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 임금인상 리스크, 일본 기업은 어떻게 관리하나?
제품 고부가화, 비용 절감, 신규 유통방향 검토 등
널리 알려진 대로 일본 제조업계의 해외생산은 지속적으로 확대돼왔다. 이 결과 일본 기업의 해외생산 비율은 2001년의 24.6%에서 계속 올라가 2014년의 36.5%를 거쳐 오는 2017년에는 39.9%가 예상되고 있다.
문제는 동남아 국가들의 경제 성장에 따른 임금인상 요구로 일본 기업들이 인력 확보에 어려움이 많다는 점이다.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정부는 지난해 최저 임금을 전년 대비 10% 정도 올렸는데 이는 물가 상승률을 웃도는 수준으로 현지에 진출한 일본 기업에게 부담이 되기에 충분했다. 특히 도요타자동차 등 100개 이상의 일본 기업이 진출한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는 근교 공업도시 카라온의 최저 임금이 22% 오르는 등 전체적으로 전년보다 1.6배나 올라 주변 도시로 전파되고 있다.
일본 기업의 애로는 현지인에게 지불하는 급여 수준이 미국이나 유럽 기업보다 20% 정도 낮아 인력 확보가 어렵다는 것이다. 특히 일본의 제2의 제조거점인 태국의 경우 1% 정도에 불과한 실업률과 더불어 ‘일본 기업의 평균 급여가 낮다’는 인식이 커 인재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렇다면 동남아 등지로 진출한 일본 기업들은 어떤 대응방안을 갖고 있을까?
미즈호종합연구소가 현지에 진출한 일본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는데 ‘제품의 고부가가치화’가 34.2%로 가장 많았고 ‘기계설비 도입 또는 원재료 현지 조달’(32.1%), ‘아세안 역내 판매 검토’(22.4%) 순이었다.
기업별로는 토미카가 23년 만에 제품 가격을 올렸고 스미토모상사는 거점을 호치민시에서 복수의 지방 도시로 분산시켰다. 와코루는 원재료 현지 조달을 늘려 비용 절감에 나섰다.
KOTRA 도쿄 무역관은 “동남아 국가들의 임금인상 추세는 우리 기업도 풀어야 할 큰 과제”라면서 “앞서 진출한 일본 기업의 대응책을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주간무역>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