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교육에서만 성평등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정부 발표입니다.
가사와 육아에서 성평등지수가 각각 31과 32, 특히 의사결정분야에서 31점으로 현저히 낮습니다.
여성의원비율은 22점, 기업의 관리자 23점, 고위공무원 47점 입니다.
여성의 성평등지수가 선진국 수준으로 가지 못하면 세계 10대 경제대국이 되기는 어렵습니다.
우리나라의 모든 남성여러분, 여러분의 어머니, 아내, 딸과 주위의 여성을 배려하고 존중합시다.
Korea is gender equal in education, but not in family care, decision-making
한국, 교육에서는 성평등하지만 가족돌봄, 의사결정에는 불평등
By Lee Hae-rin 이혜린 기자
Posted : 2024-06-07 17:03 Updated : 2024-06-07 17:03
Korea Times
Korea is almost gender equal in terms of education and health care, but the gender gap is significantly wide in family care and decision-making in the public sector, with women facing disadvantages in those areas, a government index showed, Friday.
금요일 정부에서 발표한 지표에 의하면, 한국은 교육과 의료 면에서는 거의 성평등하지만 가족 돌봄과 공공부문 의사결정에서는 성별 차이가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나 여성들이 불이익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nounced the national gender equality index for 2022, the first year of President Yoon Suk Yeol’s presidency that began in May that year.
여성가족부는 그해 5월부터 시작된 윤석열 대통령 집권 첫해인 2022년 국가 성평등지수를 발표했다.
The index has been announced every year since 2010, with perfect gender equality being graded at 100 and total inequality graded at zero.
이 지수는 2010년부터 매년 발표되고 있으며, 완벽한 성평등은 100점, 총체적 불평등은 0점으로 평가된다.
The overall gender equality scored 65.7, which was 0.2 points higher than 2021's figure.
전반적인 성 평등은 65.7점으로 2021년 수치보다 0.2점 높았다.
The areas that showed narrow gaps in gender equality were education with 95.4 points, health with 92.4 points and gender equality awareness with 80 points.
양성평등에서 좁은 격차를 보인 분야는 교육 95.4점, 보건 92.4점, 양성평등 인식 80점이었다.
Also, the index on employment rate stood at 78 points, 1.3 points higher than the year before. The ratio of regular workers at a company also rose 1.6 points to 77.8. The index on the wage gap also went up from 66.6 in 2021 to 70 in 2022.
또한 고용률 지수는 78포인트로 전년 대비 1.3포인트 상승하였다. 기업의 상용직 비율도 77.8로 1.6포인트 상승하였다. 임금 격차 지수도 2021년 66.6에서 2022년 70으로 상승하였다.
But the country saw significant inequality in care sectors, both child and elderly, with a score of 31.4. The situation was similar in the time spent on housework and the use of parental leave, at 30.7 points and 31.7 points, respectively, which were similar to the levels in previous years. Notably, the score on decision-making was the lowest among the various areas at only 30.7 points.
그러나 우리나라는 31.4점으로 아동과 노인 모두 돌봄 부문에서 상당한 불평등을 보였다. 가사와 육아휴직 사용 시간은 각각 30.7점과 31.7점으로 예년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특히 의사결정에 대한 점수는 30.7점에 그쳐 여러 영역 중 가장 낮았다.
The figure went down from the previous year’s 34.1, indicating that Korean women still face a glass ceiling with small representation in high-ranking positions that hold decision-making authority.
이는 전년도 34.1%보다 감소한 수치로, 한국 여성들이 여전히 의사결정 권한을 가진 고위직에서 작은 대표성을 지닌 유리천장에 직면해 있음을 보여준다.
Among them, the ratio of female ministers marked the lowest with 20 points, which is significantly lower than 38.5 points from 2021.
이 중 여성 장관 비율이 20점으로 가장 낮아 2021년 대비 38.5점에 비해 크게 낮아졌다.
The index stood at 22.3 points for the ratio of female lawmakers, 22.5 points for managers, 41.8 points for high-ranking officials at courts, prosecutors' offices and police and 46.7 points for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여성의원 비율 22.3점, 관리자 22.5점, 법원,검찰청,경찰 고위공무원 41.8점, 고위공무원 46.7점을 기록했다.
The level of gender equality varied by region, too.
성평등 수준도 지역별로 차이가 있었다.
On a four-tier scale of high, intermediate-high, intermediate-low and low, Seoul, Gwangju, Daejeon, Sejong and Jeju ranked at a high level. Meanwhile, North Chungcheong, South Jeolla and North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s marked themselves at low levels.
상, 중상, 중하, 하의 4단계 척도에서는 서울, 광주, 대전, 세종, 제주가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반면 충북, 전남, 경북과 경남은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Genderequality성평등 #Familycare가족돌봄 #Decision-making의사결정 #Education교육 #Employmentrate고용률 #Wagegap임금격차 #Parentalleave육아휴직 #Glassceiling유리천장 #Femaleministers여성장관 #Regionaldisparity지역별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