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우수카페]귀농사모/한국귀농인협회
 
 
 
카페 게시글
자유게시판 달걀은 먹어도 안전할까? 먹는다면 어떻게 먹어야 할까?
(前)바로알자 추천 2 조회 165 25.03.27 16:37 댓글 15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25.03.27 16:47

    첫댓글
    달걀은 안 먹는 것이 최선(最善)이고, 차선(次善)은 적게 먹되 항상 저(低)지방 식물성(植物性) 전체 식품(全體食品)과 함께 먹는 것입니다.
    =달걀을 굳이 먹는다면 Low-fat Whole Food Plant-based diet(저-지방 전체 식품 식물 기반 식단)와 함께 최소한으로 먹는 것입니다.

  • 알자님은 아시는게 많으셔서 오래건강하게 사십시요

  • 작성자 25.03.27 17:25

    감사합니다.
    100세이상 88 무병장수가 인생 목표입니다.
    많은 사람과 더불어 함께 오래 무병장수하면 좋지요.
    개똥 밭에 굴러도 저승보다는 이승이 낫지요.
    언제 죽을지는 모르지만 살아 있을 때는 건강하게 사는 것이 좋지요.

  • 채식주의자라면 몰라도
    말도 안되는 이론 같습니다.

  • 작성자 25.03.27 18:54

    서구인은 육식(肉食)이 주식이고 동양인은 쌀밥+채소(=복합탄수화물)가 주식이니 각자 알아서 판단할 일입니다.
    저는 그냥 책의 내용을 전했을 뿐이고 판단과 선택은 독자의 영역입니다.^^

  • @(前)바로알자
    옛날꼰날 꽁보리밥에 된장국이 주식이였을땐
    환갑만 되어도 장수했다고 동네방네 잔치를 했었습니다.

    20~30년전 부터 우리 국민들이 잘먹기 시작
    치킨, 삼겹, 생선...등등 식단이 육식으로 바뀌면서

    평균 수명이 거의 20년 늘었지요.
    잘먹은 사람이 힘도세고 건강하고 장수합니다.

    초등학교 1학년 교과서에 나왔어요~^^

  • 작성자 25.03.27 21:50

    @바게트(장흥 제암산)
    과거에도 오래 산 사람은 오래 살았습니다.
    현대에도 일찍 죽는 사람은 암이나 각종 만성 퇴행성 질병으로 일찍 죽습니다.
    식단이 육식으로 바뀌면서 체구는 커지고 힘도 세졌으나 체질은 더 떨어졌고 각종 만성 퇴행성 질병에도 노출이 심화되었죠.
    평균 수명이 늘어난 것은 상하수도 시설 등 공중 보건과 위생 예방 의학이 발달하고 특히 예방 접종 등으로 영유아 사망률이 급격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보이는 착시(錯視) 현상일 뿐이죠.
    외과 및 산부인과 시술에 사용되는 멸균 기술의 발달, 공중 위생의 발전, 그리고 예방 접종의 광범위한 시행으로 전염병으로 인한 사망이 감소했기 때문이죠.
    출산시 죽음, 백일해, 콜레라, 천연두, 파상풍, 디프테리아 등으로 죽는 경우는 거의 없으니까요.
    실질적으로 늘어난 수명도 20년은 좀 거시기 하고 한 10년 늘어났다고 볼 수 있으나 그 10년도 누구나 건강한 장수는 아니라는 것이 문제죠.
    위 글은 건강한 장수를 위한 참고 사항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 25.03.27 21:24

    삶은계란
    하루에2개정도 먹는데요
    옛날엔 콜레스테롤
    문제로 안먹었는데
    요즘은또 문제가 안된다고 해서 먹고있네요

  • 작성자 25.03.27 21:53

    옛날에는 영양부족이 문제인 시대였고 현대는 영양과다가 문제인 시대입니다.
    각종 만성 퇴행성 성인병의 발생은 고기, 생선, 달걀, 우유, 유제품, 가공 식품, 식용유 등과 관계가 있으니 이 점을 유념하셨으면 합니다.

  • 25.03.27 21:54

    @(前)바로알자
    녜 참고하겠슴니다^^

  • 25.03.27 22:46

    경동맥 죽상경화와 관계과 있을까요?

  • 작성자 25.03.28 05:23

    예, 관계가 있습니다.
    본문에 나오는 경동맥(頸動脈-목에 있는 동맥)플라크(plaque)가 경동맥 혈전(血栓)이고 경동맥 죽상(粥狀) 경화(硬化)입니다.
    병에 가져다 붙이는 이름인 병명(病名)은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신체의 어디에서 발생했느냐에 따라 붙여진 이름에 불과합니다.
    즉, 심장 마비를 일으키는 동맥경화나 똑같은 병입니다. 즉 혈관이 굵어지고 좁아지고 그 혈관 통로에 진득한 혈액이 정체(停滯)되어서 혈액 순환이 잘 안되고 막힌 상태입니다.
    님이 현재 경동맥에 문제가 있다면 100% 동물성 식품인 고기, 생선, 달걀, 우유, 유제품과 가공 식품, 식용유, 식용유로 만든 음식을 완전히, 철저히 끊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동물성 식품에만 콜레스테롤이 들어 있고 콜레스테롤이 죽상경화를 만드는 주범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님의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150mg/dL이하를 유지하면 님은 경동맥죽상경화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될 때까지는 절대로 동물성 식품을 드시면 안 되고 본인이 항상 말하는 저(低)지방 전체 식물식(植物食)인 현미밥을 꼭꼭 씹어서 드시고 반찬으로는 채소 반찬만 먹는 것을 철저히 해 보시기 바랍니다.

  • 작성자 25.03.28 05:28

    현미밥은 소량만 먹어도 되고 100번 이상 철저히 씹어서 완전히 죽을 만든 다음에 삼켜야 합니다.
    그리고 밥을 다 드신 다음에 채소를 따로 드실 것을 권합니다.
    왜냐하면 밥과 반찬을 함께 먹으면 현미밥의 진미(眞味), 진짜 맛을 모르고 잘 씹어 먹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현미밥에는 많은 반찬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2~3가지면 충분하고 찌게나 국종류는 피하시기 바랍니다.
    모든 혈관병 예방의 핵심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150ml/dL이하로 유지하는 데에 있고 그 중 LDL콜레스테롤 수치는 80mg/dL이하로 유지하는 데에 있습니다.

  • 25.03.28 12:43

    채식과 과일 위주의 음식이 가장 좋습니다.

  • 25.03.29 09:27

    이세상에서 계란만한 완전식품이 있을까
    너무과하지만 않으면 좋은식품을 어느
    누구나 알고있는상식을 혐오스럽게 표현하는구만 설득력도 참없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