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ㅌㅌㅌㅌ지문 ①도 내용 자체가 말이 안 되는 엉터리입니다. 유기물을 시용하면 산화 촉진이 아니라 환원이 촉진됩니다. 유기물을 시용하면 분해과정에서 산소가 많이 소모되므로 토양이 환원상태로 되고 금속의 산화가 촉진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중금속 중에는 산화조건에서 불용화 되는 것도 있고 환원조건서 불용화 되는 것도 있습니다. Fe, Mn은 산화 조건에서 불용화 되기 쉬우며, 환원토양에서는 Cd, Cu, Zn, Fe 등이 SO4^2- 이온이 환원되면서 생성되는 S2-와 결합하여 CdS, CuS, ZnS, FeS 등 황화물로 불용화 됩니다.
첫댓글 아마이드태질소 석회질소가 물이랑만나면 소석회가나오고 요소도 미생물작용을받아 탄산co3이생성되기때문에ph를 낮춥니다.
감사합니다!
토양 pH가 낮을수록 중금속의 용해도가 증가하므로 중금속 농도는 낮추기 위해서는 pH를 높여야 합니다. 그런데 지문 ②에서 토양의 pH를 낮춘다고 했으니 중금속 농도를 낮추는 방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석회는 토양 pH를 낮추는 물질이 아니므로 지문 ②의 내용 자체가 엉터리입니다.
질소비료 중에서 암모늄태 질소비료는 토양 pH를 낮출 수 있습니다. 암모늄이 질산화균에 의해 질산으로 산화될 때 H+ 이온이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 석회질소와 요소는 모두 토양 pH를 높이는 비료입니다.
석회질소가 분해될 때 소석회 Ca(OH)2가 생성되고 물에 용해되면 OH- 이온이 생성되므로 토양 pH가 높아집니다.
요소가 분해될 때는 암모니아(NH3)가 생성되며, 암모니아는 물에 용해되어 NH4+가 되면서 OH- 이온이 생성되어 토양 pH를 높이게 됩니다.
NH3 + H2O → NH4+ + OH-
감사합니다 ! 1번도 설명해주실수있나요 ? ㅠ
@ㅌㅌㅌㅌ 지문 ①도 내용 자체가 말이 안 되는 엉터리입니다. 유기물을 시용하면 산화 촉진이 아니라 환원이 촉진됩니다. 유기물을 시용하면 분해과정에서 산소가 많이 소모되므로 토양이 환원상태로 되고 금속의 산화가 촉진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중금속 중에는 산화조건에서 불용화 되는 것도 있고 환원조건서 불용화 되는 것도 있습니다. Fe, Mn은 산화 조건에서 불용화 되기 쉬우며, 환원토양에서는 Cd, Cu, Zn, Fe 등이 SO4^2- 이온이 환원되면서 생성되는 S2-와 결합하여 CdS, CuS, ZnS, FeS 등 황화물로 불용화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