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상경화증
동의어 대뇌혈관 질환, 순환기계 질환, 심장 질환
분류 -- 대뇌혈관 질환, 순환기계 질환, 심장 질환
발생-- 부위 머리, 흉부, 전신
증상-- 무증상, 말초 통증, 말초의 허혈, 저림
진료과 --심장내과, 흉부외과
관련 질환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심근경색증,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고지혈증
정의 --동맥경화란 혈관벽 내부에 콜레스테롤 등이 쌓여 혈관이 좁아지는 전신성 질환입니다.
원인 -동맥경화란 혈관벽 내부에 콜레스테롤 등이 쌓여 혈관이 좁아지는 전신성 질환으로서, 그 원인으로서는 고혈압,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 흡연, 비만, 연령 등의 다양한 위험 인자들이 복합적으로 관여합니다. 관상동맥에 의한 심근경색과 허혈성 뇌혈관 질환의 주요 원인입니다.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을 일으키는 혈관협착은 동맥경화가 주요 원인입니다. 동맥경화에 의한 혈관협착(혈관의 좁아짐)은 병든 혈관벽이 두꺼워져서 죽상판을 형성하여 혈관이 좁아지거나 죽상판이 파열돼서 혈관을 막기 때문에 생깁니다.
증상 ---신장손상, 관상동맥질환, 뇌나 사지로의 순환장애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동맥경화가 극도에 달하여 동맥내강의 70%이상이 막혔을 때 그 말초부위로의 혈류가 감소하여 비로소 증상을 느끼게 됩니다. 즉 환자는 아무 불편을 느끼지 않으면서도 사실은 동맥경화가 상당히 진행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뇌졸중은 경고증상이 없이 발생합니다. 일과성 허혈 발작(transient ischemic attack)이라고 하는 뇌졸중은 뇌로 가는 혈액공급이 잠깐 동안 되지 않아 뇌졸중과 비슷한 증상이 생기는 것으로 대개 수분 내로 소실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혈액공급을 수십 분 이상 받지 않은 죽은 뇌 (뇌경색)는 치료받지 못할 경우 본래의 기능을 회복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침범부위에 따라 마비, 감각이상, 언어장애, 시력이상, 어지럼증,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좋은 자료라 퍼 온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