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쪽 | B6 크기 | 12,000원
ISBN 979-11-91332-51-3
2025.8.1.
재생종이로 만든 책
<사회사업 글쓰기> 개정판
사회사업 기록 , 왜 쓰고 무엇을 쓰며 어떻게 쓸까
김세진
2020년 출판한 <사회사업 글쓰기>는 4판까지 고쳐 출판했습니다.
1판 1쇄 2020.7.15. 2판 1쇄 2020.8.24. 3판 1쇄 2021.3.1. 4판 1쇄 2022.1.26.
2025년 1월, <사례관리 사회사업론>을 출판하면서, 사례관리 사회사업에서 기록이 따로 있을 수 없다고 느끼고
이 책 6부에 기존 <사회사업 글쓰기> 내용을 다듬어 함께 묶었습니다.
그 뒤, 사회사업 글쓰기 강좌와 모임을 이어가며 더하고 뺄 내용이 눈에 들어왔고,
<사례관리 사회사업론> '6부 기록'을 따로 떼어내어 더 깊이 다듬었습니다.
꾸준히 고쳐 쓰고, 새로 쓰며 다듬고 깁고 빼기를 반복해 왔습니다.
다시 읽어도 아깝지 않게, 구성을 완전히 새롭게 하여 출판합니다.
특히, 서술식 기록을 제안하면서도 개조식 기록을 쓸 수밖에 없는 상황을 생각해 여지를 두었습니다.
앞으로도 꾸준히 이어갈 '사회사업 글쓰기 모임'에서 처음 시작하며 반드시 알아야 하는 주제들을 모았습니다.
적절한 실천 사례(기록 사례)를 많이 추가하였습니다.
강의 없이 책만 읽어도 이해할 수 있게, 해볼 만하게, 도전이 되게 구성하였습니다.
<사회사업 글쓰기>는 주로 '사회사업 글쓰기 특강'이나 '사회사업 글쓰기 모임'에서 교재로 사용해 왔습니다.
이번 개정판 출판을 계기로, 여러 곳에서 '사회사업 글쓰기 특강'을 이어가고 싶습니다.
많은 사회사업가에게 ‘기록’은 처리해야 할 부담스러운 업무로 여겨집니다.
기록이 무거운 짐이 아니라, 오히려 우리 실천을 단단하게 만들고,
당사자의 삶을 응원하는 도구로 바꾸는 여정을 제안합니다.
『사회사업 글쓰기』는 ‘무엇을’ 쓸지 몰라 막막한 사회사업가의 어려움이
‘나는 어떤 사회사업가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과 맞닿아 있음을 이야기하며 시작합니다.
대체로 문제 나열에 그치는 ‘개조식’ 기록에서 벗어나,
당사자 삶의 맥락과 강점을 담아내는 ‘서술식’ 기록으로 함께 나아가자고 말합니다.
모든 실천에 ‘의도, 근거, 성찰’을 담아 기록함으로써 사회사업가의 일을 단순한 서비스 제공이 아닌,
문제 너머 그 사람의 감춰진 모습을 생동하는 매력적인 직업임을 안내합니다.
이를 위해 ‘왜 써야 하는가’라는 당위에서 출발하여,
‘무엇을’ 쓰고 ‘어떻게’ 쓸 것인지 구체적인 방법론을 차례로 제시합니다.
나아가 이렇게 남긴 기록을 ‘어떻게 다듬고’, 사회사업가다운 ‘어떤 말로’ 완성해야 하는지
그 실용적 지침들을 여러 사회사업 현장 사례로써 소개합니다.
사회사업 기록은 사회사업가만 보는 비밀문서가 아닙니다.
당사자와 함께 읽으며 그의 삶을 응원하는 ‘성장 편지’가 될 수 있습니다.
이 책을 통해 기록 부담이 실천 확신으로 바뀌고,
내 고민이 자랑스러운 ‘사례’로 남는 경험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차례
들어가며_2
1부. 사회사업가는 왜 쓰는가
1장. 사회사업 글쓰기 개념 _12
1. 사회사업 글쓰기 개념 _13
2장. 사회사업가의 책무 _15
1. 사회사업 글쓰기는 책무 _16
2. 오해를 넘어 본질로 _18
3. 누구를 위하여 쓰는가 _19
3장. 당사자와 기록 공유 _23
1. 왜 당사자와 기록을 공유해야 하는가 _24
2. 현장 목소리 _26
3. 버젓한 당사자, 당당한 사회사업가 _39
2부. 사회사업가는 무엇을 쓸 것인가
4장. 서술식 기록과 개조식 기록 _41
1. 서술식 기록과 개조식 기록 _42
5장. 의도, 근거, 성찰 _49
1. 의도와 근거와 성찰 _50
2. 상담일지 쓰기 _53
6장. 곡선의 시선과 말의 힘 _54
1. 두 가지 시선 : 직선과 곡선 _55
2. 관점의 힘 : 보이지 않던 세계를 보는 눈 _58
3. 태도의 힘 : 마음이 현실을 만들 때 _60
7장. 좋은 사례들 _65
1. 의도와 관점을 담아 기록하며 강점에서 실천 실마리를 찾다 _65
2. 투명하고 신뢰받는 실천을 위하여 과정과 근거를 밝히는 기록 _73
3. 성찰하며 변화하고 다시 쓰며 기록으로 성장하는 사회사업가 _77
4. 기록은 지지와 재해석의 힘을 주는 창의적 활용 _83
5. 더불어 사는 지혜, 이웃과 함께 모임의 역사를 쓰다 _88
6. 마무리하며 _91
3부. 사회사업가는 어떻게 쓰는가
8장. 글쓰기 기본기 : 읽기, 꾸준함, 분량 _93
1. 읽고 쓰기 _94
2. 메모하고 이를 모아 쓰기 _97
3. 사회사업 공부 노트와 어휘 노트 _100
4. 꾸준히 쓰기 _103
5. 현실을 생각한 효율적인 기록 _106
6. 많이(자주) 쓰기 _109
9장. 마음을 움직이는 글쓰기 _110
1. 쉽게 쓰기 _111
2. 독자(당사자)를 상상하며 쓰기 _113
3. 글이 써지지 않을 때 _115
4. 함께 쓰기 _121
10장. 기록의 태도와 원칙 _124
1. 기록 보안과 윤리적 책임 _125
2. 상황과 목적에 따른 유연한 기록 방식 _128
3. 미국, 호주, 일본 윤리강령 가운데 당사자와 기록 공유 _131
11장. AI와 사회사업 글쓰기 _140
1. AI와 사회사업 글쓰기 _141
4부. 사회사업가다운 좋은 글로 나아가기
12장. 어떻게 다듬는가 _148
1. 세 기준으로 살피기 _149
2. 완성 원고 낭독하기 _154
13장. 사회사업가다운 바른 말 _157
1. 존중을 담아 기록하기 _158
2. 사용하는 용어가 자기 실천의 한계 _160
3. 바른 용어가 의식을 바꾸고, 바뀐 의식이 실천을 결정 _163
4. 시혜와 권리 사이 _167
5. 말에 담긴 철학, 당사자를 부르는 말 _171
6. 이웃을 ‘신고’하시겠습니까? _173
7. 선량한 차별주의자가 되지 않으려면 _177
14장. 만일 사회사업가가 사전을 만들었다면 _182
1. 만일 사회사업가가 사전을 만들었다면 _183
참고 도서 _187
[책 구매]
*7월 29일(화)부터 보낼 수 있습니다.
https://cafe.daum.net/coolwelfare/SD5b/1
[본문 미리 보기]
첫댓글 <사회사업 글쓰기> 개정판 출판을 축하합니다!! 이 책으로 공부하고 실천하고 기록하는 사회사업가들이 많아지리라 기대합니다!!!
지식과 애정의 집약체.
사회사업 글쓰기의 새로운 역사!
기록하며 나아가는 사회사업가에게 나침반이 될 것입니다.
귀한 책!! 고맙습니다. 응원합니다.
오랜만에 반가운 소식 주셔서 감사합니다.항상 응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사회사업 글쓰기 5권 신청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