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20203
렘(REM·Rapid Eye Movement) 수면은 독특한 성격 덕에 다른 수면 주기에 비해 인지도가 높다. 렘 수면에선 뇌파가 깨어 있을 때와 비슷하다. 그래서 생생한 꿈을 꾸게 된다. 또 감정을 처리하고 기억을 형성한다.
그런데 최근 들어 치매 연구자들은 ‘서파(徐波) 수면’이라 불리는 수면 주기에 관심을 더 기울이고 있다. 서파 수면은 렘과 달리 깊은 잠에 빠져 뇌파도 축 늘어진 상태를 말한다. 이때 뇌에선 놀라운 일이 벌어진다. 하수구가 열려 오폐수가 쏟아지듯 뇌 노폐물이 뇌척수액의 흐름을 타고 밖으로 콸콸 배출된다. 평소보다 수십배 많은 찌꺼기가 씻겨나간다.
잠을 절반으로 나눈다면 서파 수면은 전반전에 주로 일어난다. 이때 깊은 잠을 어떻게 자느냐가 매우 중요해진다.
치매 예방의 가장 강력한 수단인 서파 수면을 강화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잠에 못 들어 뒤척이는 이들에게 다시금 꿀잠이 찾아오게 하는 방법은 뭘까. 강승걸 가천대 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와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치매를 막아주는 ‘서파 수면’에 대해 알아봤다.
① 치매 폭증시키는 수면 타입
② 서파 수면 때 뇌에서 벌어지는 일
③ 수면 부족하면 뇌가 스스로 잡아먹어
④ 핑크 노이즈의 효과
⑤ 불면증의 근본 원인 제거하는 법
치매 폭증시키는 수면 타입
치매는 수면 부족과 아주 강력한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지난해 10월에 나온 연구는 특히 서파 수면이 약간만 줄어도 치매 위험성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최근 과학자들은 이 서파 수면의 질을 높이는 방법도 하나 고안해냈습니다.
바로 핑크 노이즈입니다.
서파 수면엔 화이트 노이즈보다 핑크 노이즈가 더 효과적이라고 하죠.
치매와 서파 수면의 상관관계, 그리고 핑크 노이즈와 불면증을 없애는 방법에 대해 전문가 인터뷰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서파 수면 때 뇌에서 벌어지는 일
서파 수면은 잠의 어느 단계를 말할까요.
잠에는 사이클이 있습니다.사이클은 네 단계로 구성돼 있습니다.
한 사이클이 약 90분 정도 지속되고, 보통 하룻밤에 다섯 번 정도 반복됩니다.
초기의 3단계는 비REM 수면입니다.
첫 단계에서 비몽사몽 하다 두 번째 단계에서 조금 더 깊이 잠 속으로 빠져듭니다.
그리고 세 번째 단계가 서파 수면입니다.
뇌파가 아주 느려지고요.
근육도 축 늘어져서 세상과 아주 멀어집니다.
잠의 전반부에 집중돼 있습니다.
마지막 네 번째 단계는 REM 수면입니다.
말 그대로 눈이 바삐 움직이는 수면이죠.
이 구간에서 꿈을 꿉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