렘37:1
'오비이락'은 인과성이 없는 결과가 우연히 일어난 경우입니다. 믿음의 눈으로 보면 주의 일하심일 수 있어요. 우연히 기도했는데 긍정 결과를 경험한 것은 감사하지만 질문이 남는 것 같아요. 이것이 참 경건일까? 위선적 종교행위를 넘어 주님이 기대하는 경건은 어떤 것일까? “기도할 수 있는데 왜 걱정하십니까?”는 제가 수 십 년 동안 들어온 기독교 카피입니다.
"Obiirak" is a case of accidental non-causal consequences. In faith, it could be the work of the Lord. I'm grateful that I've accidentally prayed and experienced positive results, but I think I still have a question. Is this really a reverence? Beyond hypocritical religious practices, what is the reverence the Lord expects? "Why are you worried if you can pray?" is a Christian copy I have entered for decades.
-
주기도 문의 시작이 ‘아빠‘이고 내가 자식이니 부자 관계에서 기도할 수 있고 기도를 해야 합니다 만 만약에 하나님께서 기도를 다 들어 주신다면 그 또한 골치가 아파질 것입니다. 선지자의 말을 듣지 않았던 시드기야 왕은 심판이 현실화 되자 사람을 보내어 자신을 위해 기도해 달라고 요청하였습니다. 호국 불교나 조찬 기도 회 같은 상황입니다. 그러나 그의 기대와 다르게 예루살렘은 바벨론에 의해 함락 될 것이라고 하셨습니다.
Since the prayer begins with "Dad" and I am a child, I can pray and pray in a father-to-son relationship, but if God listens to all the prayers, he will also be in trouble. King Sidgiah, who did not listen to the prophet, sent a man to pray for him when the judgment became a reality. It is a situation like Buddhism for nationality and breakfast prayer meetings. However, contrary to his expectations, Jerusalem will be taken by Babelon.
-
바벨론은 여호야긴의 반란을 진압한 후 시드기야를 꼭두각시 왕으로 세웠습니다. 그도 궁중 안에서 여전히 득세했던 친 애급 파에 굴복하여 애굽의 바로(호프라)와 공모하고 바벨론에 반역을 꾀하였습니다(주전568). 이에 바벨론은 군대를 보내 예루살렘을 포위했습니다. 예레미야 선지자는 바벨론에게 항복하라고 촉구했지만 왕과 신하들이 듣지 않았어요. 40년 가까이 심판 수용 촉구를 듣지 않은 것입니다.
After suppressing the rebellion of Jehoiagin, Babelon made Sidhuiah king. He also gave in to the pro-loathing faction that still prevailed within the court, conspired with Pharaoh (Hofra) of Egypt, and tried to rebel against Babelon (circa 568). In response, Babelon sent troops to surround Jerusalem. Jeremiah the prophet urged Babelon to surrender, but the king and his servants did not listen. He has not heard the call for the referee for nearly 40 years.
-
어떤 점에서 예레미야의 사역은 줄곧 거부만 당한 실패한 사역입니다. 변화나 회개나 경신의 역사도 없었습니다. 하지만 그것이 그의 무능이나 실패를 뜻하지 않습니다. 그 시대에 그가 꼭 했어야할 악역이었습니다. 결신의 열매를 맺는 사역자뿐 아니라, 올바른 말씀을 전하면서도 가난, 비난, 고난의 쓴 잔을 마시는 지체들에게도 격려와 후원과 기도를 보내야 하는 이유입니다. 바벨론이 예루살렘을 포위하자 예레미야에게 사람을 보내 기도를 요청합니다.
Jeremiah's ministry has, in some respects, been rejected and failed. There has been no history of change, repentance, or renewal. But it does not imply his incompetence or failure. He was a villain in his time. This is why we should send encouragement, support, and prayers not only to the ministry that bears the fruit of determination, but also to those who drink the bitter cups of poverty, blame, and hardship while delivering the right words. When Babylon besieges Jerusalem, he sends a man to ask Jeremiah to pray.
-
이사야의 기도로 산혜립의 군대 15만 오천 명이 떠났던 기적(주전701)을 기대했을 것입니다(왕하19;35-36). 기도가 응답되었을까? 바로의 군대가 시드기야를 돕기 위해 출정하자 예루살렘을 포위한 갈대아 군대는 잠시 퇴각합니다. 이 일로 고관들은 풀어줬던 노예들을 다시 잡아들였으며, 시드기야 역시 예루살렘은 결코 망하지 않는다는 긍정의 신학을 더욱 신봉하게 되었습니다.
Isaiah's prayer must have expected a miracle (701) in which 155,000 troops of San Hye-lip left (Wang Ha 19; 35-36). Did the prayer be answered? When Pharaoh's army went out to help Shidgiah, the Reeda army surrounding Jerusalem retreated for a while. This led the dignitaries to take back the freed slaves, and Shidgiah also came to believe in the theology of affirmation that Jerusalem will never collapse.
-
환경이 하나님의 뜻을 분별하는 중요한 요인이긴 하지만, 그것이 하나님의 말씀을 대신 할 수는 없습니다. 잠시 퇴각한 바벨론 군대는 다시 돌아오고 시드기야가 하나님보다 더 의지했던 애급 군대는 자기 땅으로 돌아갈 것입니다. 그때 말씀에 귀를 막고 굳게 붙잡았던 예루살렘의 무조건적인 안전과 번영신학은 자기기만으로 밝혀질 것이고, 조그만 저항해도 예루살렘은 불태워질 것입니다. 경건과 위선의 종교 행위는 어떻게 다른가? 하나님은 말씀하지 않으시는데 스스로 확신하고, 척하고 있는 것은 없는가?
Although the environment is an important factor in distinguishing God's will, it cannot replace the word of God. After a brief retreat, the Babelon army will return, and the Ae-class army that Sidgiah relied on more than God will return to its land. Jerusalem's unconditional safety and prosperity theology, which blocked and held on to the word at that time, will be revealed as self-deception, and even a small resistance will burn Jerusalem down. How is the religious practice of reverence and hypocrisy different? Is there anything that God is sure of himself or pretending to be when he does not speak?
-
도입부(1-2)
a.느브갓네살의 봉신 시드기야:1
b.예레미야의 선포를 듣지 않은 자들:2
예레미야에게 신탁을 구하는 선지자(3-5)
a.사절을 보내는 시드기야:3
b.예레미야의 개인적 상황:4
c.예루살렘의 정치적 형편:5
여호와의 응답(6-10)
a.말씀의 계시:6
b.돌아올 바벨론 군대:7-8
c.피할 수 없는 예루살렘의 멸망:9-10
-
요시야의 아들(1a)
시드기야가(1b)
여호야김의 아들(1c)
고니야를 대신하여(1d)
왕이 되었으니(1e)
이는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이(1f)
그로 유다 땅의 왕을 삼음이었더라(1g)
-
그와 그 신하와 그 땅 백성이(2a)
여호와께서(2b)
선지자 예레미야로 하신 말씀을(2c)
듣지 아니하니라(2d)
-
시드기야왕이(3a)
제사장 스바냐를(3b)
선지자 예레미야에게 보내어(3c)
청하되 너는 우리를 위하여(3d)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3e)
기도하라 하였으니(3f)
-
때에 예레미야가(4a)
백성 가운데(4b)
출입하는 중이었더라(4c)
_
바로의 군대가(5a)
애급에서 나오매(5b)
예루살렘을 에워쌌던 갈대아인이(5c)
그 소문을 듣고(5d)
예루살렘에서 떠났더라(5e)
-
여호와의 말씀이(6a)
선지자 예레미야에게 임하여(6b)
-
이스라엘의 하나님(7a)
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노라(7b)
너희를 보내어(7c)
내게 구하게 한 유다 왕에게 이르라(7d)
너희를 도우려고 나왔던(7e)
바로의 군대는(7f)
자기 땅 애굽으로 돌아가겠고(7g)
-
갈대아인이 다시 와서(8a)
이 성을 쳐서(8b)
취하여 불사르리라(8c)
-
너희는 스스로 속여(9a)
말하기를(9b)
갈대아인이(9c)
반드시 우리를 떠나리라 하지 말라(9d)
그들이 떠나지 아니하리라(9e)
-
가령 너희가(10a)
너희를 치는(10b)
갈대아인의 온 군대를 쳐서(10c)
그 중에 부상자만 남긴다 할지라도(10d)
그들이 각기 장막에서 일어나(10e)
이 성을 불사르리라(10f)
-
불복한 왕, 거절당한 선지자_ an disobedient king, a rejected visionary_
왕의기도 요청, 상황 변화_ King's Prayer Request, Things Change_
퇴각한 바벨론, 돌아온 바벨론_ Retired Babelon, Returning Babelon_
-
바벨론 군대는 다시 돌아오고 애급 군대는 자기 땅으로 돌아갈 것이라 하십니다. 애급이나 바벨론을 놓고 어느 곳에 빌붙을 것이냐 하는 것은 불신앙이며 자기기만입니다. 말씀은 적용하지 많으면서 기도만 하는 짓을 멈추게 하옵소서.
Babelon's army will return, and his army will return to his land. It is disbelief and self-deception to place Egypt or Babelon and where to put it. Please stop praying while applying the word.
2024.7.24.wed.C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