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 영구임대아파트에 거주하는 10가구 중 9가구가 임대료와 관리비에 상당한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비에 대한 부담은 저소득층의 자립과 자활의지 약화로 이어지고 있어 각 세입자의 소득과 자산 상황에 따라 합리적인 임대료 부과체계가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 같은 결과는 최근 부산복지개발원이 마련한 '부산지역 주거복지 발전방향' 포럼에서 주제발표를 한 부산복지개발원 박선희 대리가 부산시내 10개 영구임대아파트에 거주하는 415가구를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 밝혀졌다.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89.1%인 365가구가 관리비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82.4%(337가구)는 임대료도 부담스럽다고 답했다. 전체의 68.9%인 282가구는 임대보증금도 부담이 된다고 응답했다.
또 월평균 수입이 57만 4800원인 이들 가구의 56.6%(235가구)는 생활비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게 관리비라고 답했고, 식비(28.4%)와 교육·보육비(7.7%)가 그 뒤를 이었다. 월수입 경로는 '생계급여 등 정부나 공공기관의 도움'이 57.2%(237가구)로 나타났으며, '본인 또는 식구들이 돈을 번다'가 31.6%(131가구)였다. 지역사회 참여도도 아주 낮았다. 응답자의 47.9%(196가구)가 지역 문제에 대해 '별로 관심 없다'고 답했으며, '관심은 있지만 참여하고 싶지 않음'이 20.3%(83가구)인 등 전체의 80%가량이 지역사회 문제에 관심도가 낮았다. 이와 함께 임대아파트 주민의 23.3%는 "임대아파트에 산다는 이유만으로 사회적인 차별을 받은 적이 있다"고 답해 임대아파트에 대한 왜곡된 인식이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박선희 대리는 "임대아파트 주민 대다수가 주거비에 대한 부담을 크게 느끼고 있다"면서 "입주민들의 자산과 소득을 분석해 합리적인 임대료 및 관리비 부과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영구임대아파트 거주 기간이 길어질수록 이웃 또는 지역사회와의 관계나 유대가 약해지는 만큼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재정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포럼 토론자로 나선 와치종합사회복지관(부산 영도구) 박기영 부장은 "실제로 월 30만 원의 생계비를 지원받는 독거 노인은 평균 4만 5000원가량의 임대료와 동·하절기 관리비(10만~5만 원)를 빼고 나면 15만~20만 원으로 한 달을 살아야 한다"면서 "여기에 의료비가 더해지면 복지관의 경로식당이 아니면 끼니를 걱정해야 할 형편이라 관리비, 임대료 체납에 따른 단전·단수 조치가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 부장은 "이 문제는 우선 서비스 제공의 최일선 현장인 아파트 관리사무소와 사회복지관이 원활한 대화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대한주택공사와 도시공사, 사회복지기관 간 논의를 정례화해 풀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첫댓글 잘 읽고 갑니다
잘 읽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