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오디오와 컴퓨터
 
 
 
카페 게시글
한국의 전통문화 수표교(水標橋)와 수표(水標)
관운 추천 0 조회 194 17.01.26 22:07 댓글 3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17.01.26 22:19

    첫댓글 말끔하게 보이는 수표는 세종대왕기념관에 있는 원래의 수표를 지표조사하고 같은 크기로 만들어 국립중앙박물관 역사에 길에 전시해 놓은 복제(Replica)품 입니다. 전시하는 것은 좋은데 앞과 뒤를 바꿔 전시해 놓았다고 지적하니까 있지도 않은 뒷면에도 수표를 새기고 뒷면이 앞면인것 처럼 잔머리를 썼습니다. 그것도 박물관에서 책임질만한 학예관이......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릴 수 없습니다. 역사를 바르게 전시해야 할 역사에 길에 바르게 전시하지 못할 망정 애써 왜곡해서야....

  • 작성자 17.01.26 22:16

    사진을 보면 패널에서는 바르게 표시 했지만 복제본은 좌측에 치우쳐 척도를 표기했습니다.

  • 작성자 17.01.26 23:22

    청계천 수표에는 庚辰地平(경진지평)과 기사대준(己巳大濬)과 계사경준(溪巳更濬)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습니다. 흙속에 파뭍혀 있어 자신이 애써 발견한 기사대준(己巳大濬)이란 글자는 1869년 고종24년 선왕의 아래쪽에 새겨놓은 준천기록으로 보입니다. 자신이 애써 발견한 글자를 차마 돌려놓기 싫었는지도 모릅니다. 나머지 두개의 글은 영조때의 준천기록을 남긴 것입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