 황산
    2. 미소진
    3. 고니24
    4. logos
    5. 다니엘
    1. 김용만
    2. 궁금이
    3. 정문수
    4. 나이론
    5. 장암
  • 가입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엄길주
    2. 정문수
    3. 여름달
    4. 들꽃언덕
    5. chomice
    1. 길뫼
    2. 미소진
    3. 빈들에 서보라
    4. sep05
    5. 영원소년
 
 
카페 게시글
신라,가야토론방 법흥왕이 모씨라는 기록이 삼국사기에 있는데..
聖君 仁宗大王 추천 0 조회 426 08.11.29 22:51 댓글 6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08.11.30 03:25

    첫댓글 음.. 오해할 만한 내용입니다. 책부원구의 내용을 인용해 법흥왕이 본디 모씨였다가 김씨로 바꿨다고 말하긴 무리가 있습니다. 그저 책부원구에서는 법흥왕의 성씨가 '모' 이고 이름이 '진' 이라는 한다는 이야기만 있고, 성을 나중에 바꿨느니 마느니 하는 이야기는 없다고 알고 있습니다. 성을 바꿨다는 이야기는 아마 인종대왕님이 읽으신 그 책의 저자가 갖다 붙인 말이겠지요. / 모씨라 할 때에는 모용선비의 모용씨와 어떻게든 연관을 시키려는 것 같은데, 전 법흥왕 모씨설에 회의적입니다.

  • 08.12.01 19:14

    저는 법흥왕의 이름이 '모진' 이었다고 봅니다. 이 이름의 진실성은 당대의 비석인 '울진 봉평비' 에 의해 이미 입증되었으니까요. 울진봉평비에서는 '모즉(직)지 매금왕' 이라는 표현이 등장하는데, 이 사람이 법흥왕입니다. 이 비석에는 사부지 갈문왕 등 6부의 대표자나 주요 신료의 이름 뒤에 '지'(智) 가 붙어다니는 것으로 보아, '지' 는 존칭이나 어떤 의미를 갖는 단어로 볼 수 있으므로 여기서 법흥왕의 이름은 '모즉(모직)' 으로 표시했다고 보아야 합니다. 모즉(모직)과 모진은 발음이 매우 비슷하여 신뢰할 수 있습니다.

  • 08.12.01 09:20

    법흥왕의 이름은 모진(慕珍)입니다. 법흥왕의 성씨가 모씨라는 것은 황당한 이야기입니다. 법흥왕의 계보를 모르지도 않으면서 왜 이런 말들이 나오는지 모르겠습니다. 0. 모진(법흥) - 1. 지도로(지증왕) - 2. 습보 - (3. 보해 )- 4. 내물 - 5. 말구 - (6. 말흔) - 7. 구도 - 8. 욱보 - 9. 수류 - 10. 아도 - 11. 세한 - 12. 알지 - (13. 호공)의 부친들의 계보입니다. 괄호( )로 한 부분은 남당 유고로 정리한 부분입니다.

  • 08.12.01 19:13

    신라인이 스스로 만든 울진봉평비에 법흥왕을 啄部 牟卽支 寐錦王 이라고 기록하였으므로 모씨성과는 아무관련도 없다고 보입니다

  • 08.12.01 19:51

    울진봉평비에 모즉지매금왕/사부지갈문왕이 나오니, 만약 법흥왕이 모씨라면 사부지 갈문왕은 사씨가 되어야겠지만 그럴 리가 없지요. 어떤 분은 모마리질지(박제상)도 모씨라고 주장하지만. 책부원귀(? 직접 확인은 아직...)에 실린 기록은, 한어가 서툴었던 신라인에 의해 와전된 것에 불과하다고 생각합니다.

  • 08.12.01 19:59

    그렇습니다. 같은 논리라면, 영일냉수리비에 나오는 지도로갈문왕(후에 지도로왕(지증왕)이 됨)은 지씨라는 이야기가 됩니다. 그런데 지도로갈문왕(후일 지증왕)은 모즉지매금왕(법흥왕)의 아비거든요. 아비는 지씨인데, 아들은 모씨라? 거기에 동생 사부지갈문왕은 사씨? 좀 이상하지요. ^^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