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논술 심화 과정(김슬옹) 참고문헌
- 유니텔, 교원캠퍼스, 캠퍼스21 원격 연수원 9월 개설 예정_2007.7.30
1강 통합논술 다중 지도전략(총론)
김슬옹(2000). 「통합교육을 위한 삶쓰기 논술교육」. 인간과자연사
김슬옹(2000). 「삐딱하게 보고 뒤집어 생각해라」. 미래 M&B.
김윤현(2003), 통합교육의 뿌리를 내리며 『교육마당21』 통권 254호. 교육인적자원부. 42-45쪽.
김재복(2000). 「통합교육과정」. 교육과학사
김정(2007). 「국사 시간에 세계사 공부하기」. 웅진.
우정한, 윤광보, 김성애, 정희섭(2006) 통합교육 효율화를 위한 웹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 및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제7권 2호. 두뇌한국21 특수교육 교육·연구단. 127-153쪽.
웅진출판 편집부(2000). 「통합교육용 소리 모음 52 & 율동 동요」. 웅진출판사
유광찬(2000). 「통합교육의 탐구」. 교육과학사
이영만(2001). 「통합교육과정」. 문음사
이은주(2006). 미술로 만나는 생활사 한국사. 삼성출판사.
이정우 (1997). 가로지르기. 서울: 민음사.
이정우 (2003). 사건의 철학. 서울: 철학아카데미.
J. David Smith 저 ; 조용태 역(2003). 「통합교육의 이해」. 특수교육
Susan M. Drake ; Rebecca C. Burns 공저 ; 박영무 외역(2006). 「통합 교육과정」. 원미사
Edward O.Wilson(1999). Consilience_The Unity of Knowledge. New York:Vintage Books A Division of Random House, INC.에드워드 윌슨(2007)/ 최재천, 장대익 옮김. 통섭 . 사이언스북스.
2강 정체성 키워주기 통합 논술 전략
김슬옹(2001), 이 땅의 청소년은 어디 있는가(서평), 배워서남주자 57호(7월호), 2001.
김슬옹(2001).청소년의 정체성과 청소년 문학의 정체성- 성장소설 읽기를 중심으로. 문학과교육 17호(가을호). 문학과교육연구회
김슬옹(2002). 정체성 문제로 인한 가출 독서상담 프로그램. 독서교육 2호. 전국독서새물결모임
김향초(1998), 가출청소년의 이해, 학지사
박부일(1994), 가출의 시작과 끝, 한국청소년선도회
안창규 외(1995), 가출청소년과 학교관리체제, 집문당
윤영선(2006). 논술, 감정 다루는 법에서 시작된다. 지식나이테.
전정재(1996), 21세기에 살 우리 아이들 어떻게 기를까, 시공사
전정재(1998), 힘든 십대, 어떻게 잘 넘길까, 시공사
책따세(2001), 우리 아이들이 읽으면 좋을 ‘성장소설’들, 함께여는 국어교육 47호(봄호), 전국국어교사모임
탁석산(2000), 한국의 주체성, 책세상
하이타니 겐지로(1998), 우리집 가출쟁이 - 세계 단편 동화 4, 웅진닷컴
한자경(1997), 자아의 연구, 서광사
3강 주체성 키워주는 통합논술 지도전략
김상봉(1998), 자기의식과 존재사유 : 칸트철학과 근대적 주체성의 존재론, 한길사.
김상봉(2007), 서로주체성의 이념 : 철학의 혁신을 위한 서론, 길.
김슬옹(2000), 삐딱하게 보고 뒤집어 생각해라, 미래M&B
미셸 푸코/심세광 역(2007), 주체의 해석학 : 1981-1982,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의 강의 , 동문선.
슬라보예 지젝/이성민 역(2005), 까다로운 주체, b(도서출판비).
윤효녕 외(1999), 주체 개념의 비판 : 데리다, 라캉, 알튀세, 푸코, 서울대학교출판부.
이규호(2005), 사회화와 주체성 단계, 연세대학교출판부.
이종영(1997), 주체성의 이행, 백의출판사.
최종렬(1999), 타자들 : 근대 서구 주체성 개념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탐구, 백의출판사.
탁석산(2000), 한국의 주체성, 책세상.
4강 생활문 쓰기를 통한 통합논술 지도전략
김녹촌(2005), 올바른 일기 쓰기 및 생활문 쓰기 지도는 이렇게, 온누리.
소년한국일보 엮음(2007), 새똥 맞은 날 : 생활문 1 - 소년한국일보 글쓰기상 수상작 모음집, 효리원.
이가령(2006). 시들시들한 글이 싱싱하게 살아나는 글쓰기 지도 1․2. 샘터사.
이오덕(1998). 글쓰기 어떻게 가르칠까. 보리.
이오덕(1999). 신나는 글쓰기. 지식산업사.
이오덕(2000). 무엇을 어떻게 쓸까. 보리.
이오덕(2001). 이렇게 써보세요. 지식산업사.
이오덕(2004). 삶을 가꾸는 글쓰기 교육. 보리.
한국소설대학 엮음(1999), 글짓기는 가나다 생활문, 자유지성사.
홍지영 엮음(1998). 안성여고 생활글쓰기 모음집: 우리들은 이렇게 살고 있어요. 안성여자고등학교.
5강 창의력 중심 통합논술 지도 전략
김슬옹 외(1999), 상상력과 창의력을 키우는 동화 읽고 쓰기, 다른세상.
김슬옹(2001), 청개구리같은 어린이들을 위하여, 인물과사상 5월호(37호). 인물과사상사.
김은하(2001), 우리 아이 책 날개를 달아주자, 현암사.
브루노 베텔하임/김옥순․주옥 옮김(1998), 옛 이야기의 매력 1․2, 시공주니어.
심혜련(2000), 약이 되는 동화 독이 되는 동화, 이프.
원종찬(2001), 아동문학과 비평정신, 창작과비평사.
이오덕(1990), 시정신과 유희정신, 창작과비평사.
이재복(1995), 우리동화 바로 읽기, 한길사.
최윤정(2000), 슬픈 거인, 문학과지성사
페리 노들먼/김서정 옮김(2001), 어린이 문학의 즐거움 1․2, 시공주니어
6강 비판적 사고 중심의 통합 논술 지도전략
김광수(2004), 솔로몬은 진짜 어머니를 가려 냈을까 : 비판적 사고를 깨우는 논리 이야기 2 (응용편), 사계절.
김광수(2004), 어찌 이방이 사또를 치리오 : 비판적 사고를 깨우는 논리 이야기 1 (기초편), 사계절.
박광수(1998), 광수생각, 소담출판사.
박은진, 김희정(2004), 비판적 사고를 위한 논리, 아카넷.
서태지와 아이들(1995), 『시대유감』, 반도음반.
송능한 감독(1997), 넘버 3.
이문열(1987),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문학사상.
트레이시 보웰, 게리 켐프/하상용, 한성일 옮김(2006), 비판적 사고, 논리를 잡아라 : 논술의 기본 가이드, 모티브북.
학술단체협의회 편(2005), 사회를 보는 새로운 눈 : 과학적 사고와 비판적 인식을 위하여, 한울.
한상철(2006), 토론 : 비판적 사고를 활용한 토론 분석과 응용, 커뮤니케이션북스.
7강 상상력을 통한 통합 논술 지도 전략
고미 타로(2002), 그림으로 생각 키우기, 창해.
루이 트롱댕/김미선 옮김(2000), 못말리는 종이괴물, 아이세움.
박우현(2004), 논리를 모르면 웃을 수도 없다. 책세상.
우리누리 글/윤정주 그림(2007), 머리가 좋아지는 그림책 상상력편, 파란하늘.
임헌우(2007), 상상력에 엔진을 달아라, 나남출판(사회비평사).
임현우(2007), 상상력에 날개를 달아라, 나남출판.
줄리언 바지니/정지인 옮김(2007), 유쾌한 딜레마 여행 : 상상력에 불을 지피는 사고 실험 100, 한겨레출판.
진중권(2005), 놀이와 예술 그리고 상상력 : 유쾌한 미학자 진중권의 7가지 상상력 프로젝트, 휴머니스트.
케이시 시에라, 버트 베이츠, 브라얀 바샴(2005), Head First Servlets & JSP : 상상력을 자극하는 몰입의 학습법, 한빛미디어
한비야, 이윤기 외(2005), 6인 6색 21세기를 바꾸는 상상력, 한겨레신문사.
8강 분석력 중심 통합 논술
계림출판사신호등(1998), (둘리와 함께 분석력 계발 4) 마이콜 초록 신호등, 계림(계림닷컴).
김용운 외(1998), 프랙탈과 카오스의 세계, 우성.
리처드 폴 외/박진환 외 옮김(2006), 생각의 기술 논술의 기술 1 : 어떻게 분석적으로 생각하는가?, HOTEC.
신인선 외(1998), 수학교사를 위한 프랙탈 기하, 경문사.
엄혜숙 글/조은화 그림, 홍순정 감수(2002), 똑같이 나누어요-123 첫걸음 수학동화 4, 부분과 전체, 아이세움.
이현열(1999), 알기쉬운 프랙탈 입문, 영한출판사.
조성오(2002), 철학 에세이, 동녘.
피터 셍게, C. 오토 샤머, 조셉 자와스키, 베티 수 플라워즈/현대경제연구원 옮김(2006), 미래, 살아있는 시스템 : 분석에서 통찰로 지식에서 지혜로, 지식노마드.
하이젠베르크/김용준 옮김(2000), 부분과 전체, 지식산업사.
Alan Bryman/홍동식, 조정문, 고승한 공역(1992), 사회연구에 있어서 양적방법과 질적방법, 전문출판사.
9강 우화를 통한 독서토론
데이비드 허친스/김철인 옮김(2001) 네안데르탈인의 그림자. 바다출판사
라빈드라나드 타고르/마 디아 프라풀라. 황금보트-타고르 우화집. 작은이야기
마리 앙주 기욤/김예령 옮김(2006). 바퀴 달린 라 퐁텐 우화집-비룡소의 그림동화. 비룡소
백석(2006). 백석우화-개구리네 한솥밥 외 11편.이가서
왕사오눙/김형호 옮김(2007). 장자, 우화를 말하다-현대인이 꼭 알아야 할 장자의 <우화론>강의, 고전으로 배우는 지혜 시리즈4. 에버리치 홀딩스
요헤베드 세갈(1992). 우화탈무드-살아있는 지혜의 빛. 하서출판사
이상배(2004).이솝우화보다 재미있는 세계 100대 우화. 삼성출판사
이솝/나연숙 엮음(2006).이솝우화- 우화로 배우는 슬기와 지혜. 홍진미디어
장 드 라 퐁텐/박명숙 옮김(2004). 라 퐁텐 그림우화-지혜로운 영혼을 위한 240가지 이야기. 시공사
정균승(2004). 삶을 변화시키는 33가지 우화. 도서출판 이토
10강 고전을 통한 통합 논술 지도 전략
고전연구회 사암 편(2007), 서재 : 지식과 교양을 디스플레이하다, 포럼(FORUM) .
공지영 외(2006), 나의 고전 읽기 : 이 시대 대표 지성인 10인이 말하는 나의 인생과 고전, 북섬.
손병목(2006), 동양 고전 강의 : 통합논술 세대를 위한, 한겨레출판.
신영복(2004), 강의 : 나의 동양 고전 독법, 돌베개.
이상국(2005), 옛공부의 즐거움 : 고전에서 누리는 행복한 소요유, 웅진지식하우스.
이진경, 이정우, 심경호, 배병삼 외(2007), 고전의 향연 : 플라톤에서 움베르토 에코까지 한 권으로 즐기는 유쾌한 고전 여행, 한겨레출판.
장세현/장인찬 그림(2004), 1000년 동안 가장 많이 읽힌 우리 고전 16가지, 아이앤북(I&BOOK).
정병헌, 이지영(1998), 고전문학의 향기를 찾아서, 돌베개.
정약용, 박지원, 강희맹 등/신승운, 박소동 등 옮김(2004), 고전 읽기의 즐거움, 솔.
표정훈 외/박정하 감수(2006), 21세기 신고전 42선, 동아일보사.
11강 고전독서활동을 통한 통합 논술 지도 전략
김용환(1999), 홉스의 사회 정치철학 : 「리바이어던」읽기, 철학과현실사.
김용환(2005), 리바이어던 : 국가라는 이름의 괴물, 살림출판사.
김철운(2003), 순자와 인문 세계, 서광사.
김형효(2003), 물학 심학 실학 : 맹자와 순자를 통해 본 유학의 사유, 청계.
서정욱(2006), 홉스가 들려주는 리바이어던 이야기, 자음과모음.
순자 저/김학주 옮김(2001), 순자, 을유문화사.
순자/장현근 옮김(2002), 순자, 책세상.
윤무학(2004), 순자 : 통일제국을 위한 비판철학자,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윤무학(2006), 순자가 들려주는 마음 닦는 이야기, 자음과모음.
채인후(2000), 순자의 철학, 예문서원.
통술연구회(2007). 순자 고전 논술 자료집.
12강 다매체 다텍스트 활용 통합 논술 지도 전략
강상현, 채백 엮음(2002), 대중 매체의 이해와 활용, 한나래.
데이비드 버킹엄/정현선 역(2004), 전자매체 시대의 아이들, 우리교육.
송재희 김슬옹(1999). 대중매체 읽고 쓰고 생각하기. 세종서적.
이흥재 외(1998). 『일본 대중문화 유통실태 및 개방에 따른 파급효과』. 한국문화정책 개발원.
전국국어교사모임 매체연구부(2005). 『매체교육의 길 찾기 : 왜 국어교육에서 매체교육을 이야기하는가?』. 나라말.
정현선(2004), 다매체 시대의 국어교육과 문화교육, 역락.
제임스 브라운 저, 한국여성민우회 바른 언론을 지키는 모임 역(1997). 『TV 제대로 보기, 상, 하』. 전국언론노동조합연맹.
최기호 김슬옹 외(2005). 인터넷 글쓰기의 달인.세종서적.
프랑스문화예술학회(2000). 『학술발표회 연구자료집』. 프랑스예술학회.
한국언론학회 미디어 교육위원회(2003). 『초·중·고 교육 현장 속에서 미디어교육 : 미디어 교육사례 발표와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미디어 교육위원회.
13강 담론식 통합 논술 전략
고명섭(2005), 지식의 발견 : 한국 지식인들의 문제적 담론 읽기, 그린비.
고명섭(2006), 담론의 발견 : 상상력과 마주보는 150편의 책읽기, 한길사.
김슬옹(2005). 언어 분석 방법론으로서의 담론학 구성 시론. 사회언어학 13권 2호. 한국사회언어학회.
다이안 맥도넬/임상훈 옮김(2002), 담론이란 무엇인가, 한울.
로버트 영/이정화, 이지헌 옮김(2003,) 하버마스의 비판이론과 담론 교실, 우리교육.
문학이론연구회 편(2002), 담론 분석의 이론과 실제, 문학과지성사.
사라 밀즈/김부용 옮김(2001), 담론, 인간사랑.
이정우(2000), 담론의 공간, 산해.
이진경(2002). 노마디즘 1•2. 휴머니스트.
조르주 비뇨/임기대 옮김(2000), 분류하기의 유혹, 동문선
Deleuze, Gilles & Guattari, Félix. (1980). Mille Plateaux-Capitalisme et Schizophrénie. Paris: Les Ẻdition De Minuit. 김재인 (옮김) (2001). 천 개의 고원-자본주의의 분열증 2. 서울: 새물결.
Deleuze, Gilles. (1981). Difference et repetition, Paris: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김상환 (옮김) (2004). 차이와 반복. 서울: 민음사.
Deleuze, Gilles. (1969). Logique du sens. Paris: Editions de Minuit. 이정우 (옮김) (1999). 의미의 논리. 서울: 한길사
Foucault, Michel. (1966). Les mots et les choses. Paris: Gallimard. 이광래 (역) (1987). 말과 사물. 서울: 민음사.
Foucault, Michel (1969). L'archeologie du savoir. Paris: Gallimard. 이정우 (옮김) (1992). 지식의 고고학. 서울: 민음사.
Foucault, Michel, (1971). L'ordre du discours, Paris: Gallimard. 이정우 (옮김) (1998). 담론의 질서. 서울: 서강대학교출판부.
Guattari, Félix (1977). la révolution moléculaire. Paris: encres. 윤수종 (옮김) (1998). 분자혁명. 서울: 푸른숲.
Roland Barthes. (1973). Le Plasir de texte. Paris: Seuil. 김희영 (옮김) (1997). 텍스트의 줄거움. 서울: 동문선.
Roland Barthes. (1984). Le bruissement de la langue. Paris: Seuil. (Translated by) Richard Howard (1989). The Rustle of Language. Berkeley and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Seymour Benjamin Chattman (1978/1990). Story and Discourse: Narrative Structure in Fiction and Film. New York: Cornell Univ Press. 한용한 (역) (2003). 이야기와 담론. 서울: 고려원.
14강 수리 통합 논술 지도 전략
다무라 사부르/조윤동 옮김(1999). 수학 기피증을 없애는 책. 아카데미서적.
드니 게디/문선영 옮김(1999). 앵무새의 정리 1-3-소설로 읽는 수학의 역사. 이끌리오.
박경미(2006). 수학콘서트. 동아시아.
박형빈(1998/2007:3판). 수학은 생활이다. 경문사.
서울특별시교육청(2007). 논술교육동아리 선생님을 위한 통합논술지도 길라잡이. 서울특별시교육청.
유타 C. 메르츠바흐․칼 B. 보이어(2000). 수학의 역사. 경문사.
이진경(2000). 수학의 몽상. 푸른숲.
임레 라카토스/우정호 옮김(2001), 수학적 발견의 논리, 아르케.
페트르 베크만(1994). 파이의 역사-수학의 친구들. 실천문학사.
한스 마그누스 엔첸브베르거/고영아 옮김(2004). 수학귀신. 비룡소.
15강 과학중심 통합 논술 주요 전략- 장영실과 갈릴레이 비교를 중심으로
갈릴레오 갈릴레이/이무현 역(1996), 새로운 두 과학: 고체의 강도와 낙하 법칙에 관한 대화. 민음사.
갈릴레오 갈릴레이/장헌영 옮김(2004), 시데레우스 눈치우스. 승산.
고정욱 글, 김용선 그림(2002), 고정욱 선생님이 들려 주는 장영실. 산하.
김경대(2007), 갈릴레이의 물리노트, 녹색지팡이.
남문현(2002), 장영실과 자격루 : 조선시대 시간측정 역사 복원. 서울대학교출판부.
아이너 테일러, 권경희 옮김(2005), 30분에 읽는 갈릴레오. 랜덤하우스중앙,
웨이드 로랜드/정세권 옮김(2003), 갈릴레오의 치명적 오류, 미디어윌M&B.
윌리엄 쉬어, 마리아노 아르티가스/고중숙 옮김(2006), 갈릴레오의 진실 : 논란 많은 한 천재 과학자를 위한 변명, 동아시아.
제임스 맥라클란/이무현 옮김(2002), 물리학의 탄생과 갈릴레오, 바다출판사.
존 로지, 정병훈ㆍ최종덕 역(1999), 과학철학의 역사. 동연,
16강 범교과 주제별 통합논술
김병렬(1994),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곳 : 어린이 글짓기를 위한 주제별 예화집, 샘터.
김보일, 구번일(2006), 책꽂이 속에 숨어 있는 논술 : 우리 시대의 명저를 37가지의 주제로 읽는다, 살림출판사.
김슬옹(2004), 소주제별 네 박자 또물또 독서 교육 프로그램 구성 전략과 실제, 교육 한글 16․17호, 한글학회
김용석, 이재민, 표정훈 편(2006), 한국의 교양을 읽는다 - 1. 종합편 : 논술,토론,교양의 심화를 위한 43개의 주제와 43명의 놀라운 답변들,휴머니스트.
박찬구(2006), 개념과 주제로 본 우리들의 윤리학, 서광사.
새로운 교재를 만드는 사람들(2005), 즐거운 인문수업 : 중등 배움책 1 주제가 있는 통합 수업, 커뮤니티 출판사.
앨릭잰더 스터지스, 홀리스 클레이슨/권용진 옮김(2007), 주제로 보는 명화의 세계, 마로니에북스.
인디고 서원 엮음(2006), 주제와 변주, 궁리.
조월례 편(2002), 순희 사는 동네 : 주제별 동시선집, 오늘어린이.
JUDY HERR/이연승 등 옮김(2005), 창의적 활동을 위한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 시그마프레스.
17강 통합일기를 통한 통합논술론
강라현/홍성지 그림(2007), 관찰 일기 쓰기 : 과학적 탐구력과 생각하는 힘을 키워 주는, 계림.
김수홍(2007), 강남 김선생의 논술 잡는 일기비책, 바탕교육.
대구금포초등학교1학년2반 지음(1995). 내가 처음 쓴 일기. 보리.
박효미(2006). 일기 도서관. 사계절.
안정효(2006), 안정효의 글쓰기 만보 : 일기쓰기부터 소설쓰기까지 단어에서 문체까지, 모멘토.
윤태규 엮음/김성민 그림(1998), 내가 처음 쓴 일기 : 1학년 한 반 아이들이 쓴 일기 모음, 보리.
윤태규(1998), 일기쓰기 어떻게 시작할까, 보리.
이병흔(2000), 엄마가 어떻게 일기지도를 할까, 대교출판.
장선희 외/나정숙 엮음/홍성지 외 그림(2004), 초등 일기 쓰기 1 : 처음 쓰는 일기, 깊은책속옹달샘.
장정일(2007). 장정일의 독서일기 7. 랜덤하우스코리아.
팡저우 엮음/고보혜 옮김(2007), 초등 논술, 일기로 끝내라, 예문.
18강 비평식 첨삭 전략
고전연구회 사암, 한정주, 엄윤숙(2007), 조선 지식인의 비평 노트, 포럼.
김영건(2000), 철학과 문학비평 그 비판적 대화, 책세상.
노스럽 프라이/임철규 옮김(2000), 비평의 해부, 한길사.
서근원(2007), 수업을 왜 하지? : 수업 비평으로 여는 수업 이야기, 우리교육.
서울교대 미술교육연구회(2004), 재미있는 미술 감상 수업 : 통합적인 미술 감상과 비평의 이론과 실제, 예경.
원종찬(2001), 아동문학과 비평정신, 창비.
이선영 편(2001), 문학비평의 방법과 실제, 삼지원.
이혁규 외(2007), 수업, 비평을 만나다 : 수업 비평으로 여는 수업 이야기, 우리교육.
조셉 칠더즈, 게리 헨치 편/황종연 옮김(1999), 현대문학 문화비평 용어사전, 문학동네.
테오도어 W.아도르노/홍승용 옮김(2004), 프리즘 : 문화비평과 사회, 문학동네.
19강 대면 첨삭을 통한 통합지도 전략
김진규(2001), 과학자 인터뷰 : 위인전에서 탈출한 100명의 과학자와 함께하는, 흰돌.
김창룡(1994), 인터뷰, 그 기술과 즐거움, 김영사.
드니 로베르, 베로니카 자라쇼비치 인터뷰/레미 말랭그레 삽화/강주헌 옮김(2002), 촘스키, 누가 무엇으로 세상을 지배하는가 : 세상의 진실을 들여다보는 통찰 - 촘스키와의 대화, 시대의창.
로버트 해치, 윌리엄 해치/문일윤 옮김(2006), 히어로 프로젝트 : 10대 2명이 작성한 10개의 색다른 인터뷰, 한국맥그로힐.
리오넬 오귀스트 외/고정아 옮김(2006), 에코토이, 지구를 인터뷰하다, 효형출판.
비올라 팔켄베르크/이현표 옮김(2001), 인터뷰이를 위한 인터뷰의 이론과 실제, 커뮤니케이션북스.
오효진(2004), 인터뷰의 황제가 되는 길, 월간조선사.
조선일보 편집국 편(2001), 지성과 예술의 프런티어 : 인류의 미래를 열어가는 20인과의 현지 인터뷰, 조선일보사.
최용범(2002), 13인의 변명 : 역사 인물 가상 인터뷰, 청년사.
Alan H. Nierenberg/김종완 외 옮김(2005), 면접관을 인터뷰하라!, 한국맥그로힐.
20강 통합논술 답안 구성론
고전연구회 사암, 엄윤숙, 한정주(2007). 조선 지식인의 비평노트. 포럼.
권영부 외(2006), 통통 통합논술, 경향신문사출판국.
김남수(2007), 논술의 강 : 혼자서 통합논술 정복하기 실전편, 한언.
네오씽크 통합논술연구소(2007), 중학생을 위한 즐거운 논술 즐거운 글쓰기 : 16일만에 글짱 되는 비결, 네오씽크.
송국현, 윤진호, 김면수(2006), 논술의 정석 10ㆍ3 : 대입 통합논술의 기본을 가르쳐주는, 글담.
장하늘(2006). 독해기술. 다산초당.
최진규(2006), 교과서로 배우는 통합논술, 늘품미디어.
헤르메스/이정전 감수(2006), 헤르메스의 친절한 통합 논술, 랜덤하우스코리아.
황남기(2007), 우리가 경험한 논술 : 읽고 남는 것이 있는 통합 논술 개론서, 새빛에듀넷.
히구치 유이치/남도현 옮김(2006), 통합논술, 이렇게 써라, 기파랑.
21강 구술과 논술의 상호작용
글샘 논술 연구소(2007), 논술 자세잡기 - 단계별 글쓰기, 글샘논술구술연구소.
글샘 논술연구소(2006), 논술 도움닫기 - 통합 교과형 논술 1, 글샘논술구술연구소.
김기환(2003), 논술구술 개념노트, 자우출판사.
김슬옹, 마상룡 외(2005), 논술짱! 구술UP!, 세종서적.
매일경제 NIE연구회(2004), 신문으로 논술·구술 끝내기, 매일경제신문사.
미크 오헤이어 엮음/이균형 옮김/김영산 감수(2003), 교과서는 모른다, 범문사.
박용성(2007), 교과서와 함께 구술 논술 가볍게 뛰어넘기 1, 2 (개정판), 이슈투데이.
서울대 구술교육연구회 황인표(2001), 구술면접의 길잡이, 울력.
유임하(2004), 동서양 고전, 읽기와 글쓰기 : 논술, 구술, 토론을 위한 동서양 고전의 31가지 핵심 주제들 민미디어.
임태섭/김혜경 편(2005), 구술강화, 커뮤니케이션북스.
22강 칼럼니스트로 세상 개입하기 지도 전략
김종찬(2001), 신문칼럼 속지 않고 읽는 법, 새로운사람들
이현숙(2005), 신문 칼럼을 활용한 논술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최원호(2007), 논술 100 : 최원호 박사의 '교육 칼럼 속 논술 읽기', 책읽는사람들.
최진규(2006), 칼럼으로 배우는 논술, 늘품미디어.
토론논술연구소(2003), 교직 논술 면접대비 교육명칼럼 100, 자우출판사
토론논술연구소(2006), 교육칼럼읽기 118, 자우출판사
편집부(2005), 신문 명칼럼 6 : 2004.1~2004.12 (개정판)문이당 | 2005년 12월
한국교열기자회(1996), 논술과 문장백과, 한국교열기자회.
한국논술교육원(2005), JUMP UP 독서와 논술 14 (칼럼논술) : 통합교과형 논술 정복자, 한국논술교육원.
허행랑(2000), 한국의 신문칼럼, 한국언론재단.
23강 통합논술 논제 출제론
김도남(2001), 다중 텍스트를 활용한 작문 지도 방법 탐색, 한국초등국어교육 제19집 (2001. 8) pp.1-3,6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김미경(2006),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텍스트 구성 연구 : 다중 텍스트(multiple texts) 활용을 중심으로,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민영(2007), 다중 텍스트 활용이 아동의 시 감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영민(1997), 컨텍스트로 패턴으로, 문학과지성사.
롤랑바르트/김희영 옮김(1997), 텍스트의 즐거움, 동문선.
박진(2005), 서사학과 텍스트 이론 : 토도로프에서 데리다까지, 랜덤하우스중앙.
배식한(2000), 인터넷, 하이퍼텍스트 그리고 책의 종말, 책세상.
유정희(2006), 상호텍스트성에 기반한 읽기 교과서 구성 방안, 한국교원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현영(2005), 다중 텍스트를 활용한 비판적 이해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경기대 국제·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W.J.T. 미첼/임산 옮김(2005), 아이코놀로지 : 이미지, 텍스트, 이데올로기, 시지락.
24강 논제와 제시문 분석하기 지도론
권영민(1997), 우리문장 강의, 신구문화사.
리처드 폴 외/박진환 외 옮김(2006), 생각의 기술 논술의 기술 1 : 어떻게 분석적으로 생각하는가?, HOTEC.
박선희(2005), 쟁점발견ㆍ쓰기ㆍ첨삭 거쳐 논술지도 방법 체계화 실천, 교육마당21. 통권 283호 (2005. 9), pp. 38-40.
백우영 외(2005), 한국의 논제 20 :우리 사회 핵심 이슈 논리 심층분석, 데모스.
서울특별시교육청(2005), 논술 지도 매뉴얼, 서울특별시교육청.
아르노 기그/민혜숙 옮김(2003), 법, 정의, 국가 : 주제와 논제, 동문선.
윤문원(2006), 이지딥 논술심층면접 골격 제시문, 씽크파워.
이동락(1999), 고등학생의 작문 실태 분석 연구 : 논술문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은주․이용(2007). 초등 논술에 날개를 다는 독서전략. 즐거운상상.
한국경제신문 경제교육연구소(2006), SKY 대입논술 시사이슈 30선 고전제시문 30선, 한국경제신문사.
허수진(2006), 중등학교 논술지도 방안 연구,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강 관점별 답안 구성론
강창구(2006), 미래의 신화 - 역사적 관점의 서술, 시대와조류.
권순희(2005), 청자 지향적 관점의 표현 교육, 역락.
김슬옹(1999), 관점설정과 논술 교육, 한민족문화연구 제4집 (1999. 6) pp.93-101, 새로운사람들
김창원(2007), 국어교육론 : 관점과 체제, 삼지원.
바탕소 편(1997), 논리의 바다를 횡단하라 : 논술관점 yes no, 무크출판사.
박정민(2006), 관점과 논술, 방형식디자인.
위르겐 슐룸봄 편/백승종 외 옮김(2001), 미시사와 거시사 : 역사를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 궁리.
이봉휘(2006), 논술지도 관점에서 본 흥부전의 교수-학습 방법론 : 선과 악을 중심으로, 전북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진옥(2006), 읽기·쓰기 통합 논증텍스트 교육 방안 : 통합논술교육의 기초적 접근, 경기대 국제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Catherine Twomey Fosnot 외/조부경 외 옮김(2001), 구성주의 이론, 관점, 그리고 실제, 양서원.
26강 놀이식 통합논술 전략
고문숙, 임영심, 황정숙(2006), 어린이 놀이지도, 양서원.
고미 타로 그림(2002), 그림으로 생각 키우기 : 그림 그리기 놀이를 하며 상상력과 창의력을 키워요, 창해.
로제 카이와(2002), 놀이와 인간, 문예출판사.
박태호․박미옥․김종길(2006). 신나는 놀이 재미있는 읽기 수업. 정인출판사.
예지각 편집부 편저(1992). 놀이이론과 실제, 예지각.
우어줄라 라우스터(1997), 논리놀이 1, 미래M&B.
전국역사교사모임, 윤종배(2003), 놀면서 배우는 신나는 국사 시간, 역사넷.
정은주 편(1998), 귀찮은 일기 놀면서 쓰기, 동인.
조은아(1997), 놀면서 생각하고 웃으면서 배운다, 생각하는백성.
진중권(2005), 놀이와 예술 그리고 상상력 : 유쾌한 미학자 진중권의 7가지 상상력 프로젝트, 휴머니스트.
한경애(2007), 놀이의 달인, 호모 루덴스, 그린비.
27강 초등 교과 재구성 논술 지도 전략
고정아/김영곤 그림(2001), 교과서 속 세계인물 100 : 초등학생이 꼭 읽어야 할, 대교출판.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1996), 초등 교과 교육 방법의 새로운 방향 탐색, 광주교육대학교.
김강일, 김명옥(2006), 교과서만 따라 해도 초등 논술 OK, 예담friend.
대한교과서편집부(1998), 초등학교 교육과정, 대한교과서.
유한구 외(2005), 초등 통합교과 지도 프로그램 개발, 교육인적자원부.
이인제 외(2002),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초등 교과 교육론, 원미사.
장경선, 김용배 외(2005), 초등1학년 통합논술 : 교과서와 함께하는, 청어람.
정선영(2006). 챌린저 논술 1-6. 챌린저교육사.
정성현(2003). 역사논술(생각하는 힘을 키워주는). 아이북.
초등교과서연구모임_홍승화(2005), 그리기로 배우는 초등1학년 교과서 : 국어, 바른생활, 슬기로운 생활 편, 미다스북스.
한국교과서연구재단(2005), 초등학교 교과서 개발의 절차와 원리 구안에 관한 연구, 한국교과서연구재단.
허경철 외(200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개정(시안) 연구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8강 초중고 통합논술 예시 : 훈민정음
강신항(2003), 훈민정음연구(수정증보), 성균관대학교출판부.
고태규(2007), 훈민정음과 작가들, 널개.
김봉태(2002), 훈민정음의 음운체계와 글자모양, 삼우사.
김슬옹(2005), 조선시대 언문의 제도적 사용 연구, 한국문화사.
김슬옹(2005), 통합교육을 위한『삶쓰기 논술교육론』, kcu 2005
김슬옹(2007), 28자로 이룬 문자혁명 훈민정음, 아이세움.
박창원(2005),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전정례, 김형주(2004), 훈민정음과 문자론, 역락.
정광(2006), 훈민정음의 사람, 제이앤씨.
한문희(2005), 한글의 슬기와 세종대왕 : 세계기록유산 훈민정음 28글자에 담긴, 꿈이있는세상.
29강 [초청 대담] 삼국지를 활용한 초등 통합논술_저자와의 대화 :김광원 초등학교 선생님을 모시고
고우영 글 그림/나관중 저(2005). 고우영 어린이 삼국지 세트 1-5. 자음과모음.
김광원/한창수 그림(2006), 삼국지 속에 숨은 논술을 찾아라, 주니어김영사.
김구용 역/나관중 저(2003). 삼국지연의 1-10. 솔.
김운회(2006). 김운회 교수의 삼국지 바로읽기. 삼인.
리동혁/예숭 그림/저우원예 지도/나관중 저(2005). 본 삼국지 1-11. 금토
베스트라이프(2007). 초등논술이 대입논술을 좌우한다. 글고은.
이문열 역/나관중 저(2002). 삼국지 1-10. 민음사.
이문열 역/이희재 그림/나관중 저(2002). 만화 삼국지. 아이세움
진수/김원중 역(2007). 정사 삼국지. 민음사.
책마루 독서교육연구회(2007). 초등학생 독서논술(고학년). 가림출판사.
황석영 역/나관중 저(2003) 삼국지. 창비.
황석영 역/이충호 그림/나관중 저(2007). 만화 삼국지 1-10. 애니북스.
30강 논술 동아리의 힘 : 방경태 선생님과의 대담
곽유진(1997), 통합교과적 논술 지도 방안 연구, 홍익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슬옹(2000), 통합교육을 위한 삶쓰기 논술교육, 인간과자연사.
대전광역시교육청(2007). 대전광역시 통합논술교육 워크숍.
박태견(2006), 나는 비빔밥 인간을 만들고 싶다 : 정운찬 서울대 총장이 통합 논술을 주장하는 이유, 뷰스.
서울특별시교육청(2005), 논술 지도 매뉴얼,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2007). 논술교육동아리 선생님을 위한 통합논술지도 길라잡이. 서울시교육청.
스튜어트 휴스 /황문수 김병익 김창희 옮김(2007). 의식과 사회, 막다른 길, 지식인들의 망명. 개마고원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중앙상담교사단(2006), 논술교육 길라잡이,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학사지원부.
황남기(2007), 우리가 경험한 논술 : 읽고 남는 것이 있는 통합 논술 개론서, 새빛에듀넷.
황진옥(2006), 읽기·쓰기 통합 논증텍스트 교육 방안 : 통합논술교육의 기초적 접근, 경기대 국제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