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치는 소년
김종삼
내용 없는 아름다움처럼
가난한 아니에게 온
서양 나라에서 온
아름다운 크리스마스카드처럼
어린 양(羊)들의 등성이에 반짝이는
진눈깨비처럼
(시집 『십이음계』, 1969)
[작품해설]
김종삼은 고도의 비약에 의한 어구의 연결과 시어가 울리는 음향의 효과를 살린 초현실주의 기법을 원용하여, 동안(童眼)에 비친 이미지로써 순수 지향의 의식을 펼쳐 보인 시인이다. 초기에는 시행의 단절, 난삽한 한자어의 배치, 의미의 비약 등을 활용하여 기법의 실험성을 드러내다가, 후기에는 점차 평이한 진술을 바탕으로 인간의 체험을 드러내고 행간의 여운을 통하여 감추어진 의미를 암시하는 경향을 보여 준다.
이 시는 그의 초기 대표작으로 그러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 쉽게 이해되지 않는 면이 있다. ‘-처럼’으로 묶인 세 개의 연에서 그 비교 대상이 생략됨으로써 완전한 문장을 갖추지 못한, 그야말로 ‘쓰다가 그만 둔 시’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단편적으로 끊어진 그 시상들을 ‘북 치는 소년’이라는 제목을 중심으로 엮어 보면, 시인이 의도하고 있는 통일된 시상을 찾아낼 수 있다. 다시 말해, 각 연의 ‘-처럼’위에 ‘북 치는 소년’을 덧붙이면, 전체의 맥락이 완전하게 살아나 독자의 가슴속에서 여운으로 완결됨을 알 수 있다. 이 시는 서양에서 우리나라의 어느 가난한 아이에게 아름다운 크리스마스카드가 배달된다는 상황을 전제로 하고 있다. 김종삼 시에 등장하는 아이들은 대체로 혼자이고 가난하며 비극적 존재로 나타난다. 이 시에서도 예외는 아니어서 2연에서 알 수 있듯이 그는 가난한 아이로 비애를 간직하고 있다. 그러므로 6.25의 상처가 아물지 않은 상황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전쟁고아로도 볼 수 있다.
성탄절이 가까운 어느 날, 그 아이는 서양 소년이 북을 치고 있는 그림의 아름다운 크리스마스카드를 받는다. 그러나 카드 속에 담겨 있는 ‘북 치는 소년’ ⸱ ‘양떼’ ⸱ ‘진눈깨비’ 등의 이국적 풍광(風光)들은 그에게 막연한 아름다움의 무의미한 존재일 뿐이다. 아이는 그 환상적인 풍경에 도위되기도 하지만, 그는 곧 그것이 다만 화려한 장식에 불과함, ‘내용 없는 아름다움’을 깨닫는다.
이렇듯 이 시는 눈에 비친 사상(事象)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고 있는 시가 아니라, 그 사상 위에 배음(背音)으로 깔려 있는 이미지에 의해서 조형된 시이다. 그러므로 이 시에서는 어떤 사상이나 의미 내용을 찾으려 해서는 안 된다. 다만 각 시어들이 구축해 놓은 아름다움 그 자체만을 느낄 수 있으면 충분할 것이다.
[작가소개]
김종삼(金宗三)
1921년 황해도 은율 출생
일본 코요시마(豊島) 상업학교 졸업
1954년 『현대예술』에 시 「돌각담」 발표하며 등단
1957년 전봉건, 김광림과 함께 3인 공동 시집 『전쟁과 음악과 희망과』 발간
1971년 「민간인」으로 『현대시학』 작품상 수상
1978년 제10회 한국시인협회상 수상
1984년 사망
시집 : 『전쟁과 음악과 희망과』(공저, 1957), 『본적지』(김광림⸱문덕수와 공저, 1968), 『십이음계』(1969), 『시인학교』(1977), 『북치는 소년』(1979), 『누군가 나에게 물었다』(1982), 『큰 소리로 살아있다 외쳐라』(1984), 『김종삼전집』(1989), 『그리운 안니 로니』(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