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초먹거리학교'를 세운 충남대학교 화학과 이계호 교수의 건강 강의(1)
🌱🍃아래의 글은 우리의 생명과 직결되어 있는 중요한 글이라서 오늘은 다른 내용은 보내지 않으니 오래 오래
건강하게 살고 싶으면 필독 하시기 바랍니다.🌱🍃
장문 이지만 끝까지 읽어보시면 큰도움 됩니다
가을 단풍이 막바지 절정을 이루던 지난 11월 15일.
대전에 소재한 한 교회에는 전국 각지에서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멀리 제주도에서 비행기 타고 온 사람도 있었고,
경북 안동에서 새벽밥 먹고 올라왔다는 사람도 있었다.
그들이 비싼 비행기 삯도 불사하고, 또 천리 길도 마다않고
대전까지 달려온 이유는 단 하나!
'태초먹거리학교'를 세운
충남대학교 화학과 이계호 교수의 건강강의를 듣기 위해서였다.
한 달에 한두 번씩 진행되고 있는 이계호 교수의 토요 건강강의는
언제나 관심폭발이다.
생사의 기로에 서 있는 암 환자부터 건강에 관심이 많은 일반인들까지
다양한 사람들로 북새통을 이룬다.
왜일까?
의사도 아닌 그에게 왜 사람들은 이토록 열광할까?
그래서 들어봤다.
이계호 교수가 한 달에 한두 번씩, 황금 같은 토요일 오후에,
타는 목 물로 축여가며 장장 4시간 동안 전하고 있는 메시지를!
그것도 벌써 4년째 돈 한푼 받지않고 무료로 하고 있는 이유를!
글 / 허미숙 기자
도움말 / 충남대학교 화학과 이계호 교수 (태초먹거리학교 설립자)
part1
가을 단풍 좋은 줄 알지만…
27-1
“저도 토요일에 놀러갈 줄 압니다. 가을 단풍 좋은 줄 압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황금 같은 토요일 오후,
단풍 구경 가는 대신 마이크를 잡은 사람!
충남대학교 화학과 이계호 교수다.
2014년 11월15일,
200~300명의 사람들이 운집한 가운데 건강강의를 시작한 그의 첫마디는
“나는 의사가 아니다.”는 거였다.
“암을 치료하는 의사가 아니다.”는 거였다.
그러나
“암 환우들이 겪고 있는 시행착오를 너무도 잘 알기에 이 자리에 섰다.”고 말했다.
그것은
그가 25년의 짧은 생애를 살다간 딸을 둔 아버지였다는 사실과 결코 무관하지 않다.
스물두살 딸의 가슴에 작은 양성혹이 발견되어 수술을 했는데
그것이 암세포였다.
그래서 수술과 항암요법, 방사선요법까지 완벽하게 했고,
당연히 완치된 줄 알았다. 그러나 섣부른 예단이었다.
너무도 사랑했던 딸은 스물다섯이라는 꽃다운 나이에 그의 곁을 떠났다.
그래서 시작했다.
단풍 구경 가는 것도 마다하고 마이크를 잡은 이유다.
이계호 교수는
“수많은 암 환우들이 생사의 기로에서 겪고 있을 시행착오를
조금이라도 줄여주기 위해
올바르게 먹고 올바르게 사는 법을 알려주고 싶었다.”고 말한다.
그런 그가 장장 4시간 동안 강조하고 또 강조한 말은
“암에 대한 비법은 없다.”는 거였다.
한두 가지 비법으로 암을 해결할 수 있다는
환상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거였다.
모든 건강한 사람에게도 암세포는 있으며,
하루에 수천 개, 수만 개가 만들어지기도 한다는 거였다.
그런데 어떤 사람은 암 환자가 되고 어떤 사람은 건강하다.
도대체 그 차이는 어디서 오는 걸까?
이계호 교수는
“암세포가 아무리 몸에 많아도
암을 제압할 수 있는 면역력만 원래대로 유지하고 있다면
암은 결코 생기지 않는다.”고 말한다.
그래서 그가 줄기차게 강조하고 또 강조하는 메시지는 하나다.
내 몸의 면역력을 활성화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내 몸의 면역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무엇을 먹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그 방법을 알려주는 일에
두 팔 걷어부치고 열심이다.
그 실체를 소개한다.
part2
'사람은 흙집이다'
이계호 교수는 사람을 일러 ‘흙집’이라고 말한다.
우리 몸 성분을 화학적으로 분석해보면
'흙'과 '물'의 성분과 같다는 것이다.
우리 몸의 뼈 성분은 흙의 주요 성분과 화학적으로 완벽하게 일치하고,
우리 몸의 액체 성분은 바다의 성분과 화학적으로 똑같다는 것이다.
그래서 사람은 자연의 한 부분이다.
자연의 법칙에 어긋나서는 살 수가 없는 존재다.
자연의 흙과 물로부터 영양분을 공급받아야 하고,
또 되도록 자연스럽게 살아야 한다.
그렇지 못하면 건강에 적신호가 켜진다.
이계호 교수는
“인간이 갖고 있는 거의 대부분의 건강상의 문제는
자연의 법칙에 거슬러서 살기 때문에 생긴다.”고 말한다.
왜? 성공하기 위해서!
그래서 무리를 하고, 스트레스를 받고, 제대로 된 먹거리를 먹지 못하면
우리 몸의 균형이 깨지면서 면역시스템에 문제가 생긴다.
그것은 각종 질병의 발아점이 된다.
따라서 암을 이기는 노하우도 바로 여기에 있다.
내 몸의 면역력을 약하게 하는 원인들을 해결하면 된다.
이계호 교수는
“우리 몸의 면역력에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요소는
- 매일매일 먹는 음식
- 매일매일 사는 환경
- 그리고 24시간의 생활습관이 좌우한다.”고 말한다.
그 중에서도 특히 매일매일 먹는 음식은
우리 몸의 면역력을 좌우하는 바로미터가 된다고 말한다.
그런데 문제는
오늘날 우리가 먹고 있는 먹거리의 참혹한 민낯이다.
이계호 교수는
“지난 100년 동안 가장 많이 변질된 것이 바로 먹거리”라며
“먹거리가 돈을 벌기 위한 수단이 되고 경제 논리가 끼어들면서
건강에 가장 큰 위협요소가 되고 있다.”고 말한다.
출처:건강다이제스트
-옮긴 글-
추신 : part3~5 는 2, 3부에서 계속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