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5000억 들인 재난통신망 또 무용지물
[극한호우 피해]
지자체-경찰-소방 대응 공조 안돼
작년 이태원 참사때도 역할 못해
지방자치단체와 경찰, 소방 등이 재난 상황을 신속하게 공유하기 위해 예산 1조5000억 원을 들여 구축한 ‘재난안전통신망’이 지난해 이태원 핼러윈 참사에 이어 이번 충북 청주시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 참사에서도 제 역할을 못 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동아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참사 당일인 15일 지하차도 침수 직전 충북도, 청주시, 경찰에 미호강 범람 위험을 알리는 신고와 보고가 24차례 접수됐다. 특히 사고 발생 약 40분 전인 오전 7시 58분에는 “궁평 지하차도를 통제해 달라”는 112 신고가 들어왔다.
경찰은 이 신고 내용을 즉시 청주시 주관 재난안전통신망에 전달했다. 이 통신망에 참여한 충북도, 청주시, 흥덕구청, 관할 경찰서와 소방서는 따로 연락을 주고받지 않아도 통신망을 통해 신고 내용을 인지할 수 있었지만, 어느 한 곳도 지하차도를 통제하지 않았다.
충북도는 당시 긴박한 상황을 전달받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충북도 관계자는 “재난안전통신망을 통해 지하차도 통제 요청을 전달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행정안전부는 “청주시 주관 재난안전통신망(청주재난상황01) 통화그룹에 충북도청도 참여자로 포함돼 있어 경찰의 상황 전파를 충북도청이 직접 수신할 수 있었다”고 반박했다.
재난안전통신망은 2014년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만들어져 2021년 가동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지난해 이태원 참사 당시 경찰은 경찰대로, 소방은 소방대로 자체 통신망으로 상황을 전달하면서 인파 통제와 구조대·구급차 진입 등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았다. 행안부에서도 “버튼만 누르면 유관 기관 간 통화를 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고 있는데 작동이 잘 안 됐다”는 자성이 나왔다.
이후 정부는 올 1월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을 발표하며 재난안전통신망 활용 강화를 주요 과제로 포함시켰다. 또 행안부는 월 1회 관계 기관 합동 재난안전통신망 활용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소방 관계자는 “재난안전통신망 사용을 몸에 익히기 위해 훈련 체계 전반이 보강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전혜진 기자, 청주=장기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