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수면법
일찍 일어났어도 그 후유증으로 온종일 피곤에 절어있다면 진정한 ‘아침 형 인간’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하루를 일찍 시작한 만큼 심신에 활력도 붙고 일의 능률도
올라야 하지 않을까! 결국은 잠을 줄이더라도 얼마만큼 숙면을 취하였냐가
관건인 것이다.
이러한 취지에서 진정한 ‘아침 형 인간’이 되기 위한
수면법 몇 가지를 소개한다. 일찍 일어나면 이래서 좋다.
인간의 하루 평균수면 시간은 8시간으로써
인생의 3분의 1은 잠으로 보낸다. 삶을 영위하는데 미치는 영향도 그만큼 크다고 볼 수 있다.
잠을 잘(깊이) 자지 못하면 식사를 해도
소화흡수가 제대로 안 된다. 낮에 먹은 음식은 자는 동안에 흡수되어 간(肝)에 이르는데,
가장 깊이 잠들었을 때 장내에서 본격적인 소화흡수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또한 뇌세포 안의 에너지도 잠자는 동안에 저장된다.
숙면하기에 가장 좋은 시간대는 새벽 3∼5시이다. 사람은 체온이 낮을 때 숙면을 취할 수 있는데,
체온은 오후 2시경에 최고점에 달하고,
새벽 3∼5시경에 최저되며 이 시간대에 사람이 제일 많이 죽는다고 한다.
사람의 맥박은 새벽 5시에 가장 빨라진다.
따라서 이 시간은 숙면하기에 적당한 시간이 아니다.
깨어 있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얘기다. 따라서 기상시간은 늦어도 새벽 5시로 정하는 것이 좋다.
새벽 5시에 일어나는 사람은 6시간(밤 11시∼새벽 5시)만
자더라도 다른 시간대의 8시간과 비슷한 효과가 있다.
오전 6∼8시까지는 하루 중 두뇌(집중력이나 판단력)가 가장 명석해지는 시간이다.
뇌세포가 활성화되는 이른 아침의 1시간은
낮의 3시간과 맞먹는다. 아침시간은 ‘이성적’인 활동에 더 유리하고,
저녁·밤 시간은 ‘감성적’인 활동에 더 유리하다. 즉 아침 할 일, 저녁 할 일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수면에도 일정한 주기가 있다. 수면의 한 주기는 정 수면(오소독스 수면, Non-REM, 약 90분)과
역설수면(파라독스 수면, 여파수면, REM, 약 30분)으로 구성된다. 수면은 정 수면으로 시작해서 역설수면을 정점으로 하여 끝난다.
역설수면은 뇌가 얕게 잠자는데도 육체는 깊이 잠들어 있는 신비로운 수면형태다.
정 수면은 대뇌의 잠이고,
역설수면은 신체의 잠이라고 말하는 전문가도 있다. 우리가 꾸는 꿈은 역설수면 중에 일어난다.
잠의 주기가 거듭될수록 정수면 시간은 일정하지만 역설수면의 지속시간은 점점 더 늘어난다.
다시 말해 아침이 됨에 따라 대뇌가 완전히 잠드는 시간은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것이다.
정 수면일 때 눈을 뜨면, 외부의 자극에 대해
의식과 몸이 금방 반응한다. 하지만 역설수면일 때 깨우면,
눈을 뜨는 게 힘들고 유쾌하지 못하다 (뇌는 얕게 잠들어 있는데도 육체는 깊이 잠들어 있기 때문).
그 불쾌감은 깨어난 뒤에도 잠시 계속된다.
이 역설수면은 방해받으면(꿈이 중단되면) 오히려 더 강해진다. 즉 웬만큼 깨워도 잠이 깊어지고 꿈꾸는 시간이 자꾸 늘어난다.
따라서 상쾌하게 잠을 깨기 위해서는 한 주기
〔120분=정수면 90분+역설수면 30분〕가 끝난 시점에서 눈을 뜨는 것이 가장 좋다.
그래서 수면은 4시간, 6시간, 8시간 등
짝수 시간으로 하는 게 좋다. (물론 개인마다 차이는 있다).
단, 이는 일상적인 수면의 경우이며 3∼4시간의
초 압축 건강수면을 취하는 경우에는 큰 관계가 없다.
뇌파 또는 뇌전도 측정으로 파악된 바에 의하면,
하루에 8시간을 자든 10시간을 자든 파동이 전혀 일어나지 않고
평평한 직선을 이루는 가장 깊은 잠이 드는 시간,
즉 뇌가 완전히 쉬고 있는 시간은 하룻밤 동안 단 15분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
따라서 수면 중에 이 완전 뇌수면 15분간을 어떻게 확보하느냐가
관건이다. 수면 시간이 짧은 사람은 빨리 잠들고 깊은 수면을 취한다.
반면 오래 자는 사람은 얕은 수면과 역설수면의 시간이 길다. 대체로 아침 형 인간은 짧게 자며, 야행성 인간은 길게 잔다. 아침 형 인간이 되는 게 여러 모로 유리한 것이다.
◈ 숙면을 돕는 잠자리 환경
- 침대 : 딱딱한 바닥이 중요하다.
푹신한 침대는 척추를 W자형으로 활 모양으로 굽게 만들어
디스크, 요통 등 척추의 이상을 가져와 피의 순환을 방해하고
각종 병의 원인이 된다.
- 베개 : 통기성이 좋고 너무 높지 않은 것을 사용한다.
메밀, 벼 껍질, 죽제품, 옥탄(대나무 숯 등)베개 등이 좋다.
머리에 피가 몰려 있어서는 숙면을 취하기 어렵다. 취침 시 뇌의 혈액을 다리 쪽으로 보내기 위해 머리는
차가운 베개를 다리는 따뜻하게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두한족열)
- 알람시계 : 하루의 시작을 시끄러운 불협화음으로 하는 것은
뇌에 좋지 않다. 음악이나 새소리, 파도소리 주문(呪文)소리 등이 좋다.
- 조명 : 숙면을 위해서는 빛을 차단해야 하며,
기상을 위해서는 빛을 밝게 하면 된다. 우리 몸의 체내시계는 빛에 따라서 민감하게 진화해 왔다.
- 이불솜 : 가볍고 따뜻하며 수분이나 열에 강하고
탄력성이 좋은 것으로 선택을 한다. 자주 청소를 하고 햇볕에 주 1회 말리는 것은 물론
2~3년마다 바꾸어 주어야 한다.
(잠을 자고 있을 때 인간의 몸에서는 1컵 분량의 물이
나온다고 한다.)
- 잠옷 : 인체 어느 부위라도 꼭 끼는 곳이 없는 옷으로
계절마다 갈아입어야 한다.
* 매트는 온열매트와 의료용 매트로 구분할 수 있다.
온열매트는 온도만 조절해주며 전선이 깔려있어 전자파가 발생
인체에 크게 해롭다, 의료용 매트는 전선이 없어 전자파가 발생되지 않으며.
음이온이 발생되어 숙면을 취할 수 있다.
(음이온은 신진대사 원활, 혈액순환 원활, 면역력 강화,
세포활성화, 자율신경의 조절 등 잠이 잘 온다.) 그리고 330V의 전위와 인체파장(9.10)과 같은 파장이 내당되어
생육광선이 발생 성인병치료에 도움이 된다.
◈ 잠과 싸우지 마라
건강수면을 생활 습관화하라.
재미있게도 사람들은 식욕에 대해서는 대체로 순응한다 (배고프면 난리 나는 줄 알고 반드시 찾아 먹는다).
하지만 잠에 대해서는 ‘싸워 이겨야 한다.’는
선입관을 갖고 있는 사람이 의외로 많다. 잠을 잘 수 없으면, 책을 읽거나 깨어 있으려고 노력하라.
그러면 오히려 쾌적한 잠을 잘 수 있다.
잠이 안 오는 데도 ‘잠을 자야만 한다. 그래야 내일 일에 지장이 없다’와 같은 강한 자기암시가 있으면
도리어 수면 리듬으로부터 자꾸 멀어져 간다. 잠은 자지 않고 눕기만 하더라도 대뇌·눈·육체가 충분한 휴식이 된다.
◈ 수면에 대한 상식
잠을 지나치게 자면 도리어 능률이 저하된다.
과도한 수면으로 신체 전반의 세포를 지나치게 쉬게 하는 것은 결국 노화로 연결된다.
낮 동안 충분히 소비하지 못한 채 다시 잠을 자면
에너지 과잉에 빠지는 악순환이 거듭된다.
그리고 수면시간이 짧아지면 교감신경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호르몬의 분비가 좋아져 신진대사가 도리어 촉진된다.
미국 뉴욕대학의 조사결과를 보면,
학생 중 가장 성적이 좋았던 그룹은 수면시간이 5∼6시간으로 짧았다.
이보다 더 잠을 자면 머리나 몸에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이 밝혀진 셈이다.
◈ 음식량과 수면량은 정비례한다.
공복이거나 배가 고프면 잠을 잘 잘 수 없지만,
음식을 많이 먹으면 순식간에 잠에 빠져든다. 수면은 대뇌뿐 아니라 내장의 피로(특히 위장의 소화활동)로
일어나는 현상이다.
많이 먹는 사람일수록 필요 이상 자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단시간 수면하고 싶다면 될수록 적게 먹도록 애써라.
이호섭 노래 모음
서산 갯마을-이호섭
굴을 따랴 전복을 따랴 서산 갯 마을 처녀들 부푼 가슴 꿈도 많은데 요놈의 풍랑은 왜 이다지 사나운고 사공들의 눈물이 마를 날이 없구나
눈이 오나 비가 오나 서산 갯 마을 쪼름한 바닷 바람 한도 많은데 요놈의 풍랑은 왜 이다지 사나운고 아낙네들 오지랖이 마를 날이 없구나
그님은 어디가고.
미련 두지 말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