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 햇살이 두터워질 즈음이면, 철길 건너편 공터 쪽에서 요란한 망치 소리가 들려왔다.
그것이 무얼 의미하는지 우리 동네 아이들은 다 알았다. 곧 서커스가 들어온다는 예고였다.
미루나무보다 더 높은 나무 기둥들이 공터 주위에 빙 둘러 세워지고 나면 이내 알록달록한 대형 천막이 부풀어 올랐다. 그것을 보는 우리들의 마음도 덩달아 부풀었다. 그래서 학교에서 돌아올 때면 지름길을 놔두고 일부러 그 앞을 지나 돌아오곤 했다.
그 무렵 우리는 먹을 것뿐만 아니라, 볼 거리와 놀 거리에서도 늘 허기를 느꼈다. 일찌감치 저녁밥을 먹은 뒤 TV가 있는 집 대문 앞을 기웃거리기 일쑤였으며, 장날마다 큰북 작은북에다 심벌즈까지 매단 약장수 아저씨가 오기를 기다렸다. 그 중 우리가 가장 기다렸던 것은 일 년에 한 차례 들어오는 서커스였다. 그래서 봄이 되면 공터 쪽을 자주 살펴보게 되었던 것이다.
서커스장을 짓는 일은 열흘 정도 걸렸던 것 같다. 서커스장이 완성되기 전부터 그들은 하루에도 몇 시간씩 빠른 템포의 폴카 리듬이나 신나는 트로트 메들리를 틀어대면서 분위기를 띄웠다. 서커스 공연이 시작되기 이틀 전부터는, 화려한 의상으로 갈아입은 서커스단원들이 모두 서커스 트럭을 타고 천천히 동네를 돌았다. 하얀 분칠을 한 얼굴에 빨간 고무코를 붙인 삐에로가 확성기에 대고 외쳤다.
“서커스가 왔습니다. 전국 방방곳곳을 돌고 돌아 여러분 곁으로 왔습니다.…”
그러면 사람들은 일제히 박수로 화답을 하거나 휘파람을 휙휙 불면서 환호해 주었다. “감질나게 그러지 말고 어서 서커스나 시작해라.”고 쏘아붙이는 이도 간혹 있었지만, 우리 동네 봄은 매번 그렇게 왁자지껄하게 서커스 트럭을 타고 왔던 것 같다.
서커스가 시작된 지 일주일이 지났지만 나는 구경을 못 한 채 천막 주위를 배회했다. 어머니에게 서커스 구경을 가고 싶다고 조심스럽게 말을 꺼냈다가 “철이 없는 기집애” 라는 타박만 듣고 말았다.
그날도 나는 저녁밥을 일찍 먹고 매표소 근처를 서성대고 있었다. 리어카에 노모를 태우고 오는 사람, 늙은 아버지를 등에 업고 걸어오는 사람도 있었다. 천막 안에서는 “아~”하는 탄성과 환호하는 소리가 간간이 새어 나왔고, 매표소 위에 총총히 매달린 만국기도 힘차게 펄럭대고 있었다.
‘가을 운동회 때처럼 쏜살같이 달려 그냥 매표소를 통과해 버릴까.’
매표소 직원을 보니 나 같은 건 한 주먹거리도 안 될 것 같았다. 저절로 몸이 떨렸다. 그 때 누군가 내 어깨를 꽉 잡았다. 놀라서 돌아보니 옆집에 사는 순경집 아줌마였다. 그 당시 순경들은 학생 생활지도를 한다는 이유로 영화관이나 서커스장에 무료로 출입할 수 있었다. 순경집 아줌마는 순경인 남편 팔짱을 낀 채 검표원을 향해 살짝 웃어주기만 하면 되었다. 나는 그 날 순경집 딸이 되어 마침내 서커스장에 들어가게 되었다.
가마니를 깐 바닥에서 시큼털털한 냄새가 계속 올라왔지만 나는 꽤나 집중해서 보았다. 말쑥하게 차려입은 사회자 아저씨가 서커스 내용을 미리 소개하면서 얼마나 말을 재밌게 하던지. 예쁘고 날씬한 아가씨가 몸에 착 달라붙는 무대 의상을 입고 나와 한꺼번에 접시를 세 개나 돌렸다. 하얀 타이즈를 입은 남자는 바닥에 누운 채 두 발로 자신의 덩치 다섯 배쯤 되는 나무통을 자유자재로 돌렸다.
서커스단원에는 동물도 있었는데, 작은 수레를 끌며 나온 원숭이는 입장할 때부터 큰 박수를 받았다. 강아지 두 마리가 나와 교대로 불꽃 링을 뛰어넘을 때는 강아지 털에 불이 옮겨 붙을까봐 가슴이 조마조마했다. 조련사 호각소리에 맞춰 좁은 나무원통 위에 올라서려고 애쓰던 늙은 코끼리를 보면서 문득 아버지가 생각났다. 어쩌면 아버지도 저 코끼리처럼 아주 좁은 자리에 올라서려고 당신 혼자 안간힘을 쓰고 있는 게 아닌지.
서커스 클라이막스는 단연 공중곡예였다. 수직의 그네에서 수평 운동을 하며 허공에다 몸으로 선(線)을 그려내는 예술이었다. 내 또래 소녀가 한 장의 꽃잎이 되어 이쪽 그네에서 저쪽 그네로 날아갔다. 나는 목을 젖힌 채 위를 올려다보며 숨을 할딱였다. 소녀가 공중 곡예를 마치고 무대에서 인사를 했을 때, 내 옆에 앉아 있던 순경집 아줌마가 얼른 무대 위로 뛰어나갔다. 그리고는 그녀의 손에 지폐 한 장을 쥐어 주고 내려왔다. 나도 모르게 눈물이 핑 돌았다. 아줌마를 두고 동네 사람들은 본처를 밀어내고 그 자리를 차지한 몹쓸 여자라고 수군거렸지만, 아줌마는 정말 인정이 많은 사람이었다.
서커스를 보고 온 뒤로 그에 대한 꿈도 여러 번 꾸었다. 밤새도록 서커스 천막을 들추는 꿈, 내가 서커스단 소녀가 되어 그네 위에 서 있는 꿈, 어느 날은 서커스단장이 나를 붙잡으러 쫓아오는 꿈도 꾸었다. 서커스를 시키기 위해 아이들을 잡아 가둬놓고 식초를 먹여가며 엄청난 훈련을 시킨다는 소문을 들었던 탓이다.
어느 비오는 날, 서커스단 소녀를 보았다. 천막 아래로 뚝뚝 떨어지는 빗방울을 손바닥에 받으며 놀고 있었다. 서커스단원들은 몸이 굳어지지 않도록 공연이 없는 날에도 연습을 한다고 들었던 터라 그 아이를 보니 반가웠다. 머리에 달았던 붉은 리본과 하얀 타이즈를 벗어두고 화장도 말끔히 지운 채, 내 또래 소녀로 돌아와 있었다. 공중 그네를 타던 그 아이가 땅에 두 발을 디딘 채 오도카니 앉아있는 모습은 하나의 쉼표처럼 보였다. 가슴을 졸이지 않고 그 아이를 보고 있으니 내 마음에도 쉼표 하나가 찍히는 듯했다.
사람들은 왜 서커스가 오기를 기다렸을까. 환호할 그 무엇을 기다렸던 게 아닐까. 일상적인 삶을 벗어나 잠시나마 환상적인 분위기에 젖어보고 싶은 갈망과, 실패하지 않는 서커스단원들을 보며 자신의 일도 잘 풀리기를 바라는 마음이 있지 않았을까. 인생도 서커스다. 그날그날의 공연을 즐겁게, 그리고 최선을 다한다면 그것만으로도 하루가 충만해 지지 않을까 싶다.
서커스 천막 위로 울려 퍼지던 트럼펫 소리가 그립다. 매표소 앞을 서성거리던 지난날 내 모습을 떠올리며, 오늘도 나는 먼 고향 냄새를 맡는다.
(정성화 님의 수필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