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크로제일철옥시수산화물(Sucroferric Oxyhydroxide)과 칼시페디올수화물(Calcifediol)을 간단히 비교해 보겠습니다.
두 약물은 어떤 질환에 사용하나요?
만성신장질환 환자의 무기질과 골 질환에 사용되는 약입니다.
칼슘과 인 대사의 항상성은 신장과 장, 뼈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유지되며, 여기에는 활성/유사 비타민D, 부갑상선호르몬(parathyroid hormone, PTH), fibroblast growth factor-23(FGF-23)을 포함한 여러 호르몬에 의해 조절되게 됩니다.
만성신장질환이 심각한 단계로 진행되면 투석이 필요하게 되고 이러한 균형 조절은 점점 더 어려워 지게 되어 CKD-MBD(chronic kidney disease-mineral bone disorder) 및 SHPT(secondary hyperparathyroidism)가 발생하게 됩니다.
생화학적 불균형 외에 CKD-MBD는 부갑상선 증식, 혈관석회화, 뼈통증 및 골절과 연관된 요독 뼈질환(uremic bone disorder), 심혈관계 합병증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신기능이 저하하게 되면 신장에서의 인 배출에 장애가 발생하며, 활성형 비타민D의 신장에서의 합성 저하와 함께 혈청 칼슘을 낮추게 되고 이는 PTH와 혈청 인을 높이게 할 뿐 아니라 CKD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두 약물의 작용방식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Sucroferric Oxyhydroxide는 약물내 hydroxyl group과 식이 중 인 과의 ligand-exchange process 등을 통해 혈청 인과 칼슘-인 생산물 농도를 낮추는 작용을 하며, 식이에 들어 있는 인은 장 흡수가 되지 않고 변으로 배설되게 됩니다.
칼슘이 없는 철분 기반약물이나 장관에서 철분이 흡수되는 것은 아닙니다.
Calcifediol Hydrate는 비타민D 유사체로 PTH 합성을 억제하고 PTH 농도를 낮추는 작용을 합니다.
만성신장질환에서 인 섭취 관리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G3기 이상 CKD환자의 일일 식이 중 인 섭취는 800~1200mg으로 제한하도록 합니다.
인 함량이 높은 식품(육류 및 생선, 견과류, 통 곡물, 콩과 식물, 치즈)에는 많은 중요 영양소가 포함되어 있어 CKD 환자에게 인이 풍부한 음식을 피하는 것은 이미 영양결핍 위험성이 높은 환자 군에서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반면 식품라벨에는 인 함량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어 섭취에 대한 개량을 어렵게 하며, 숨겨진 인의 공급원이 될 수 있는 패스트푸드나 가공식품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식품첨가물: pH조절제, 안정제, 풍미/색상강화제를 포함한 식품첨가물 형태의 인 사용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미국 슈퍼마켓 식품의 약50%에 인 함유 첨가물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약물 중 인: 약 제형의 10%이상이 인을 함유하고 있어 다제약물 환자의 경우 일일 인 섭취량에 크게 늘어날 수 있습니다. 인 함유량이 높은 약물로는 paroxetine(인산 111.5mg/40mg), amlodipine(인산 120mg/10mg), Lisinopril(인산 32.6mg/10mg), sitagliptin(인산염 110mg/100mg) 등이 있으며, 인 함유량은 동일 약물의 경우에도 제형이 달라지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두 약물의 용법?용량과 복용 시 주의해야 할 점을 알려주세요.
1. Sucroferric Oxyhydroxide 2500mg(철로서 500mg)
-이 약은 1일 3회 식사와 함께 씹어서 복용.
-그대로 삼켜서는 안되며 반드시 씹거나 부수어 복용
-초기 투여: 1일 3정(식사와 함께 1일 3회 1정씩 씹어 복용)
-유지 투여: 혈청 인 수치를 모니터링 하며 적정 혈청인수치로 조절될 때 까지 1일 1정씩 증량 또는 감량(2~4주 간격)
-1일 최대 유지 용량: 6정
2. Calcifediol Hydrate 20μg, 50μg
-이 약의 최적 1일 용량은 혈청칼슘수치를 근거로 결정
-초기 투여: 칼시페디올로서 1주 300~350μg 투여(매일 또는 격일 투여)
-유지투여: 대부분 50~100μg을 매일 또는 100~200μg을 격일 투여
-혈청 칼슘 수치는 매주 측정하고, 고칼슘혈증 발생 시 혈청칼슘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올 때까지 투여 중지
인결합제 계열약물과 비타민D계열 약물이 만성신장질환자의 무기질과 골 대사 Biomarker에 미치는 영향은 어떻게 되나요?
만성신장질환 환자의 무기질과 골 대사 이상 시 치료 목표는 어떻게 되나요?
·혈청 인: CKD G3a-5기 인 경우 정상 범위에 들도록 낮춰야 합니다.
·혈청 칼슘: G3a-5기 환자인 경우 고칼슘혈증이 되지 않도록 합니다. (혈청칼슘농도는 알부민 농도가 낮은 경우 보정 필요)
·PTH: 투석을 받지 않는 CKD 환자의 최적 PTH 농도는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G5기 CKD 환자의 PTH 농도는 정상 상한치의 2~9배(130~580pg/mL)로 유지되도록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