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 세일, 이사세일, 창고세일, 마당세일, 총정리 세일...
우리말로 하니 어색하긴 하지만 미국인들은 세일의 종류도 참 많다.
안쓰거나 낡아빠진 기구/가구/옷 등등을 집 앞마당에 내어놓고 하는 파는 개인 세일은 yard sale 이고, 집에 딸린 주차장 (차를 넣고도 공간이 많이 남으므로 보통 반은 창고로 쓰인다)에서 하면 garage sale 이다.
또 봄이 되면 이사를 많이 다니는데, 물건을 이사짐센터를 이용한다거나, 직접 트럭을 이용해서 이사를 다니곤 한다. 하지만 미국은 워낙 땅 덩어리가 커서 그 비용이 장난이 아니다. 새로 사면 50불에 살 수 있는 물건을 이삿짐으로 들고 가자니 그 비용이 20-30불 든다면, 차라리 헐값에 팔고 이사가서 새거 사는게 효율적일 경우가 많다. 이럴때 하는 세일이 바로 moving sale 이 되겠다. 보통 garage sale 이나 yard sale 에 비해서 moving sale 이 건질 물건이 많다.
일반 상점들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이런 저런 핑계로 세일을 하는데,
봄에 하면 spring sale 이요, 가을에 하면 fall sale 이다.
또 계절이 바뀌면서 철 지난 계절용품을 파는 세일은 end-of-season sale 이라고 한다.
재고가 많아서 재고 처분 세일이면 over-stock clearance sale 이고,
회사가 문닫으면서 하는 정리 세일은 out-of-business clearance sale 또는 closing down sale 이다. 회사가 망해서 문닫는 경우를 강조할 시에는 (급히 재고를 처분해서 빚을 갚아야 하므로 헐값에도 어쩔수 없이 내다 판다는 분위기를 풍기기 위해서) 특히 liquidation sale 이라는 말도 많이 쓴다.
자 그럼 본론으로 돌아가서,
오늘의 뉘앙스 뽀개기는 바로 세일에 관한 것인데,
여러분은 for sale 과 on sale 을 분간하고 계신지?
for sale 은 '판매용'/'판매가능' 이라는 뜻이고
on sale 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세일' 이란 뜻이다.
자 그럼 예문을 한번 보기로 하자.
상황1)
어떤 가게 앞을 지나다 보니 쇼윈도우에 있는 옷이 너무 멋져서 살려고 안에 들어가서 살려고 했더니, 그건 판매용이 아니고 전시용이라고 한다. 이때 점원이 하는 말이,
"I'm sorry, Ma'am. It is not for sale. It's for display only 다."
직역하면
'죄송하지만 손님, 그건 진열용이고 판매는 하지 않습니다.' 쯤 된다.
이처럼 for sale 은 판매가 가능하다/불가능하다를 나타낼 때 쓰인다.
중고차는 보통 중고차 거래상을 통해서 파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개개인끼리 사고 파는 경우도 제법 많다. 중고차 거래상이 워낙 짜기 때문에 개개인 끼리 사고 팔면 파는 사람, 사는 사람 모두 만족할 수준에서 거래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또 집도 드물긴 하지만 부동산 중개인 (realtor) 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판매 하고자 광고를 내 놓는 경우가 있다.
이럴때 쓰는 문구가 "for sale by owner" 다. "(중개인 거치지 않고) 주인이 직접 판매" 한다는 뜻으로 보면 딱 맞다.
이에 반해 on sale 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세일이다.
상황2) 며칠전에 친구가 100 불 주고 산 신발이 오늘 세일해서 50불이라고 한다. 이럴때 당신은 친구에게 이렇게 말할 수 있다.
"Do you know the sneakers you paid $100 for, is on sale? It is now $50 only. What a barain!"
baragin? 많이 들어본 말 같지 않은가?
우리가 말하는 바겐세일은 bargain sale 인데, 이런 용어는 문어체에서나 쓰이지 실생활에선 거의 쓰지 않는다.
bargain 은 '헐값'이란 뜻으로 쓰이며 보통 우리가 바겐세일이라는 뜻으로 쓸려면 그냥 bargain 을 쓰면 된다.
I bought this lamp at a bargain price. (이 전등 헐값에 샀어).
This coat was half-price, a real bargain. (이 코트 반값이라더니까..완전 바겐이었어.)
아 참..on sale 은 미국에서 쓰는 표현이고, 같은 경우에 영국/호주에서는 in the sale 을 쓴다고 한다.
영국이나 호주로 언어배우러 가시는 분들은 이점 유의하시길 바라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