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24년 5월10일 서울시 종로구 광화문역 인근에 위치한 광화문 교보문고에서 최재천 교수의 강연이 진행됐다. 그는 이날 강연을 통해서 기후변화와 다양성에 대해서 이야기하며 코로나19와 박쥐의 온대 분포, 생물 다양성 감소와 공장식 사육 등 <최재천의 곤충 사회>와 <생태적 전환, 글기로운 지구생활을 위하여>에서 다룬 내용이 많이 나왔다. 한편 최재천 교수는 최근 출간한 <숙론>을 통해서 우리 시대의 지성인 최재천 교수가 9년간 집필해 마침내 완성한 역작 《숙론》을 출간한다. 갈등과 분열을 거듭하는 시대에 우리는 어떻게 손잡을 수 있을까? 최재천 교수가 찾은 해법은 ‘숙론(熟論, Discourse)’이다. 숙론이란 상대를 궁지로 몰아넣는 말싸움이 아니라 서로의 생각이 왜 다른지 궁리하는 것, 어떤 문제에 대해 함께 숙고하고 충분히 의논해 좋은 결론에 다가가는 것이다.
이 책은 우리 사회의 난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저자 자신이 직접 숙론을 이끌었던 사례를 담았다. 대학교수로서 줄기차게 시도했던 토론 수업, 생태학자로서 수족관에 갇힌 돌고래‘제돌이’를 바다로 풀어주기까지의 과정, 위원장으로서 국가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회의를 주재한 경험까지 생생하게 들려준다. 그리고 이윽고 두들겨 패기보다 두루 살피는 대화가 불통을 소통으로 바꾼다고 힘주어 이야기한다.
지금 여기 우리에게 가장 부족한 것이자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마주 앉아 제대로 하는 대화다. 이기기보다 이해하는 대화다. 일방 지시가 아니라 쌍방 대화다. 자기 목소리만 높이기보다 낮은 목소리를 경청하는 대화다. 모욕하기보다 모색하는 대화다. 굴복시키기보다 회복하려는 대화다. 무너뜨리기보다 무릅쓰고 합의하려 애쓰는 대화다. 천둥 치듯 윽박지르기보다 찻잎처럼 우러나는 대화다. 그런 대화들의 합이 숙론이다.
최재천 교수는 말한다. 소통은 노력의 산물이라고. “상대를 제압하려는 토론을 넘어 서로 존중하고 대화하는 숙론 문화가 정착된다면, 우리나라는 전 세계가 존경하는 진정한 선진국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기대한다. 이념·젠더·세대·계층·환경 등 여러 분야에서 격화하는 갈등이 줄어든 합리적 사회가 도래할 날을 고대하며, 대한민국 국민과 국회의원 300명에게 《숙론》을 권한다.
바야흐로 성난 사회다.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다양한 의견이 소셜미디어와 인터넷에 오르고, 정보 제공자와 수용자가 양방향으로 소통하는 상황은 분명 환영할 일이다. 그러나 소셜미디어 알고리즘이 사용자의 정치 성향과 취향에 맞는 정보만 선별해 보여주고, 같은 견해를 지닌 사용자들끼리 뭉치며 이외의 견해를 배제하는 불통 문제가 전면에 등장했다. 아울러 우리 사회는 이념·젠더·세대·계층·환경 등과 관련해 전례 없이 다양한 종류의 갈등과 대립이 일어나고 있다. “갈등이 수면 아래 가라앉기보다 세상에 드러나는 현상”은 그만큼 의견 표현이 자유로운 사회가 되었다는 방증이지만, 이 갈등을 어떻게 슬기롭게 극복하고 서로 협력해나갈지는 우리에게 주어진 시급하고 중대한 과제다.
21세기에는 ‘다양한 분야를 자유롭게 넘나들고 연결하며 새로운 것을 창조해내는 통합적 지식’이 필요함을 역설하며 ‘통섭(統攝, Consilience)’이란 화두를 던졌던 최재천 교수. 그가 지금 우리 사회의 갈등을 극복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제대로 된 대화라고 말하며, 이를 가능하게 만들 초석을 다지고자 9년간 공글린 책 《숙론》을 출간한다. 이 책에서 최재천 교수는 우리 사회의 현안을 짚으며, 상충하는 견해가 어떻게 대립을 넘어 진정한 소통에 이를 수 있을지를 논한다. 교육자로서, 생태학자로서, 정부나 사회단체가 만든 위원회의 위원장으로서 경험한 문제 해결법과 합의 도출법, 소통법을 총망라해 풀어놓는다.
1980년대 하버드대에서 공부하고 수업 조교를 맡았을 때부터 ‘학생 중심 토론’ 수업을 체득하고 이끌었던 최재천 교수는 1994년 서울대에 부임한 이래 우리 사회와 교육 현장에 그것을 적용하려 심혈을 기울였다. 특히 2012~2013년, 수족관 쇼를 하던 돌고래 ‘제돌이’를 포함해 다섯 마리를 자연으로 돌려보내는 ‘제돌이야생방류시민위원회’의 위원장직을 수행하며,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과 숙론을 통해 성공적 야생 방류를 이끌기도 했다. 이렇듯 그는 반세기 가까이 교단과 사회에서 줄기차게 숙론 모임을 이끌어오며 한 가지 결론에 다다랐다. 세계 경제 10위권에 올라선 우리 사회가 다시 도약하고 내적으로 성숙하려면, 과학 기술뿐 아니라 무엇보다 숙론 문화가 필요하다고. 그러면서〈100분 토론〉 〈백지연의 끝장토론〉 등에서 대중이 익히 봐왔던 토론의 방식과 목적에 의문을 던진다. 토론이 서로 의견을 주고받으며 자기 생각을 가다듬는 행위가 아니라 “기어코 상대를 제압”하려는 행위로 굳어졌다는 것. 이에 토론을 넘어선 숙론을 주창한다.
숙론(熟論, Discourse)이란 ‘누가 옳은가(Who is right?)’가 아니라 ‘무엇이 옳은가(What is right?)’를 찾는 과정이다. 어떤 문제에 대해 함께 숙고하고 충분히 의논해 좋은 결론에 다가가는 행위다. 《최재천의 공부》에서‘어떻게 배우며 살 것인가’라는 질문을 던진 그는, 《숙론》에서 ‘어떻게 마주 앉아 대화할 것인가’를 이야기하며 “상대를 제압하려는 토론을 넘어 서로 존중하며 대화하는 숙론 문화가 정착된다면, 우리나라는 전 세계가 존경하는 진정한 선진국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기대한다. 그가 제시하는 숙론은 갈등에 빠진 우리 사회뿐 아니라 다른 견해를 가진 상대와 대화해야 하는 우리네 일상에 소중한 성찰을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