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꽃말
꽃말 : 이별의 슬픔, 가엾은 애정
'반드시 오고야 말 행복'
![](https://t1.daumcdn.net/cfile/cafe/222ADD4F53773F0605)
![](https://t1.daumcdn.net/cfile/cafe/2670304F53773F072D)
![](https://t1.daumcdn.net/cfile/cafe/24301E4F53773F0804)
![](https://t1.daumcdn.net/cfile/cafe/27371C4F53773F0935)
![](https://t1.daumcdn.net/cfile/cafe/2520EE4F53773F0A2A)
![](https://t1.daumcdn.net/cfile/cafe/2237774F53773F0B34)
![](https://t1.daumcdn.net/cfile/cafe/2730704F53773F0C04)
![](https://t1.daumcdn.net/cfile/cafe/2729AE4753773F0E24)
일산 꽃 방람희를 마치고 난 후 사람들이 마구마구 뽑아간 자리에 꺽어진 메리골드 꽃
![](https://t1.daumcdn.net/cfile/cafe/27121F37537746CD2B)
6월 5일 탄생화 : 메리골드(Marigold/국화과)
꽃말 : 가련한 애정
꽃점 : 슬픔이 감도는 눈동자. 누군가를 좋아하게 되면 일편 단심입니다. 연인의 겉 모습에 속기 쉽고 질투심이 왕성. 뒷전에서 눈물 짓는 일이 많은 사람. 사실을 냉정하게 받아들이고 포기하는 일도 중요한 일입니다. 슬퍼하고만 있으면 새로운 연인과 만나는 것도 늦어지고 맙니다.
'주인의 시계'라는 별명이 있습니다.
꽃잎을 열고 닫음으로써 사람들에게 아침과 저녁을 일러 주기 때문입니다.
'여름 새색시'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습니다.
"밤에는 꽃잎을 굳게 닫고 별 아래서 생각에 잠기며 슬픈 기분이 되지만 대낮에는 꽃잎을 활짝 열어 세신랑을갈망합니다. 미친 듯이 팔을 벌리고 있는 것처럼" 이것은 토마스 힐의 공상이였습니다.
말벌이나 꿀벌에 쏘였을 때 이 꽃을 문지르면 통증이 가신다고 합니다.
메리골드(Marigold)는 키가 큰 아프리칸 메리골드(60-90cm)와 키가 작은 프렌치 메리골드(30cm 이하)두 가지 종류가 있다. 주로 봄에 씨를 뿌려 봄부터 가을까지(10월)꽃이 계속 피는 것이 특징으로 특유의 향기(진한 쑥향 비슷)가있다
남부 유럽 원산의 1년 초로 약용, 요리용으로 재배된 것은 금잔화(포트 매리골드)로 선명한 오렌지색의 꽃이 핀다.
매월 1일에 꽃 핀다고 하여 카렌 둘라(Calendula)라는 속명이 있다. 성모 마리아와는 무관하나 3월 25일(Lady Day, 계시의 제) 경에 꽃을 피워 성모 마리아에게 봉헌되었다고 하여 '메리의 꽃'이라는 별명이 있다.
예로부터 약용, 식용으로 정원에 심었다. 해들 때 피고 해가 질 때 꽃을 닫는다고 하여 솔세퀴아(solsequia), 솔리스 스폰사(solis sponsa)라는 별명도 갖고 있다. 이로 인해 ***피어는 '겨울이야기'에서 "해가 지면서 잠자리에 들고 해가 뜨면 같이 울면서 일어나는 꽃"이라고 표현하였다.
토양의 성질을 가리지는 않지만 석회질 토양의 양지바른 곳을 좋아한다. 60cm 정도의 크기로 자라며, 봄에 파종하고 50cm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꽃대를 따내면 11월까지 꽃을 감상할 수 있다.
벌에 쏘였을 때 꽃잎을 문지르면 붓지 않으며, 꽃잎 침출 액은 염좌나 상처, 눈병(염증이 있는)을 치료한다. 생 꽃잎으로 만든 허브 차는 발한 작용이 있어 감기에 좋다.
오래 전부터 치즈의 색을 내는데 이용해왔다. '가난한 사람의 사프란'이라고 하여 비싼 사프란 대용으로 일반에 널리 통용되었다.
지금도 쌀 요리, 오믈렛, 수프에 넣어 독특한 맛과 색을 즐긴다. 꽃잎을 생채로 샐러드에 뿌리거나, 빵에 넣어 굽거나, 로스트 치킨에 넣어 굽는다, 잎에도 독특한 쓴맛이 있어 부드러운 잎을 샐러드에 이용하면 좋다. 보존하려면 꽃을 종이 위에 널어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빨리 말리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