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스튜어트 밀(John Stuart Mill) 영국 경제학자/철학자 명언
1. 믿음을 가진 1명은 흥미만 있는 99명과 맞먹는다.
2. 나는 지금까지 자신의 욕망을 채우려고 힘쓰기보다,
오히려 그것을 제한함으로써 행복을 찾는 것을 배웠다.
3. 행동뿐만 아니라 행동하지 않는 것도 상처를 줄 수 있다.
4. 통치자의 이해관계와 의지는 국민의 이해관계와 의지와 상통해야만 된다.
5. 모든 보수주의자들이 어리석은 삶들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어리석은 사람들은
편협하고 보수적이다.
6. 무엇을 하는가는 물론 어떤 방식으로 하는 가도 중요하다.
7. 극한의 환경 속에서 고된 시련을 극복했던 이들의 열정과 재능을 그려낼 책을
읽는 것은 매우 유용하다.
8. 아이를 지나치게 칭찬하면서 키우면 자기만 잘난 줄 아는 교만한 아이가
되어버리고 만다.
9. 전쟁은 추악한 것이지만 가장 추악 하지는 않다. 전쟁을 치를 만큼 가치 있는
것은 없다는, 부패하고 타락한 도덕심과 애국심이야 말로 훨씬 추악하다.
지키기 위해 싸울 것이 없는 사람, 자신의 안위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는
사람은, 보다 나은 사람의 노력으로 자유를 얻고 유지하지 않는 한 자유로울
기회가 없는 비참한 존재이다.
10. 진정한 교육은 사고력과 판단력을 기르는 것이다.
11. 자기의 생각이나 타인의 사상에서 취할 것은 취하고 버릴 것을 버리는
자세야말로 도약하고 전진하는 자의 발걸음이다.
12. 사유재산은 인정하되 경제활동에는 정부의 개입을 통한 적절한 제한이
가해져야만 한다.
13. 즐거움을 누릴 때도 늘 중용에 머물라.
14. 인생에서 여러가지 실패는 쾌락을 지나치게 중시 여길 때 발생한다.
15. 인생은 욕망을 채우려고 애쓸 때보다도 욕망을 적절히 제한할 때 더욱
행복해질 수 있다.
16. 이 세상의 모든 훌륭한 것들은 모두가 독창성의 열매이다.
17. 최대다수의 최대 행복이 도덕과 입법의 기초이다.
18. 행복을 수중에 넣는 유일한 방법은 행복 그 자체를 인생의 목적으로
생각지 말고 행복 이외의 어떤 다른 목적을 인생의 목적으로 삼는 일이다.
19. 한 나라의 가치는 결국 그 나라를 구성하고 있는 개인들의 가치이다.
20. 존재하는 것은 모두가 독창의 결과이다. 이 말은 꺼꾸로 생각하면 좋은
존재가 되려면 독창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21. 돈의 가치는 오로지 무엇인가를 구매할 수 있다는 것이지만 돈에 대한
사랑은 인간을 움직이는 강력한 동기다.
22. 선한 사람들이 지켜만 보고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면 약한 자들은 자신들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아무것도 할 필요가 없다.
23. 지옥을 만들어 내는 존재를 생각해 보라. 인류의 대다수가 끔찍스러운
영겁의 형벌을 받도록 되어있다는 것을 미리 분명히 알면서 따라서
그렇게 할 의도를 가지고서 인류를 창조한 존재를 생각해 보라.
상상이 되는가.
24. 일차적으로 다른 사람에게 관계되지 않는 일에 있어서는 개인이 자기를
주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기 자신의 성격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전통이나 습관이 행위의 기준으로 되어 있는 곳에서는 인간의 행복이
주요한 요소의 하나이며 실제로 개인과 사회의 진보의 가장 중요한
요소의 하나인 것이 결여되게 된다. 인간은 개인의 가능한 한 커다란
행복이 아니라 전체의 가능한 한 많은 행복이 삶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
25. 국가의 가치는 결국 그것을 구성하는 개개인의 가치이다.
26. 보수주의자가 반드시 바보는 아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바보 같은 사람들은 보수주의자이다.
27. 지나치게 지식 습득에 만 치중하면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는 능력이
상실된다.
28. 나는 지금 행복한가 하고 자기 자신에게 물어보면 그 순간
행복하지 못하다고 느끼게 된다.
29. 만족한 돼지가 되느니 차라리 불만족한 인간이 되는 편이 더 낫고,
만족한 바보가 되느니 불만족한 소크라테스와 같은 사람이 되는 게 더 낫다.
30. 모든 격정 중에서 가장 추악하고 반사회적인 것, 그것은 시기다.
31. 자기 교육의 진정한 방법은 모든 것을 의심해 보는 일이다.
32. 인간이 할 수 있는 모든 선은 순종 속에 포함되어 있다.
33. 진실 가운데는 개인적인 경험을 통해 비로소 진정한 뜻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34. 단지 관습이라는 이유로 행동하는 사람은 선택하지 않는다.