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병 생수 가격 제각각인 이유
요즘엔 플라스틱 물병(plastic water bottle)을 어디에서나 볼 수 있다.
종류도 각양각색이다.
그런데 병에 든 물은 모두 똑같아 보이건만, 가격은 각기 다르게 매겨져 있다.
왜 그런 걸까.
가격 책정 차이 이유는 구구하고 복잡하다.
최종 소비자에게 더 높은 가격으로 부담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는 제품 이미지 작업과 마케팅 비용이다.
일부 생수업체는 상위층 소비 인구를 대상으로 삼아 매끈한 디자인과 마케팅 전략으로 프리미엄
생수임을 내세우고 비싼 가격을 받는다.
반면에 별로 알려지지 않은 상표 업체들은 인지도와 소비자 신뢰가 부족한 탓에 낮은 가격대에 비슷한
상품을 공급함으로써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려고 아등바등한다.
유통 경로차이도 가격 책정에 영향을 미친다.
고급 브랜드는 독점적 판매 네트워크나 온라인을 통해 팔려나가지만, 보다 저렴한 생수는 대량 판매
시장에서 매출 경쟁을 벌여야 한다.
말하자면 가격 차이가 용기 안의 액체와는 상관없다는 얘기다.
소비자는 실제 물값을 치르는게 아니라 상표값을 지불하는 셈이다.
업체들은 수도꼭지를 틀어 공짜로 얻을 수 있는 것을 돈 주고 사게 하기 위해 뛰어나 보이려고 공을 들인다.
그래서 연예인 등을 모델로 기용하는 등 화려한 광고 선전에 많은 돈을 들이다 보니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다.
Aquafina라는 미국 생수업체는 2007년 FDA(식품의약국)로부터 물병에 ‘P.W.S’ 표시 명령을 받았다.
병에 담은 수돗물을 판매해온 것으로 드러나자 ‘Public Water Source(공공 용수 공급원)’라고 명기하라는 제재에 처해진 것이다.
비싼 것에 돈을 펑펑 쓰고 싶다면 어쩔 수 없지만, 싼값의 생수를 마시더라도 찜찜해 할 필요는 없다고 한다.
일부에선 “생수는 사람들의 두려움과 불안감을 먹잇감으로 하는 마케팅 책략이며, 생수업체들은
공짜로 얻을 수 있는 물을 돈 받고 팔아먹는 봉이 김선달 같은 존재”라고 비난한다.
----------
tlp
생수에는 natural mineral water가 있고 mineral water가 있으니 가급적이면 natural mineral water를 사는 것이 좋을 듯하다.
[윤희영의 News Engl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