띄어쓰기는 배우기 어렵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있다. 그렇지만 조금만 관심을 기울이면 띄어쓰기도 그리 어렵지 않게 배울 수가 있다.
① ㄱ. 주머니에 천 원밖에 없어.
ㄴ. 대문 밖에 누가 온 것 같아.
①의 '밖에'는 문법적으로는 조사인 경우와 명사 '밖'에 조사 '에' 가 결합한 경우로 나누어진다. 조사라면 앞말과 붙여 쓰는 것이 옳고 명사와 조사의 결합형이라면 띄어 써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문법적인 설명은 문법 지식이 많지 않은 일반인들에게는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것보다는 뒤에 부정을 나타내는 말이 오면 붙여 쓰고 그렇지 않으면 띄어 쓴다는 설명이 훨씬 효과적이다.
② ㄱ. 공부밖에 모르는 학생
ㄴ. 하나밖에 남지 않았다.
ㄷ. 나를 알아주는 사람은 너밖에 없다.
다음의 '만' 또한 조사와 의존 명사로 나누어진다. ③은 조사로 쓰인 경우고 ④는 의존 명사로 쓰인 경우다.
③ ㄱ. 이 사실은 너 혼자만 알고 있어.
ㄴ. 형만 한 아우 없다더니 딱 맞는 말이야.
④ ㄱ. 집 떠난 지 삼 년 만에 돌아온 동생
ㄴ. 이게 얼마 만이야.
둘을 구분하기 위해서 ④의 '만'은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고 주로 '○○만에, ○○만이다/만이야'의 꼴로 쓰인다는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준을 적용하면 혼동하기 쉬운 예들도 어렵지 않게 구분할 수 있다.
⑤ ㄱ. 내게 며칠만 말미를 주게.
ㄴ. 며칠 만에 그 일을 해낼 수 있을까?
ㄷ. 세 시간만 지나면 새해가 밝는다.
여기서 한 가지 주의할 점은 '오랜만에 만난 친구'는 '오랜 만에'로 띄어 쓰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오랜만'은 '오래간만'의 준말이므로 '오랜 만'으로 띄어 쓰지 않는다.
⑥ 복합적 단어와 이름(호칭)
- 둘 이상의 단어가 모여 의미를 이룬 경우는 띄어 쓴다.
사례) 모음 조화(母音調和), 탄소 동화 작용, 급성 복막염, 여름 채소 가꾸기, 학급 문고 설치
- 성과 이름, 성과 호 등은 붙여 쓰고, 이에 덧붙는 호칭어, 관직명은 띄어 쓴다.
사례) 신춘묵, 서화담, 채영신 씨, 최치원 선생. 박동식 박사, 강 선생, 교감 정영수 선생님
- 성명 이외의 고유 명사는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사례) 대동 고등학교, 동국 대학교 사범 대학, 학술원 부설 국어 연구소, 국가 안전 보장 회의, 의 과 대학 부속 병원, 서울 대공원 관리 사업소,
⑦ 보조 용언
-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지만, 붙여 쓰는 것도 허용한다.
사례) 내 힘으로 막아 낸다, 비가 올 듯한데, 그 일은 할 만하여, 고난을 겪어 왔다,
* 원칙적 사례 : 잘 아는 척하지만, 이 붓으로 써 보니까
* 허용적 사례 : 하지못한다, 살게된다, 꺼져간다
- 본용언이 합성어인 경우, 본용언과 보조 용언은 반드시 띄어 쓴다.
사례) 덤벼들어 보아라, 떠내려가 버렸다, 물고 늘어진다 하더라도, 돌아앉지 말라, 파고들지 않아도, 솟아오르지 못한다.
⑧ 단어의 연속과 연결
-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때는 붙여 쓴다.
사례) 그때 그곳, 좀더 큰것, 한잎 두잎
(단음절이라도 관형어와 관형어, 부사와 관형어는 띄어 쓴다: 훨씬 더 큰 새 집)
(단음절어 부사라도 의미적 유형이 다르면 띄어 쓴다: 더 못 간다, 꽤 안 온다)
- 두 말을 이어 주거나 연결할 때 쓰는 말은 띄어 쓴다.
사례) 국장 겸 과장, 열 내지 스물, 청군 대 백군, 이사장 및 이사들, 책상, 걸상 등이 있다.
부산, 대구, 광주 등지에서
⑨ 단위명사
- 단위를 나타내는 경우는 뛰어 쓴다.
사례) 차 한 대, 옷 한 벌, 집 한 채, 풀 한 포기, 열 길 물 속, 논 두 마지기
- 단, 명사가 순서를 나타내거나 숫자와 어울려 쓰이는 경우에는 붙여 쓴다.
사례) 제일과, 삼학년, 두시 삼십분 오초, 42마일, 16동 105호, 1999년 11월 25일
- 수를 적을 때는 ‘만’ 단위로 띄어 쓴다.
사례) 12억 3456만 7898, 십이억 삼천사백오십육만 칠천팔백구십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