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샹의 '레디-메이드'를 넘어서
뒤샹의 소변기로부터 시작하여 워홀의 비누 박스, 칼 앙드레의 철판, 댄 플래빈의 형광등, 제프 쿤스의 농구공, 스타인바흐의 전자시계나 냄비 그리고 램프 등은 공산품이다. 근데 미술계의 ‘레디-메이드’는 공산품에 그치지 않고 농산품으로까지 확장되었다. 1990년 기욤 바일은 한술 더 떠 슈퍼마켓 자체를 전시장으로 옮겨놓는 작업(「새로운 슈퍼마켓」)을 했다. 전시장을 찾은 관객은 전시장 입구에서 쇼핑 카터를 끌고 쇼핑을 즐길 수 있다. 그러나 당신은 각종 음식물을 담은 쇼핑 카터를 밀고 계산대에 당도하면 그 새로운 슈퍼마켓에서 단지 ‘아이 쇼핑’만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Guillaume Bijl, Neuer Supermarket, 1990/2002
기욤 바일의 「새로운 슈퍼마켓」이 뒤샹부터 스타인바흐까지의 작품과 다른 점이 단지 ‘농산물’을 차용했다는 것만으로 그치지 않는다. 뒤샹부터 스타인바흐까지의 작품들은 한결같이 ‘박제화’된 반면, 기욤 바일의 「새로운 슈퍼마켓」은 일종의 ‘빌려 쓰기’란 점이다. 말하자면 「새로운 슈퍼마켓」은 전시가 끝나면서 작품(농산물)이 다시 기존의 슈퍼마켓으로 돌아갈 수 있다고 말이다. 물론 뒤샹에서부터 스타인바흐의 작품들 역시 일상사물로 되돌아갈 수 있다. 하지만 그들이 차용한 일상품들은 ‘작품’으로 박제화 되어버렸다.
이와 같은 단편적인 사례는 모든 것이 ‘작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하지만 그것들은 한결같이 ‘미술세계’라는 ‘문턱’을 넘어설 때만 가능하다. 만약 뒤샹의 「샘」이 전시장이 아닌 위생도기 상점에 전시되었다면? 만약 기욤 바일의 「새로운 슈퍼마켓」이 전시장이 아닌 그냥 슈퍼마켓에 전시되었다면? 만약 그들의 작업이 일상세계와 미술세계 사이의 ‘문턱’을 넘어 미술세계로 들어서지 않았다면, 그들의 작업이 ‘작품’이 될 수 있었을까?
다양한 공산품과 각종 농산물까지 작품의 ‘재료’로 쓰이는 것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가 ‘작품’으로 전시될 수 있다는 것은 모든 것이 ‘작품’으로 전이 가능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물론 지나가면서 단편적이나마 보았듯이 뒤샹의 ‘레디-메이드’ 후계자들은 뒤샹처럼 ‘레디-메이드’ 그 자체를 ‘작품’으로 전시하지는 않았다.) 바로 이 점에 주목한 작가가 데미안 허스트다. 그는 공산품과 농산물이 아닌 ‘동물’을 일종의 ‘레디-메이드’로 차용했다.

The Physical Impossibility of Death in the Mind of Someone Living, 1991
1985년 제프 쿤스는 탱크에 농구공을 넣었다. 하지만 1991년 데미안 허스트는 철재와 유리로 제작된 탱크에 포르말린과 상어를 넣은 작업(「살아 있는 누군가의 정신 속에 있는 죽음의 물리적인 불가능성」)을 했다. 그렇다면 데미안 허스트의 작품은 제프 쿤스의 농산물을 동물로 자리바꿈시킨 것이 아닌가? 이를테면 뒤샹과 워홀 그리고 앙드레와 플래빈 또한 쿤스와 스타인바흐의 작업들은 한결같이 ‘생산품’에 주목한 반면, 허스트는 ‘동물’을 일종의 ‘레디-메이드’로 보았다고 말이다. 그렇다면 이제 남은 것은 무엇일까? 글타! 바로 우리, 인간이다.

Damien Hirst, For the Love of God, 2007
var flashVersion = parent.swfobject.getFlashPlayerVersion();
if(typeof flashVersion != "undefined" && typeof flashVersion.major != "undefined" && flashVersion.major >= 10 && typeof ExifViewer != "undefined"){
var getTxImages = function () {
var result, txImages, images, i, len, img;
result = [];
images = [];
txImages = document.body.getElementsByTagName("img");
len = txImages.length;
for (i = 0; i < len; i += 1) {
img = txImages[i];
if (/tx\-daum\-image|txc\-image/.test(img.className)) {
images.push(img);
}
}
for(var i = 0, len = images.length; i < len; i++){
img = images[i];
if(img.src == "http://cfile219.uf.daum.net/image/2039DA134A94E23062EF90"){
result.push(img);
images.splice(i, i);
break;
}
}
for(var i = 0, len = images.length; i < len; i++){
img = images[i];
if(img.src == "http://cfile217.uf.daum.net/image/1366FF144A94E26749D412"){
result.push(img);
images.splice(i, i);
break;
}
}
for(var i = 0, len = images.length; i < len; i++){
img = images[i];
if(img.src == "http://cfile214.uf.daum.net/image/193859134A94E29735F181"){
result.push(img);
images.splice(i, i);
break;
}
}
return result;
};
var txImages = getTxImages();
ExifViewer.load({
serviceName: "blog",
images: txImages,
showAllItem: false,
imageViewer: {
templateValue: {
blogid: encodeURIComponent(BLOGID),
articleurl: encodeURIComponent("http://blog.daum.net/mudaeppo/16141659")
},
photoList: {
photoListProtocol: "blogphotolistselect",
photoListDataFromUrl: "http://blog.daum.net/_blog/api/PhotoListSelectImageViewer.do?blogid={blogid}&articleurl={articleurl}&imageurl={imageurl}"
},
groupList: {
groupListProtocol: "blogcatelist",
groupListDataFromUrl: "http://blog.daum.net/_blog/api/CategoryList.do?blogid={blogid}"
},
data: {
count: txImages.length,
getViewingUrl: function (index) {
return txImages[index].src;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