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인 活살활人사람인
죽어가는 사람을 살리는것
활인법 : 죽어가는 사람을 살려내는 요령.
활인업: 죽어가는 사람을 살려내는 업. 活人業.
직업의 종류가 수없이 많은 것은
사람마다 특성과 취향이 다른사회이며
현대 문명의 경제활동으로 돈이 필요하게 되니,
다양한 돈벌이 수단이 생겨나며,
무작위가 아닌 법으로 제한하는 이유도 있게된다.
정치 경제 문화 사회라는 구조적 세상에서 문명 이기라는 돈이 생기고
이로부터 자꾸 발전되어 직업이 생기는 것이리라.
역학원 철학관을 활인업이라하기도 하고,
의사, 종교인, 무속인 등이 포함되며,
법계 언론 불량조직도 활인업이라 할수있다.
이뿐이겠는가.세상모든 직종을 말할수 있을 것이다.
역학적으로 직업을 논할 때
연예인은 끼가 있어야 하므로 도화살이 있어야하고,
공무원은 관성(官性)이 강해야 하며
교수나 선생은 인수(印授)가 강해야 하며,
말로 벌어먹는 직업은 식상(食傷)이 강해야 한다.
라고 말한다.
이런 관점에서 활인에 속한다 할수 있을 것이다.
그러니 따지고 보면 활인 아닌것이 있겠는가.
활인의 문제는 무엇일까?
아마 여기 동의명학이 최고의 활인업 아닐까?
곰곰이 생각해보면 답이 그렇다.
전 활인을 총괄할수있으니 그 위에 있다 할것이다.
무엇으로 죽어가는 사람을 살려내느냐.
그 도구에 의해서 쉽고 돈이 적으며 효과도 타에 비해 월등할수록 좋은 활인법이리라.
주변환경조건 비유 할때에 가장 유리한 활인법이 무엇일까?
많은 활인업들이 쉬운길을 돌아가게 하고있다고 생각해보거라.
돌게하는 이유로는 방식이 무지해서일까?
서로 맞지 안아서일까?
돈에 눈이 어두워서 그런경우도 있고,
규제 제한의 법 때문일수도 있고,
유행에 의한 편향때문일수도 있으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