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록세틴 염산염(Duloxetine HCl)과 프레가발린(Pregabalin)을 간단히 비교해 보겠습니다.
둘록세틴(Duloxetine)과 프레가발린(Pregabalin)은 무슨약입니까?
들록세틴과 프레가발린은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 척추손상으로 인한 신경병성 통증, 대상포진후 신경통 등 신경병증성 통증과 섬유근육통에 사용하는 약물입니다.
또한 들록세틴은 우울증과 범불안장애 치료제이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로 치료가 어려운 골관절염 치료에도 쓰입니다.
승인되지는 않았으나 복압성요실금 치료에도 사용됩니다. 프레가발린은 간질, 부분발작의 치료에 쓰이는 약물인데 서방제제(리리카CR서방정®)는 말초신경병증성 통증 치료에만 승인됐습니다.
두 약물의 작용기전은 무엇인가요?
둘록세틴은 선택적 노르에피네프린(NE) 세로토닌(5-HT) 재흡수억제제(selective serotonin and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 SNRI)입니다.
NE와 5-HT는 중추신경게 통증억제 경로에 중요한 신경전달 활동을 하며 말초에서 중추로 통증신호 전달을 감소시킵니다.
프레가발린은 칼슘 채널의 α2δ subunit에 결합해 칼슘 채널을 차단해서
substancep 등 신경전달물질의 방출을 감소시켜 통증을 조절합니다.
어떻게 복용합니까?
△둘록세틴(Duloxetine)
-식사와 관계없이 1일 1회 60 mg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1회 30 mg으로 시작해 1주일후 60 mg으로 증량
-만성간질환, 간경변 환자, 중증 신장애(CrCl<30 mL/min): 복용권장 안함
-경증 혹은 중등도의 신기능 장애 환자: 용량조절이 필요하지 않음
△프레가발린(Pregabalin)
-식사와 관계없이 1일 150mg (75mg 1일 2회)
-3일~7일 후 300 mg으로 증량, 이후 7일 간격으로 증량, 1일 최대 용량: 600 mg
-서방정(리리카CR서방정®): 저녁 식후 1일 1회 165 mg
복용3일~7일 후에 330 mg으로 증량, 이후 7일 간격으로 증량
1일 최대용량: 660 mg
-간기능 장애: 용량 조절이 필요하지 않음
-신기능 저하된 고령자: 용량 감소
둘록세틴과 프레가발린의 이상반응은 무엇입니까?
둘록세틴의 흔한 이상반응은 구역, 구토, 땀, 입 마름, 졸음 등이며 주로 치료 초기에 시작되어 계속 복용하면 대부분 완화됩니다.
체중감소, 식욕 감소, 변비, 설사, 피로, 발한과 발기부전, 사정장애, 사정지연과 같은 성기능장애가 일어납니다.
심각한 이상반응은 혈압 상승, 기립성저혈압, 심근경색, 실신, 저나트륨혈증, 위장 출혈, 간 독성, 폐쇄각녹내장, 자살 생각, StevensJohnsonsyndrome 등입니다.
세로토닌을 증가시키는 약물과 함께 복용할 경우 세로토닌증후군을 유발합니다.
프레가발린의 흔한 이상반응은 어지러움이며 말초 부종, 식욕 증가, 체중 증가, 구역, 변비, 입 마름, 무력증, 운동 실조, 두통, 졸음, 복시, 사고 이상, 다행감, 비인두염, 피로 등의 이상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각한 이상반응은 황달, 과민반응, creatine kinase 증가, 시야 이상, 자살 생각, 호흡억제, 혈관부종입니다.
둘록세틴과 프레가발린의 주의할 점은 무엇입니까?
(1) 현기증, 졸음이 올 수 있으므로 약물이 자신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게 될 때까지 정신 집중이 필요한 일이나 운전, 복잡한 기계 조작 등 조정력이 필요한 작업은 피합니다.
(2) 자살충동이나 자살 행동이 일어날수 있다는 점을 환자와 보호자에게 알리고, 우울증, 자살 충동, 비정상적인 기분이나 행동 변화가 나타나는지 주의깊게 관찰해 이런 변화가 나타나면 즉시 담당의사에 보고합니다.
둘록세틴(Duloxetine)
(1) 구역이나 발한 등의 부작용 감소를 위해서 저용량부터 복용하고 서서히 증량합니다.
(2) 혈압이 올라갈 수 있으므로 고혈압이나 심장질환을 가진 환자들은 혈압을 모니터링합니다. 또한 혈압이 조절되지 않는 환자는 복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3) 코피, 위장 출혈, 멍 등 출혈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아스피린이나 NSAIDs와 병용하면 출혈 위험이 증가합니다.
(4) 간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과음을 피합니다. 간 손상은 대부분 복용 첫 달에 나타났습니다.
(5)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등 중증 피부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물집, 박리성 발진, 점막의 짓무름 등 다른 과민반응의 징후가 나타나면 즉시 복용을 중단합니다.
(6) 복용을 갑자기 중단하면 금단증상이 나타나므로 점진적으로 감량합니다.
(7) 약물상호작용을 확인합니다.
프레가발린(Pregabalin)
(1) 음식과 관계없이 일정한 시간에 복용합니다. 그러나 서방정은 저녁 식후에 복용합니다.
(2) 어지러움과 졸음이 매우 흔하게 발생합니다. 특히 고령자는 이로 인해 넘어져 다칠 수 있으므로 주의합니다.
(3) 체중 증가가 일어납니다. 체중 조절이 필요한 당뇨병 환자는 혈당강하제 용량 조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4) 얼굴, 입 주위, 상기도 부종 등의 혈관 부종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복용을 중단합니다.
(5) 시야가 일시적으로 흐려지거나 시력 변화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복용을 중단하면 증상이 사라지거나 개선됩니다.
(6) 복용을 갑자기 중단하지 마세요. 갑자기 중단하면 불면, 불안, 두통, 구역, 독감유사 증상 우울, 통증, 발작, 다한증과 같은 금단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7) 예기치 않은 근육통, 압통, 허약함이 발생합니다. 특히 열을 동반할 경우 즉시 알려주세요.
(8) 프레가발린은 오용 및 남용 사례들이 보고되었습니다. 환자들의 약물 남용 병력을 주의 깊게 검토하고 프레가발린 오용 및 남용 징후를 관찰할 필요가 있습니다.
함께 복용할 때 주의해야 할 약물이 있나요?
둘록세틴은 세로토닌을 증가시키는 약물과 병용하면 세로토닌 증후군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세로토닌 증후군 증상은 초조, 환각, 섬망, 혼수 등의 정신 증상과 떨림, 근경련, 조화운동장애, 빈맥, 불안정한 혈압, 어지럼, 발한, 홍조, 고열, 발작, 구역, 구토, 설사 등입니다.
세로토닌을 증가시키는 약물은 SNRIs 및 선택적 세로토닌재흡수억제제(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SSRI), 삼환계항우울제(tricyclic antidepressants, TCA), 트립탄계열 약물, 펜타닐, 리튬, 트라마돌, 부스피론, 세인트존스워트, monoamine oxidase inhibitors (MAOI)입니다. 특히 MAOI와는 병용금기입니다.
둘록세틴과 DUR 병용금기 약물은 MAOI인 moclobemide(오로릭스정®)와 파킨슨병 치료제인 selegiline(마오비정®)과 SSRI인 fluvoxamine(듀미록스정®)입니다. 프레가발린은 특별한 상호작용이 보고되지 않았으며 다른 중추신경계 억제제를 병용한 경우 호흡부전, 혼수 및 사망이 보고된 바 있으므로 주의합니다.
신경병증성 통증에 사용되는 약물에 대해 알아볼까요?
(1) 항전간제
gabapentin(뉴론틴캡슐®), pregabalin(리리카캡슐®), carbamazepine(테그레톨정®), oxcarbazepine(트리렙탈정®), lamotrigine(라믹탈정®), topiramate(토파맥스정®)
(2) 항우울제
-TCA: amitriptyline(에트라빌정®), imipramine(이미프라민정®), nortriptyline(센시발정®)
-SNRI: duloxetine(심발타캡슐®), venlafaxine(이팩사엑스알캡슐®), milnacipran(익셀캡슐®)
(3) 국소제제
Capsaicin cream(다이악센크림®, 다이펜탈크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