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카네기센터에서 매월 1회씩 강연회를 한다.
어제는 박재희교수의 강연이었다.
몇가지를 정리해본다.
- 중국은 청나라시대까지 춘추전국시대의 주석사이다.
- 그때 중국의 사람들은 사람들이 할 수 있는 모든 철학적 고민을 다 이루어냈다.
- 죽느냐 사느냐 치열한 생존의 과정을 겪으면서 제자백가가 나타났고, 그들의 사상이 나타났다.
- 손무는 그때 어떻게 조직이 살아남을 것인가에 대한 치열한 고민을 한 장수이다.
- 그가 다른 사상가와 다른 것은 오직 어떻게 하면 살아남을 것인가를 고민했다는 것이다. 그가 말하는 이론의 모든 근거는 조직의 생존으로부터 출발한다. 그래서 走爲上에 대한 이야기도 서슴치 않는다.
- 현대사회도 춘추전구시대 못지않은 조직의 흥망을 보이고 있다.
- 손자를 통해 치열하기만한 현대사회에 어떻게 살것인지 고민해보자.
- 일개의 병졸의 능력은 개인 능력보다는 리더가 만드는 勢(up 분위기)에 있다. 평범한 사람도 리더가 어떤 분위기를 조성하느냐에 따라서 용기가 나서 절대 못할 것 같은 일도 해낸다.
- 춘추 전국시대의 배경을 보면, 이 시대는 BC800년전부터 진나라가 통일을 하는 BC221년까지 300~500년간은 중국의 경쟁과 통합의 시대였다. 황하의 범람, 계절풍으로 인한 가뭄홍수 등으로 인해 통합하지 않고는 자연과 맞설 수 없는 시대적 배경에 따라 통합에 대한 민중의 열망이 있었던 시대다. 그래서 많은 제자백가가 생존을 위한 전략을 짜던 아주 흥미로운 시대였다.
다시 손자병법의 얘기로 돌아가겠습니다.
● 손무는 현장의 리더(회사로 말하면 PM과 같은 존재)가 갖춰야할 5가지 덕목을 아래와 같이 말했습니다.
1. 智 => 대안제시능력 중요
- 산전수전,택(늪)전,평지의 육전 등을 다 격어본 장수많이 리더로서 실력이 있다할 수 있다. 그만큼 실무를 해보지 않고 떠드는 리더는 실력이 없다는 뜻이 겠지요.
- 현장이 중요하다. 현장에 대한 감이 없는 박사는 필요없다.
2. 信
- 손자는 百戰百勝을 하겠다는 자세는 자신의 군대를 모두 죽이겠다는 자세라고 말한다.
- 知彼知己면 百戰不殆라고 말했다. 백전백승이라는 말은 하지 않았다. 언제든 조직이 살아남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도망갈줄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3. 仁
- 엄마의 마음이다. 조직의 사람들을 엄마의 마음으로 먼저 챙겨봐라. 목숨건다. 이순신 장군이 바로 그랬다. 아랫사람들은 다 안다. 윗 사람이 무엇을 생각하는지......
- 이순신장군은 선조가 싸워라는 명령을 내려도 안싸운다. 차라리 자신이 죽고 조직원을 보호하려고한다. 결국 이등병으로 강등되어 싸운다.
4. 勇
- 손자는 왕의 눈치를 보아 진격하고, 자신이 쪽팔리지 않기 위해 도망가지 못하고 그러지 마라고 단호하게 이야기한다.
- 오직 保民만이 선택의 원칙이 되어야 한다. 자신이 먼저 옷벗고 죽을 각오를 해야한다. 그러면 아랫사람들은 다 안다.
5. 嚴
- 제갈공명이 자신의 오른팔인 마속을 울면서 칠 수 있었던 공과 사를 구분하는 엄격함
- 인과 엄은 한 인간에게서 공존하기 어려운 인격이기는 하다.
●승리하는 리더의 다섯 가지 조직 운영
1. 꿈이 같은가?
- 비전 공유의 문제다.
2. 정확한 판단
자신의 감정과 분노를 다스릴 수 없다면 리더가 될 수 없다.
후퇴도 전출이다 36계 走爲上計
때론 돌아가는 것이 빠른 길이다 迂直之計 (우직지계)
특히 싸울때는
- 죽기를 각오하지 말라 => 그러면 정말 다 죽는다.
- 살기를 각오하지도 말라
- 분노에 못이겨 이성을 잃지 말라
- 너무 완벽한 청렴을 하려하면 오히려 부작용이다.
3. 시스템이 경쟁력이다
-매뉴얼과 원활한 프로세스를 만들라.
- 분석하라.
상황은 끝없이 변하기 때문에(反客爲主) 현실에 만족하지 말고 늘 분석해야합니다.
4. 현장을 맡겨라
자신의 권력과 책임을 적절히 아래 조직원에게 분배해야합니다. 리더 자신이 모든 일을 하려들면 조직이 커질 수도 없고, 창의력도 없게 될 뿐만 아니라 리더가 없어지면 조직은 큰 혼란에 빠집니다. 볼품없는 유방이 어떻게 하늘 높은 한고조를 이길 수 있었을까? 여기에 대해서 유방은 자신은 능력이 없어서 적절한 아래 사람들 맡길 수 있었기 때문에 이길 수 있었다고 말합니다.
5. 싸우지 않고 승리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라
백전백승은 하수의 목표 => 백전백태해서 조직의 생명을 유지하라. 심지어는 win-win도 모색해라
● 승리를 유지하는 원리
물에서 배워라
- 물은 적응력이 뛰어나다.
- 물은 겸손하다. 낮은 곳으로 흐른다. 避高處下, 戰勝不復(2번 이기기 힘들다)
- 판단력. 물은 물러날 때와 나아갈 때를 안다 進退有節
- 물은 포용한다. 강한자만이 갖을 수 있는 여유를 갖으라.
첫댓글 역시 기억력은 대단하삼 메모도 안하신것 같은데... 잘보고 다시 한번 되새기고 갑니당^^
환영합니다. 사랑스런 야옹이님! 손자병법 박재희 교수는 저에게 오랫동안 고민하던 문제의 가르침을 주었습니다. 그답은 인, 신, 용에 있습니다. 그리고 사람을 만나게 해주었습니다. "관계"가 삶이지요. 자주 뵙기를!! 꾸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