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ganization(조직) 규정된 목표와 조직구조를 가진 시스템
-회사, 법인, 상사, 기업, 연합, 부분 또는 조합
Organization Stricture(조직구조) 인원 상호간의 책임, 권한 및 관계를 할당
Management(경영) 방침 및 목표를 수립하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조화된 활동들
System(시스템) 상호 관련된 또는 상호 작용되는 요소로 규정된 대상
Object(대상) 인지할 수 있거나 생각할 수 있는 어떤 것
-제품, 공정, 시스템, 사람
Entity(실체) 개별적으로 기술할 수 있고 고려할 수 있는 것
공정, 제품, 조직 등
Process(공정) 입력을 출력으로 변환시키는 일련의 상호 연관된 자원과 활동
-입력은 전형적으로 다른 공정의 출력
-전형적으로 관리된 조건 및 부가가치하에 계획되고 수행됨
-인원은 공정을 책임지기 위해 임명되어져야 한다.
공정의 개념
.모든 공정은 입력에 의한 공정결과물의 출력이다.
.출력은 유형, 무형의 제품
.공정은 어떤 방식으로든 사람 또는 다른 자원을 포함한다.
Procedure(절차) 활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규정된 방법
Product(제품) 활동 또는 공정의 결과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소재, 서비스의 4종류의 제품을 포함
.유형, 무형 또는 이들의 조합
.의도된 것(고객에게 제공), 의도되지 않은 것(공해 또는 바라지 않은 영향)
포괄적 범주의 제품
-하드웨어- 부품, 구성품, 조립품
-소프트웨어 - 컴퓨터 프로그램, 절차, 정보, 자료, 기록
-소재 - 원자재, 고체, 기체, 판재, 선재
-서비스 - 보험, 금융, 운송
하드웨어-독특한 형태의 유형, 별개의 제품
소프트웨어-지원 매체를 통하여 표현되는 정보로 구성된 지적인 창조물
소재-원재료를 바라는 상태로 변화시킴으로서 생성된 유형의 제품
Design(설계) 요구사항을 제품특성 단위로 변환하는 공정
Development(개발) 제품실현 공정을 규정하는 공정
-입력은 설계입력, 제품 고려사항, 논리적 지원 및 기타 입력사항을 포함
Service(서비스) 고객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공급자와 고객 사이의 상호관계에 의한
활동과 공급자 내부의 제반 활동에 의해 발생된 결과
-공급자 또는 고객은 상호관계에서 사람이나 장비로 대표될 수 있다.
-공급자와 상호 관계에 의한 고객 활동은 서비스 제공에 필수적일 수 있다.
-유형 제품의 제공 또는 사용은 서비스 제공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서비스는 유형 제품의 제조 및 공급과 연관될 수 있다.
Grade(등급) 동일한 기능적 용도를 갖고 있으면서 상이한 품질 요구사항을 갖는 실체에 주어진 범주 또는 순위
Dependability(신뢰감) 이용 가능한 성능과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신뢰,보전, 보전지원성 관련 성능)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되는 복합적 의미의 용어
Compatibility(병용성) 관련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특정 조건하에서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실체의 능력
Interchangeability(호환성) 수정없이 대체 가능한 실체의 능력
Conformity(적합) 규정된 요구사항 충족
Nonconformity(부적합) 규정된 요구사항에 충족되지 않음
Inspection(검사) 각 특성이 적합한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특성을 조사, 시험, 계측하고 그 결과를 규정된 요구사항과 비교하는 활동
Verification(검증) 규정된 요구사항이 충족되었다는 것을 객관적 증거의 조사 및 제공에 의한 확인
Validation(유효성 확인) 용도에 대한 요구사항 충족 확인
Objective evidence(객관적 증거) 관찰, 측정, 시험 또는 그 밖의 수단을 통하여 얻어진 사실에 기초하여 진실임을 증명할 수 있는 정보
Quality(품질) <실천적> 요구와 기대의 만족
<기술적> 요구와 기대에 관련된 대상의 본질
-요구와 기대는 사전적 의미를 수반한다.
Quality(품질방침) 최고 경영자에 의해 공식적으로 표명된 품질에 관한 조직의 전반적인 의도 및 방향
-전사적 방침 및 목표와 부합, 목표수립을 위한 틀을 제공
Quality Objective(품질목표) 품질과 관련된 어떤 것을 추구 또는 지향
-방침으로 도출되며 달성은 검증되어야 한다.
-목표는 계층별로 규정되어지고 상이한 용어로 명명되어진다.
-품질목표 세부항목은 정량적이어야 한다.
Quality Management(품질경영) 품질경영시스템에서 사용된 공정의 세트를 완성하는 것
Quality Management System(품질경영시스템) 품질방침 및 품질목표를 수립하고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시스템
Quality(품질) 어떤 실체가 지니고 있는 명시적 요구 및 묵시적 요구를 만족시키는 능력에 관계되는 특성의 총체
Quality planning(품질기획) 품질목표 및 품질 요구사항을 수립하고 품질시스템 요소를 적용(수립, 해석, 이행 규정)하기 위한 활동
포함사항 - 제품기획
- 경영 및 운영 기획
- 품질계획서, 품질개선 준비
Quality plan(품질계획) 규정된 경우에서 적용되어진 품질경영시스템 요소를 설명하는 문서
-규정된 경우는 특정제품, 서비스, 프로젝트 또는 계약을 포함
Quality system(품질시스템)
-품질경영 실행에 필요한 조직구조, 절차, 공정 및 자원
-방침목표 달성을 위해 품질시스템 개발, 수립, 실행
-시스템은 조직의 사업유형에 맞추어 구축 9004에 기술된 적절한 요소를 고려
-시스템은 확신감을 줄 수 있도록 다음사항에 기능발휘
ꠐ.이해, 실행, 유지 효과성?
ꠐ.제품의 실질적 고객요구, 기대 만족성?
ꠐ.사회와 환경 측면 요구사항 언급?
ꠐ.문제발생 후 원인조사 보다 예방에 역점?
Quality Characteristic(품질특성) 요구 및 기대와 관련된 특성
-물리적, 심리적, 윤리적, 시간지향적 다양한 분류
Quality control(품질관리) 품질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데 사용되는 운영상의 기법 및 활동
Quality assurance(품질보증) 어떤 실체가 품질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것이라는 적절한 신뢰를 주기 위하여 품질시스템 내에서 실시되고 필요에 따라 실증되는 모든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
내부-경영자에게 신뢰감
외부-고객 또는 3자에게 신뢰감
Quality system(품질시스템) 품질경영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조직구조, 절차, 공정 및 자원
-품질목표 충족을 시킬 수 있을 만큼 포괄적
-일차적 내부 만족
Quality Improvement(품질개선) 조직과 고객에게 부가적인 이익을 제공하기 위하여 활동 및 공정의 유효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직 전반에 취해진 조치
-지속적 개선이란 용어는 품질개선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기반에서 수행되어질 때 사용되어진다.
Requirement(요구사항) 기술되거나 전형적으로 함축된 요구 또는 기대
Regulated Requirement(규정된 요구사항) 기술된 요구 또는 기대
Quality Requirement(품질요구사항) 대상 및 그들 가치의 본래 특성의 전체를 포함하는 요구사항
Quality Manual(품질매뉴얼) 조직의 품질경영시스템을 설명하는 문서
-ISO 10012 매뉴얼 작성 지침
-조직의 크기 및 요구에 적합하도록 세부사항과 형식을 변경할 수 있다.
Document(문서) 정보를 포함하는 매체
-종이, 전기적, 전자적, 사진, 마스트샘플 등
Procedure(절차) 활동을 수행하는 규정된 방법
Guideline(지침) 권고 또는 제안을 정한 문서
Specification(시방서) 요구사항을 정한 문서
Record(기록) 객관적 증거를 제공하는 문서
-문서의 특별 그룹을 형성
Review(검토) 명확하게 수립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당면 문제의 지속적 적합성, 적절성 및 효과성을 보장하기 위해 시도된 공식적 시스템적 활동
Effectiveness(효과성) 계획된 활동이 실현되고 계획된 활동 결과가 달성되는 정도
Efficiency(효율성) 달성된 결과와 사용된 지원사이의 관계
Conformity(적합) 요구사항의 충족
Project(프로젝트) 독특하고 규정된 조건의 단위(set)내에 주어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공정
Objective Evidence(객관적 증거) 어떤 것의 존재 사실을 지원하는 자료
-관찰, 측정, 시험 또는 다른 수단으로 얻을 수 있음
Traceability(추적성) 대상의 이력, 적용 또는 위치를 추적하는 능력
-재료와 부품의 출처
-제품가공 이력
-인도 후 제품의 배급 및 위치
Inspection(검사) 측정, 시험 및 계측에 의해 적절히 수반된 관찰 및 판단에 의한 적합성 평가
Test(시험) 실체의 그룹 또는 운영되는 조치에 대한 항목을 조건으로 항목의 하나 또는 더 많은 특성의 기능적 조사
-시험조건 : 물리적, 화학적, 환경적
Audit(감사) 합의된 당면 문제에 관련된 요구사항이 충족되는 정도를 파악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원에 의해 수행되는 시스템적이고 객관적인 활동
Concession(특채) 규정된 요구사항에 일치하지 않은 제품을 사용 또는 불출의 허가
Repair(수리) 원래 규정된 요구사항에 적합하지는 않지만 의도된 사용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부적합 제품에 취해지는 조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