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동도 화개산 모노레일 탑승 및 산행 2023.6.12
화개산 정상까지 운행하는 모노레일 및 화개정원 2023.5.13일 정식 개장
화개산 정상 저어전망대 조망 환상적, 불과 2-3km 바다건너 북한 연백군 한 눈에 보여
강화도 북서부 민통선 안에 위치한 교동도에서 가장 높은 산인 화개산에 정상전망대와 함께 모노레일이 설치되고, 하단 모노레일 승강장 옆에는 다양한 테마공원인 '화개정원'을 조성, 2023년 5월 13일에 정식 개장됐다. 지금도 등산으로 화개산 정상에 오를 수 있지만, 모노레일이 개통됨으로써 등산을 하지않고도 쉽게 화개산 정상까지 오를 수 있다. 모노레일을 타면 약 20분 만에 정상 전망대까지 올라갈 수 있다.
화개산(259.6m)은 2시간 내외로 산행이 가능한 그리 높지않은 산이지만 정상능선에 서면 북쪽으로 북한 땅이 손에 잡힐 듯이 가까이 볼 수 있어 등산객들에게 인기가 높은 산이다. 북쪽으로 불과 2-3km의 바다를 끼고 황해도 연백군이 있다. 규모가 제법 큰 섬인데도 강화도에 가려 많이 알려지지는 않았다. 예전에는 간첩들의 침투가 잦았고, 북한 주민이나 군인들의 귀순 소식 등으로 언론에 종종 오르내리곤 했던 섬이다.
섬 북부에서는 황해도 땅을 쉽게 바라볼 수 있으며, 조금 높은 곳에서는 예성강 하구, 맑은 날에는 개성 송악산도 바라볼 수 있어 실향민들이 화개산 산정에서 북쪽을 바라보며 망향제를 지내는 곳이기도 하다. 동쪽으로 바다를 건너면 강화도 양사면과 내가면이 있고, 남쪽으로는 삼산면 석모도가 있다.
전에는 강화도 창후리에서 군부대의 검문검색 후 배를 타고 건너가야 했으나 2014년 7월 교동대교 개통으로 강화도와 연결됨으로써 육지와의 교통이 편리해졌다. 다만, 민통선 내 지역이라 지금도 신분증에 의한 검문검색은 여전하다.
화개산 정상 전망대-강화도의 상징 새인 저어새의 긴 부리와 눈을 형상화한 모양으로 설계되어 있어 저어전망대라고도 부른다.
화개산 정상을 오르내리는 모노레일. 5분 마다 출발한다. 정상까지 20분 소요
정상 전망대
정상 전망대2
정상 전망대-아래에는 교동도에서 가장 큰 저수지인 고구저수지가 내려다 보이고 바다 건너는 북한 땅이다.
전망대와는 별도로 아담한 전망데크가 만들어져 있어 쉼터로 아주 좋다.
필자가 방문한 날 마침 tvN에서 드라마 촬영을 나왔다. '회장님네 사람들'이라던가? 전원일기에서 '일용이'로 인기가 높았던 박은수 배우를 만났다. 전망대 바닥은 투명유리로 되어 있어 고소공포증이 있는 분들은 걸어다니기가 약간 두려울 것 같다.
전망대 카페
전망대에서 내려다 본 모노레일
화개정원 및 고구저수지 조망
동쪽으로 바다를 건너면 강화도 양사면과 내가면이 있고, 남쪽으로는 삼산면 석모도가 있다.
전망대 바로 옆에는 봉수대가 있다.
모노레일 상부승강장 뒤로 화개산 정상이 보인다.
등산객들은 화개산 정상능선에서 모노레일 전망대 쪽으로 진입할 수 없다. 또, 모노레일을 타고 정상에 오면 등산로 쪽으로 나갈 수 없게 되어 있다. 필자 일행은 특별히 화개정원측 허가를 받아 화개산 정상 상행은 모노레일을 이용하고, 하산은 직접 등산로를 따라 걸어서 내려왔다.
필자의 경우 수년 전 등산으로 화개산을 넘은 적이 있어 산행코스를 잘 알고 있기 때문에 가능했다. 봉수대 주변 등산로는 화개산에서 가장 가파른 암벽구간이다.
양지 쪽으로 일제히 뻗어나간 소나무가지들이 신비롭다.
정상 직전 능선에는 청동기 암각화도 있다. 청동기 암각화는 선사시대의 신앙과 생활, 사상 등을 표현한 것들이다.
화개산 정상 오르는 숲길
드디어 화개산 정상. 정상에는 산불감시초소가 세워져 있다.
화개산 정상 표지목(259.6m)
기린초라던가?
모노레일 설치 후 등산객들도 산행 보다는 모노레일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서인지 등산로가 풀로 짙게 덮혀 있다.
하산 코스가 완만하다.
하산코스 중간 쯤에 약수터도 있고,
화개산 밀림이 꽤 울창하다. 섬 산이어서 원시림이나 마찬가지다.
돌계단길
하단 날머리는 천화문.
모노레일 승강장 바로 옆에는 옛날식 한증막이 있다. 선조들의 치병과 목욕시설의 하나인 한증막은 조선 후기부터 1970년대까지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모노레일 하단 승강장 옆에 위치한 화개정원은 치유의 정원, 평화의 정원, 추억의 정원, 역사문화정원, 물의 정원 등 5개 테마정원으로 구성되어 있다.지난 5월 13일에 정식개장한 곳이어서 아직은 나무나 꽃, 산책로 등이 자연미 보다는 인공적인 느낌이 많이 난다.
화개산은 산정의 형태가 마치 '솥뚜껑을 덮어놓은 것'같다고 하여 화개산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화개정원 산책로를 따라 걷다 보면 곳곳에 솥뚜껑 조형물들을 볼 수 있다. 투어를 완주하여 6개 이상의 솥뚜껑 조형물 스탬프를 인증하면 기념품도 있다.
화개정원 초입에는 연산군 유배지도 있다. 조선 10대 군주인 연산군이 1506년 9월 2일 중종반정으로 강제 폐위되어 교동도에서 유배생활을 하다가 2달 뒤인 그 해 11월 6일 죽음을 맞이할 때까지 지냈던 것으로 추정된다.(글,사진/임윤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