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가 | 이효석 | 갈래 | 단편 소설, 순수 소설, 낭만주의 소설 |
성격 | 서정적, 낭만적, 사실적 |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
배경 | ▶ 시간 - 1920년대 어느 여름 낮부터 밤까지 ▶ 공간 -강원도 봉평에서 대화 장터로 가는 길 | ||
주제 | 떠돌이 삶의 애환과 육친의 정(情) |
작품 설명
- 이 작품은 허 생원이라는 한 장돌뱅이의 삶을 통해 떠돌이 삶의 애환과 육친의 정(情)을 그린 소설로, 특히 배경 묘사와 문체가 조화를 이루어 낭만적이고 환상적인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다.
작가 소개
▶이효석(李孝石, 1907~1942) 1928년 "조선지광"에 단편 '도시와 유령'을 발표하면서 등단하였다. 초기에는 현실 문제를 다루기도 했으나, 이후심미주의 소설로 일컬어지는 작품들을 창작하였다.'돈(豚)', '수탉'등순수한 자연을 배경으로 한 향토색이 짙은 작품을 발표하였다. |
작품 이해
- 이 작품은 남녀 간의 만남과 헤어짐, 그리고 부자간의 정(情)이라고 하는 두 가지 이야기를 근간으로 하여 일생을 길 위에서 살아가는 장돌뱅이의 삶과 애환을 통해 인간의 근원적인 애정을 다루고 있다.
- 이 소설은 토속적인 어휘 구사와 서정적이고도 낭만적인 묘사로 한국 근대 단편 소설의 백미(白眉)로 평가되고 있다.
- 이 작품의 중심 구조는 허 생원과 동이 사이의 갈등과 해소에 있다. 작가는 치밀하게 계산된 과거와 현재의 사건을 구조적으로 배치하고 적절한 공간적 배경과 향토적 어휘를 구사하면서 갈등을 해소하고 있는 것이다.
'메밀꽃 필 무렵'의 이중적 구성
이 작품은 두 개의 사건을 축으로 하고, 그 두 축이 씨줄과 날줄처럼 서로 교차하면서 이야기가 진행된다. 하나는 허 생원이 회상하는 과거의 추억이고, 다른 하나는 등장인물들이 봉평 장에서 대화 장으로 옮겨 가는 과정과 관련된 현재의 사건이다.
인물 소개
허 생원 | 얼금뱅이에다 왼손잡이인 장돌뱅이. 투전을 하는 호탕함과 함께 서정적인 면도 간직하고 있는 소박한 인물이다. 평생을 나귀와 함께 장돌뱅이 생활을 하면서 단 한 번의 낭만적인 추억을 소중하게 간직하고 살아간다. |
동이 | 행동에서는 본능적이지만, 어머니에 대한 효심이 지극한 인물이다. 성격이 소박하고 꾸밈이 없으며 허 생원의 친자식으로 암시되고 있다. |
조 선달 | 허 생원의 친구로 순박한 성격을 지닌 장돌뱅이이다. |
'메밀꽃 필 무렵'에서 배경이 지니는 의미
▶ 이 작품은 배경 묘사에 중점을 두고 있는데, 배경 자체가 사건이 일어나는 장소나 시간을 제시하는 본래 기능뿐만 아니라, 작품의 분위기 형성과 사건의 진행, 주제 형성 등에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 특히 자연적 배경이 중심을 이루는데,달이 비치는 메밀밭과 산길이 향토적 서정이라는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하면서 허 생원과 동이를 결합시키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다. ▶ 이 작품의 배경은 시간적으로는 여름날 달밤이며, 공간적으로는 산길인데달밤이라는 시간적 배경은 인간의 본연적인 애정(혈육의 정)을 부각하는 역할을 하며, 산길은 삶의 역경과 허 생원과 동이의 혈육 관계를 확인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개울은 허 생원이 동이에 대해 육친으로서의 따뜻한 정을 느끼게 한다. |
'메밀꽃 필 무렵'의 서술 방식과 문체적 특징
▶ 이 작품에서는 과거의 시간과 현재의 시간이 교차하는데과거의 시간은 주로 요약적 서술 방법으로 제시되어 있고,현재의 시간은 장면적 서술 방법으로 제시되어 있다. ▶ 이 작품에서는 마치 한 편의 시를 읽는 것처럼서정성이 짙은 문체적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
'허 생원'과 '나귀'의 관계
나귀는 허 생원과 정서적으로 동일한 존재로 등장하고 있다. 허 생원과 나귀의 밀접한 연관성은 단순한 묘사에 머무르지 않고 자연과 인간의 합일이라는 작가의 주제 의식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첫댓글 장돌-뱅이 場---발음[ 장똘뱅이 ] : 명사. ‘장돌림(여러 장으로 돌아다니면서 물건을 파는 장수)’을 낮잡아 이르는 말. ≒장내기1.
장꾼들은 거의 마을로 돌아가고 주막은 짐을 거둬 들어선 장돌뱅이들로 붐빈다.
출처 <<박경리, 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