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부라독(안경뱀독)
항암 풍습성 관절통 신경통 정력회복에 효험
▶ 항암작용, 신경계통에 대한 작용, 순환기계통에 대한 작용, 효소의 작용, 피에 대한 영향, 내분비계통에 미치는 영향, 진통작용, 정력회복, 항암약, 강심약, 진통약, 강근골, 류마티스성 관절염, 신경통, 각기증, 만성두통, 혈관신경성두통, 좌골신경통, 풍습성 관절통, 각기, 경락을 통하게 하고 풍사를 몰아내며 습사를 없애는 코브라(안경뱀)
코브라는 코브라과에 속하는 파충류의 한 종이다. 코브라는 4m 정도 자란다. 목은 대가리보다 굵다. 대가리에는 밤색 혹은 검은색의 줄무늬가 있다. 목에는 연한 밤색띠무늬가 있다. 몸색깔은 풀빛이 도는 밤색인데 40~50여개의 띠무늬가 가로나있다. 기온이 25~35℃인 때 맹렬하게 활동한다. 이때는 논밭이나 시냇가부근에 널려 살며 심지어 집에까지 들어온다. 물고기, 개구리, 벌, 쥐, 조류, 도마뱀 등을 잡아 먹는다. 주로 야간에 활동한다.
화가 나면 몸을 절반 정도 수직으로 세우고 목을 부풀리며 <후유, 후유> 하는 소리를 낸다. 코브라는 독이 있는 뱀이기 때문에 물리면 신경이 마비되어 죽는다. 사람이나 집짐승을 해치는 경우도 있다. 5~6월에 교미하고 10~17개의 알을 낳는데 알은 수컷이 지킨다. 알은 약 50일 지나면 까나온다.
코브라는 중국의 남부와 타이, 말레이시아, 미얀마, 인도에 분포되어있다. 독물과 쓸개, 고기를 약재로 쓴다.
코브라의 여러 가지 이름은 안경사[眼鏡蛇, 취풍사:吹風蛇, 취풍별:吹風鼈, 반산두:飯鏟頭, 만사:萬蛇: 광서중약지(廣西中藥誌)], 팽경사[膨頸蛇: 사덕육(蒒德焴), 계통동물학(系統動物學)], 편융사[蝙融蛇, 오독사:五毒蛇, 편두풍:扁頭風, 비파사:琵琶蛇: 척추동물분류학(脊椎動物分類學)], 코부라[コブラ: 일본어], 코브라, 안경뱀 등으로 부른다.
코브라독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물성동약>에서는 이렇게 기술하고 있다.
[코브라독(안경뱀독)
라틴어: Cobrotoxin, 영어: Cobrotoxin, cobra venom, 러시아어: Кобротоксин, Яд кобры, 중국어: 안경독사:眼鏡毒蛇:yǎn jìng dú shé=얜징뚜서, 일본어: 코부라도쿠:コブラ毒(どく)
[기원]
코브라과(Elapidae)에 속하는 인도코브라(인도안경뱀: Najanaja Linnaeus)을 비롯한 안경뱀의 독액을 말린 것이다.
분포: 인도코브라뱀은 중국, 인도, 스리랑카, 말라위, 미얀마, 타이, 말레이시아에 분포되어 있다.
[동물형태]
대가리, 몸뚱이, 꼬리로 되어 있다. 몸길이는 1.5~2.0m 정도이다. 대가리는 타원형이다. 목 뒷면은 팽대되어 있다. 입안에 독이빨이 있다. 대가리와 몸뚱이등쪽은 검은색 또는 검은밤색이며 복부분에 안경모양의 흰색무늬가 있다. 뒤쪽과 꼬리에는 흰색의 가로무늬가 10여줄이 나있고 배쪽면은 누런흰색이다.
[채취 및 가공]
겨울잠에 들어가기전에 잡는 것이 제일 좋은데 독이 세므로 막대기로 목을 눌러 잡는다. 독은 살모사독뽑는방법으로 채취한다. 한번독채취량은 대만코브라에서 0.6109g, 건조독으로서 0.1843g이다. 인도코브라뱀은 한번에 50~500mg이다.
가공: 배를 갈라 내장을 떼어 버리고 피를 깨끗이 씻고 닦아서 말린다. 독은 카르복시에틸섬유소나 겔로 거르고 정제독을 얻는다.
[동약형태]
독액은 누런색을 띠고 점성이 있으며 냄새는 없다. 마른 것은 누런색의 결정이다.
[성분]
코브라뱀에서 분리된 결정성분을 크로톡신이라고 하는데 이것에는 신경독과 용혈소가 있다. 이 신경독에서 순수 분리한 성분을 코브라톡신이라고 하는데 저분자단백질이며 침강결 수는 1.4s, 분자량은 11,000이다.
독성분속의 용혈소를 순수 분리하면 레시티나제 A가 없어진다. 또한 세포독, 심장독 1mg으로 직경 12~23mm를 괴사시킬 수 있는 괴사성분, 혈청에 13c인 활성인자, 항응혈인자, 콜린에스테라제, 리보누클레앚, ATPase, 누클레오티드, 콜린에스테라제 억제물질 등이 있다.
예로부터 코브라뱀독속에 콜린에스테라제와 함께 그를 저해하는 인자가 있다는 것이 알려졌는데 이것은 카르디오톡신과 비슷한 물질로 보고 있다.
코브라뱀독에는 포스포모노에스테라제, 포스포디에스테라제, 15′-누클레오티다제, 콜린에스테라제, L-아미노아시드옥시다제, 포스포리파제 A1, A2, 아데노신트리린산, 항콜린에스테라제, 리조찜, α-키모트립신, η-신경독 2종, 카르디오톡신 4종 등이 들어 있다.
대만코브라뱀독의 코브라톡신은 분자량 6949이며 알칼리성폴리펩티드, 등전점 PH 9.0이며 바다뱀독인 에라브톡신과 동족계열의 이소톡신이다. 코브라뱀독속에 심장독 카르디오톡신, 직접적용해인자, 세포독인 시토톡신 Ⅰ(알칼리성폴리펩티드, PH 12.0, 뱀독총량의 마른 질량으로 25~55%, 분자량 약 6,000~7,000, 15~17개아미노산과 60개의 아미노산잔기로 구성), 시토톡신Ⅱ(분자량 약 7,000, 60개의 아니노산잔기, 4개의 디술피드사슬), 코브라톡신 B(71개 아미노산잔기, 분자량 약 7,812), CVA단백(분자량 약 18,500), 신경성장인자, 코브라민 B(알칼리성단백), 찌토크롬 C, COF 등이 들어 있다.
코브라뱀허물에는 19종의 아미노산이 있는데 그중 세린함량이 가장 높고 글루타민산, 히드록시프롤린 함량이 낮다. 코브라쓸개에는 타우로케노데족시콜산, 글루코히오데족시콜산, 글리코콜산 등이 들어있다.
뱀독의 성상과 성분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표 13, 뱀독의 성질 및 성분
[약리작용]
항암작용: 인도코브라뱀독의 염기성단백질은 요시다육종세포, 복수암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한다. 시토톡신 Ⅱ는 시험관에서 토끼배막삼출세포, 비장세포, 적혈구의 암세포를 융해시키는 작용이 매우 세고 흰생쥐에게 일으킨 임파백혈병 L1210, 요시다육종, 흰쥐에게 일으킨 복수간암 AH-13, 흰쥐에게 일으킨 골수백혈병 DBL-6에 대하여 균일하게 억제하는 작용을 나타냈다.
신경계통에 대한 작용: 코브라뱀독의 신경계통에 대한 작용은 주로 흥분과 억제 작용이다. 뱀독은 식물신경계통 즉 경동맥의 화학감수기에 대하여 억제작용을 나타낸다. 경동맥구에 관류법으로 저농도의 독을 주입하면 먼저 짧은 호흡억제가 일어나며 다음에 비교적 오랜 억제가 나타난다. 신경절에 대한 작용은 약한데 높은 농도일 때에는 신경말초를 마비시킨다.
순환기계통에 대한 작용: 개에게 독을 주입하면 초기에 혈압이 매우 빨리 내려가며 폐혈관이 수축되고 폐동맥압이 높아져 폐순환이 저해되나 모세혈관이 확장되기 때문에 혈류량이 모자라게 된다. 한편 토끼와 개구리의 떼낸 심장에 대한 실험에서는 직접적인 흥분작용으로 강심작용도 나타낸다. 다음으로 중기에는 혈압이 점차적으로 내려 호흡이 완만해진다. 말기에는 호흡곤란, 산소결핍, 심장수축감소, 혈압낮춤작용이 나타난다. 심전도에는 ST파가 내려가 T파가 평탄하거나 기우러지며 QT기간이 연장되며 R파에 손상적변화가 일어난다. 또한 코브라뱀독은 관상혈관을 확장시키는 작용을 나타낸다.
효소의 작용: 뱀독에는 많은 종류의 효소가 들어 있는데 사람에게 위험한 작용을 나타낸다. 특히 레시티나제는 용혈, 히스타민의 유리, 모세혈관세포파괴, 심실섬유의 강직성수축을 일으키며 신경계통에 직접 작용하여 호흡억제, 혼수 등을 일으킨다.
피에 대한 작용: 코브라뱀독은 토끼의 적혈구, 혈색소 등에 뚜렷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는다. 코브라뱀독은 토끼의 응혈시간을 연장시키고 개와 고양이, 토끼, 흰생쥐의 혈당량을 높이는데 이것은 아드레날린의 유리와 관련된다.
흰쥐에서는 혈당량이 낮아졌다.
내분비계통에 미치는 작용: 코브라뱀독은 신상선피질에 뚜렷한 변화를 가져오는데 흰생쥐에게 LD50을 지표로 여러 가지 신상선피질체계를 만들어 코브라뱀독에 대한 인내력을 본 결과 효과성을 높이었다. 코브라뱀독은 티록신의 기능을 억제하는 뚜렷한 작용을 나타낸다. 코브라뱀독은 토끼 심장과 연수조직의 산소소비량에 뚜렷한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세포호흡을 억제하지 않았다.
아픔멎이작용: 흰쥐에 대한 아픔멎이작용은 0.188mg/kg으로서 모르핀작용(1mg/kg)의 3~4배였다. 그리고 습관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왕코브라뱀독의 아픔멎이작용은 코브라뱀독, 금고리뱀독 및 모르핀의 작용보다 쎘다.
독성: 코브라뱀독의 흰생쥐에 대한 LD50은 피하주사때 0.53mg/kg이고 왕코브라뱀독의 LD50은 피하주사때 0.34mg/kg, 은고리뱀독의 LD50은 피하주사때 0.09mg/kg이었다.
[응용]
항암약, 강심약, 아픔멎이약으로, 류마티스성 관절염, 신경통, 각기증 등에 쓴다.
독성이 세므로 과민성반응을 충분히 검사한 다음 써야 한다.
기타 인도, 파키스탄 등에서는 코브라뱀을 관상용으로 또는 동물교예용으로 쓰고 있다.
[제제]
항독혈청(코브라톡신): 독뱀에 물렸을 때 쓴다.
코브라뱀술: 정력회복의 목적으로 쓴다.
배주산: 코브라뱀독을 주약으로 하는 동약제제이다. 항암약, 해독약, 항염증약으로 쓴다.
코브라뱀독주사약: 만성머리아픔, 혈관신경성머리아픔, 좌골신경통때에 쓴다.]
코브라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잇다.
[안경사(眼鏡蛇)
기원: 안경사과(眼鏡蛇科: Elapidae)의 안경사(眼鏡蛇: Naja naja {Linnaeus})의 내장을 제외한 전체(全體), 담(膽), 사태(蛇蛻) 등이 약으로 쓰인다.
형태: 몸 길이는 88-120cm이며 꼬리 길이는 11-21cm이고 머리는 약간 편평하고 둥글다. 협린(頰鱗)이 없고 상순린(上脣鱗)은 7장이며 하순린(下脣鱗)은 8장이다. 안전린(眼前鱗)은 1장이고 안후린(眼後鱗)은 2-3장이다. 몸의 비늘은 반들반들하며, 인렬(鱗列)은 경부(頸部)에 23-26줄이 있고 체중부(體中部)에 19-21줄이 있으며 항전부(肛前部)에 15줄이 있다. 복린(腹鱗)은 164-178장이고, 미하린(尾下鱗)은 두줄로 43-50장이다. 항편(肛片)은 2개로 나뉘어진다. 몸은 흑갈색(黑褐色)이고 황백색(黃白色)의 좁은 가로무늬가 15개가 있으며 복면(腹面)은 황백색(黃白色)이다. 몸색깔은 변이가 많고, 전형적인 것은 경부(頸部)에 안경테 비슷한 모양의 흰색 무늬가 있다. 화가 났을시 몸의 윗부분은 곧추세우고 경부(頸部)의 좌우를 넓히며 “휙휙”하면서 화난 소리를 낸다. 독아(毒牙)는 구아류(溝牙類)에 속한다.
분포: 평원, 구릉과 산지의 삼림지대의 암석 틈새, 밭사이나 도랑가의 동굴에서 생활한다. 중국의 장강(長江)유역 이남에 분포한다.
기미: 맛은 달고 짜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있다.
효능: 거풍활혈(祛風活血), 강근골(降筋骨).
주치: 풍습통(風濕痛), 관절염(關節炎), 반신불수(半身不遂).
용량 및 용법: 인육(鱗肉)을 불에 구워 복용하며 매 번 반근을 먹는다. 술로 담궈서 복용할 때에는 매일 50-100g을 먹는다. 1Kg 사포(蛇泡)와 50도(度) 백주(白酒) 10Kg을 밀봉해서 2개월 후에 복용한다.
참고문헌: <광서약용동물(廣西藥用動物)>, 182면.]
코브라뱀에 대해서 박영준씨가 쓴 <한방동물보감>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코브라
학명: Naja naja (L.)
성미: 맛은 달고 짜며 설질은 따뜻하고 독이 있다. 간과 신장에 작용한다.
성분: 코브라에서 축출한 크로톡신은 신경독과 용혈소가 있다.
약효: 수분대사와 경락의 기를 잘 소통하게 한다. 따라서 붓고 저리고 아픈 관절염과 각기병에 사용한다. 독에는 진통작용이 있어서 모든 신경통과 요통에 효과가 있다.
뱀독은 임상에서 혈액이 응고되는 것을 억제하고 핏덩어리를 녹이는 작용을 이용하여 뇌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중풍에 사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혈액 속의 지질 농도를 떨어뜨리고 혈관을 확장시키며 신경세포를 회복시키는 작용이 밝혀져서 혈액순환이상으로 인한 모든 질환에 사용한다.
항암작용도 있는데 요시다육종세포, 복수암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한다.
사용법: 입돈 전에 잡아 내장을 제거하고 불에 말린다.
코브라술
정력을 회복하기 위하여 소주를 넣은 병에 코브라를 넣고 밀봉하여 6개월 후에 식후 한잔씩 하루 세 번 먹는다.]
각종 뱀종류를 응용하기 위해서는 특별히 정부의 허가를 받아 대량 사육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인도코브라뱀에 대해서 '두산백과사전'에서는 이러한 사실을 알려준다. 인도코브라 또는 아시아코브라라고도 한다. 몸길이 1.2~1.7m이다. 개체에 따라 다르지만, 몸의 앞부분을 곧바로 세워 목의 후드(hood)를 넓히면 등에 안경 모양 무늬가 뚜렷이 나타나 안경뱀이라고도 부른다.
맹독성 독사이며 독이 공기중으로 튀지는 않지만 물리면 치명적인 신경독(神經毒)을 가지고 있다. 몸의 색은 주로 갈색이나, 네팔산은 검정색에 무늬가 뚜렷하지 않고 스리랑카산은 갈색 바탕에 크림색 잔무늬가 있는 등 일정하지 않으며 안경무늬가 이중으로 되어 있는 것도 있다.
저지대의 숲이나 민가 주변에 살면서 주로 쥐, 도마뱀, 개구리, 새 등을 잡아먹으며 10~30개의 알을 낳는다.
야생종은 멸종위기에 빠져 있어 인도 정부에 의해 보호되고 있다. 인도의 뱀곡예사들이 다루는 뱀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인도의 불교도와 힌두교도들에게는 신앙의 대상이기도 하다. 히말라야 남부에서 스리랑카에 이르는 인도 전역에 분포되어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