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 국악 성지 전시관에서 남도민요와 푸전 국악팀의 천년학을 들을 기회가 ? 있었는게 가야금 병찬과 남도민요 메드리를 한 곡 중에서.. 남도 민요 남한산성을 소개 해 본다.
|
출처: 온새미 원문보기 글쓴이: 온새미
남원산성이 남한산성의 와음이라고도 하고, 남원산성은 남도민요이니 남도민요의 고장인 남원에 있는 교룡산성이라는 주장도 있습니다.
이 노래에 나오는 매들은 정유재란 때 교룡산성에서 왜적들과 싸운 의병장을 의미한다고도 하며 또는 동학란때 농민반란군들 이 산성을 근거로 관군과 대치한 일이 있었기 때문에 이 노래의 매들은 백성을 수탈하는 탐관오리의 종류를 뜻한다는 설명도 있습니다.
억지로 잡아 늘려 뜯어맞춘 설명보다는 가사 그대로 받아 들이는 것이 마음 편합니다. 새에 관한 노래이니 자연스럽게 새타령에서 한 구절 따왔고, 춘향가의 사랑가에서도 한 마디 따왔습니다. 멀리 정선아라리에서 주고 받는 듯한 사설도 한 대목 들어 있습니다.
둥가~둥가~ 장구 반주가 더더욱 정겨운 우리 노래입니다.
남원산성
남원산성 올라가 이화문전 바라보니
수진이 날지니 해동청 보라매
떴다 봐라 저 종달새
석양은 늘어져 갈매기 울고
능수버들가지 휘늘어질 때
꾀꼬리는 짝을 지어 이 산으로 가면 꾀꼬리 수리루
음음 에헤야 어야 뒤야 야아둥가
어허 둥가 둥가 내사랑 이로구나
니가 나를 볼라면 니가 나를 볼라면
심양강 건너가 이친구 저친구 다정한 내 친구
설마 설마 설마 섯설마가
제일천하 낭군이지 니가 내 사랑이지
에헤야 뒤야 에야 둥가
어허 둥가 둥가 내사랑 이로구나
옥양목 석자 없다고 집안이 모두가 야단인데
새 버선 지어 신고 속없이 뭣 하러 또 내 집에 왔냐
음음 에헤야 에헤야 뒤야 둥가
어허 둥가 둥가 내사랑 이로구나
남원 국악 성지 전시관에서 남도민요와 푸전 국악팀의 천년학을 들을 기회가 ? 있었는게 가야금 병찬과 남도민요 메드리를 한 곡 중에서.. 남도 민요 남한산성을 소개 해 본다.
|
출처: 온새미 원문보기 글쓴이: 온새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