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바바, 작년 10~12월 매출액 32% 급증한 53억 달러2016-01-29 ㅣ조회수 65
- 대륙
- 아시아
- | 국가
- 중국
- 업종
- 서비스
- | 품목
- IT(S/W, 전자상거래 등)
- 태그
- 중국, 전자상거래, 알리바바, 매출액
- 출처
-
알리바바, 작년 10~12월 매출액 32% 급증한 53억 달러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는 28일(현지시간) 2015년 10~12월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32% 급증한 345억3000만 위안(약 6조3000억원 53억 달러)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10~12월 알리바바의 매출액은 애널리스트의 평균 예상치 333억3000만 위안으로 웃도는 것이다.
알리바바는 고객이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결제하도록 판촉을 진행하면서 관련 매출액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192%나 급증했다.
대니얼 장 알리바바 최고경영자(CEO)는 "우리는 각국에서 상품을 조달하고 농촌지역 매출을 늘리며 국내 주요도시에 거점을 구축하는 전략적인 중점을 계속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알리바바는 10~12월 일반 주주에 돌아갈 순익이 작년 동기보다 111% 늘어난 125억 위안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알리바바의 분기 총거래액(GMV)는 23% 증가한 9640억 위안으로 집계됐다.
알리바바의 실적 호조 발표로 주가는 뉴욕 증시 개장 전 거래에서 4% 이상 급등했다.
2015년 말 현재 중국 내 알리바바의 활동적인 고객은 4억700만명에 이르렀다.
항저우=신화/뉴시스
올해 중국 경제성장률 6.4% 전망…채무 부담2016-01-29 ㅣ조회수 14
- 대륙
- 아시아
- | 국가
- 중국
- 업종
- 전체
- | 품목
- 전체
- 태그
- 중국, 경제성장률, 채무부담
- 출처
-
올해 중국 경제성장률 6.4% 전망…채무 부담
2016년 중국 경제는 2008년 금융위기 이래 국내기업이 차입하면서 불어난 채무의 압축 등이 부담으로 작용하면서 6.4% 성장에 머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일본 닛케이 경제연구센터는 28일 중국과 동남아시아 주요 4개국의 경제성장률에 관한 '아시아 경제 단기예측' 보고서를 통해 둔화세를 보여온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작년 6.9%보다 0.5% 포인트 낮춰 예상했다.
보고서는 중국기업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채무 잔고가 2015년 2분기에 160%에 달해 150% 정도이던 일본의 거품 경제 시기를 웃도는 수준까지 채무가 팽창했다고 지적했다.
경기가 악화하면서 채무를 정리하고 압축할 필요가 있으며 투자를 억제하지 않을 수 없기에 성장률이 작년보다 감속할 수밖에 없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보고서는 이러한 조정이 수년간 이어지면서 중국의 2017년 경제성장률은 금년보다 더욱 떨어져 6.1%로 주저앉을 것으로 관측했다.
지난해 중국 수출입 동반 감소2016-01-29 ㅣ조회수 27
- 대륙
- 아시아
- | 국가
- 중국
- 업종
- 전체
- | 품목
- 전체
- 태그
- 중국, 수출입동향
- 출처
-
지난해 중국 수출입 동반 감소
중국 해관총서는 지난해 중국의 수출입 총액이 24조5900억 위안으로 2014년 대비 7%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이 중 수출은 1.8% 감소한 14조1400억 위안, 수입은 13.2% 줄어든 10조4500억 위안으로 3조6900억 위안의 흑자를 기록했다고 ‘펑파이뉴스’가 보도했다.
흑자는 기록했지만 수출 증가가 아닌 수입 감소 때문에 소위 불황형 흑자를 기록해 경제 둔화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위안화 약세의 영향을 받아 지난해 12월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했고 수입은 4% 감소해 예상보다는 선전했다.
황송핑 해관총서 대변인은 “지난해 글로벌 경제 회복세가 약하고 전망이 좋지 않아 국내 경제의 하방 리스크가 높았다. 대외 무역은 뉴노멀 시기로 접어들면서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해 중국과 유럽연합(EU), 일본의 무역액은 각각 7.2%와 9.9%가 하락했다. 외국계 투자기업, 국유기업의 수출입은 6.5%와 12.1%가 감소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수출 감소는 외부수요 침체와 글로벌 회복 여력 부족이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하면서 “수입 감소는 글로벌 대종 상품 가격의 대폭락과 대종 상품 수입 증가율이 둔화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주간무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