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서울대동문카페 원문보기 글쓴이: 최택만(서울)
연작 소설의 전체 줄거리는 이렇다. "그녀는 원래 아무거나 잘 먹는 여자였다. 그러던 어느날 '꿈'때문에 채식을 하게 된다. 남편이 다그쳐도 보고, 아버지가 뺨을 때리면서 억지로 먹여보기도 하지만 모두 실패했다. 그녀는 점점 야위어가고 사회와 어울려 살아가는 것도 힘들어진다. 억지로 먹이려는 아버지에 반항하여 손목을 긋는 자살 시도까지도 하게 된다. 그리고 결국 그녀에게 남은 것은 이혼.(채식주의자) 그렇게 독신으로 살게 된 그녀. 그리고 그녀를 성적인 욕망으로 바라보는 형부. 형부는 그녀를 탐하기 위해 예술 '작업'을 빌미로 그녀를 불러들인다. 그녀의 나체에 꽃을 그린다. 욕망을 가졌던 그는 욕망조차도 잊는다. 그리고 다음날, 다시 작업을 하기 위해 그녀를 부른다. 그리고, 대단원을 아우르기 위해 섹스를 한다. 그 다음날, 그의 부인에게 그 현장이 발각된다.(몽고반점) 마지막, 형부의 부인, 그녀의 언니의 이야기. 남편은 정신에 아무런 이상이 없어 수감되었고, 그녀의 동생인 영혜는 정신병원에 들어갔다. 영혜의 채식은 계속되다 못해, 절식을 하기까지 이르렀다. 영혜는 이제 그녀 자신이 나무가 되어간다고 했다. 햇빛을 쬐기 위해 옷을 벗고, 비오는 날 나무처럼 오도카니 서있기도 한다. 밥은 먹지 않아 점점 야위어 간다. 억지로 동맥에 혈당주사를 놓아도 뽑고 토해버리기 일쑤고, 어떤 방법도 찾을 수 없다. 점점 죽음에 가까워져 간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척추에 혈당 주사를 놓기 위해 서울에 있는 병원 가는 길로 마무리된다. 영혜는, 그녀에게 '왜 죽으면 안되냐'고 묻는다. 그녀는, 어쩌면 이게 꿈일지도 모른다고. 그렇게 생각한다. (나무불꽃) 맨부커상 수상 작품 “바로 이 책입니다.” 보이드 톤킨 맨부커상 심사위원장이 ‘더 베지터리안(The Vegetarian)’을 꺼내 한 손에 들자 객석의 박수 소리는 컸다. 만 9년 전 소설이 번역의 힘으로 언어 장벽을 넘자, 올해 수상자로 뽑힌 한강은 세계 문단이 일순간에 주목하는 작가로 다시 태어났다. ![]() ![]() 한강 소설은 첫 작품부터 웅숭깊었다. 첫 소설집 ‘여수의 사랑’은 인간 상처를 탐구하는 한강의 문학관(觀)을 세상에 알렸다. 첫 장편 ‘검은사슴’은 도심을 기억상실증에 걸린 여성의 모습으로, 두번째 장편 ‘그대의 차가운 손’은 석고로 인체의 본을 뜨는 라이프캐스팅으로 인간 심연을 파고들었다. ‘바람이 분다, 가라’는 촉망받는 여자 화가의 의문사에서 기억과 고통을, ‘희랍어 시간’에서는 최고(最古)의 언어인 희랍어란 소재로 말(言)을 잃어가는 여성의 삶에서 침묵과 소멸을 조명했다. ‘소년이 온다’는 광주민주화운동을 통해 희생과 상처를 다뤘다. 한강표 소설을 단 한 단어로 압축한 키워드는 ‘인간’이다. ‘채식주의자’가 넘어선 경쟁작 5편은 거대 담론과 감성적 서사로 무장한 수작이었다. 옌런커의 ‘The Four Books’는 노동교화소에서 핍박받는 인물을 그려, 자유를 쟁취하는 과정에 맞딱뜨린 억압에 대항하려는 인간 신념을 설파했다. 오르한 파묵의 ‘A Strangeness in my Mind’는 이스탄불 남성의 모습에서 우리의 선택이 인간을 행복하게 할지, 운명이 우리의 내면을 결정할지를 되묻는다. 로버트 시탈러의 ‘A Whole Life’는 오스트리아 알프스에서 살아가는 주인공 안드레아스가 아내 마리와 태중의 아이를 잃고 세계대전에 참전하는 줄거리로, 절대적 고독 속의 근원과 아름다움을 모색했다. 한강은 지난 4월 맨부커 인터내셔널상 숏리스트(shortlist)에 포함된 직후 매일경제신문과 인터뷰하면서, 자신의 전(全) 소설을 관통하는 주제를 ‘인간에 대한 이해’라고 말했다. 당시 한강은 “인간이란 주제는 내가 지금까지 소설을 쓴 동력”이라며 “인간에 대한 질문은 계속 또 다른 질문을 부르고, 그 질문을 딛고 앞으로 가는 과정 속에 소설가로서의 내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수상은 번역이 빛을 발했다. 톤킨 위원장은 번역자인 데보라 스미스에 대해 “놀라운 번역”이라고 칭찬했다. 그는 기묘하면서도 뛰어난 ‘채식주의자’가 영어에 들어맞는 목소리를 찾았다”고 평했다. 영국과 한국 9000km 거리를 수시로 오가며 한강 작품을 해외에 소개한 이구용 KL매니지먼트 대표는 “외국에 한국문학을 소개하면서 내건 목표 중 하나는 같이 일하는 작가가 국제적인 인지도를 지닌 문학상을 받는 것이었다”며 기뻐했다. [김유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